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멋진 편집 좋은 신문 : 가로짜기 시대의 정보요리 가이드 개정판

멋진 편집 좋은 신문 : 가로짜기 시대의 정보요리 가이드 개정판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배영, 저 임준수, 저 맹태균, 저 한경석, 저 강상대, 저
Corporate Author
한국언론재단, 편
Title Statement
멋진 편집 좋은 신문 : 가로짜기 시대의 정보요리 가이드 / 한국언론재단 엮음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03   (2010)  
Physical Medium
422 p. : 삽화 ; 25 cm
Series Statement
한울아카데미 ;544
ISBN
9788946043374 9788946039599
General Note
저자: 이배영, 임준수, 맹태균, 한경석, 강상대  
000 01006namcc2200337 c 4500
001 000045485643
005 20121201115908
007 ta
008 081114s2003 ggka 000c kor
020 ▼a 9788946043374 ▼g 93070
020 ▼a 9788946039599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1 ▼2 22
085 ▼a 070.41 ▼2 DDCK
090 ▼a 070.41 ▼b 2008
245 0 0 ▼a 멋진 편집 좋은 신문 : ▼b 가로짜기 시대의 정보요리 가이드 / ▼d 한국언론재단 엮음
246 1 1 ▼a Newspaper copy editing & design
246 3 ▼a Newspaper copy editing and design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3 ▼g (2010)
300 ▼a 422 p. : ▼b 삽화 ; ▼c 25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544
500 ▼a 저자: 이배영, 임준수, 맹태균, 한경석, 강상대
700 1 ▼a 이배영, ▼e
700 1 ▼a 임준수, ▼e
700 1 ▼a 맹태균, ▼e
700 1 ▼a 한경석, ▼e
700 1 ▼a 강상대, ▼e
710 ▼a 한국언론재단, ▼e▼0 AUTH(211009)75594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112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112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971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971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512666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112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112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971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115971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70.41 2008 Accession No. 1512666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맹태균(지은이)

경향신문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청주대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임준수(지은이)

1941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에서 태어났다. 광천상고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를 졸업하고 언론인 장학생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CSUN)에서 수학했다. 1965년《신아일보》수습기자로 들어가《동양통신》 (2년), 《조선일보》 (17년), 《중앙일보》 (12년), 《한국경제》 (2년) 등 언론계에서 35년간 일했다. 한국편집기자협회 회장, 《조선일보》 편집부장, 《중앙일보》 편집국장대리 등을 역임했다. 또한 1995년부터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2005년까지 10년간 서강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고려대학교, 대진대학교에서 신문편집론과 신문문장론을 강의했다. 저서로 《신문은 편집이다》, 《신문을 아름답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목원》, 《나무야 미안해》 등이 있다.

이배영(지은이)

세계일보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편집포럼 부회장으로 재직중이다.

한경석(지은이)

동아일보 편집부장을 지냈으며, 현재 중앙대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

강상대(지은이)

조선일보 편집부국장으로 재직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개정판을 내며 = 5
새로운 편집입문서를 내며 = 6
제1부 신문편집
   제1장 신문편집의 현대적 개념 = 19
   제2장 편집부와 신문제작 = 26
      1. 기사 취사선택 = 27
      2. 뉴스평가 = 28
      3. 제목달기 = 28
      4. 레이아웃 = 29
   제3장 편집의 이해 = 31
      1. 신문에서의 ''큰 편집''과 ''작은 편집'' = 31
      2. ''편집기자''가 하는 일 = 33
   제4장 편집기자에게 요구되는 일 = 35
      1. 편집요강(要綱) 18가지 = 35
      2. 올바른 관(觀) 확립부터 = 36
      3. 편집의 성패는 창의성 = 38
      4. ''정석'' 익힌 뒤 ''개성'' 찾도록 = 39
      5. ''기사 탓''으로 돌리지 말라 = 39
   제5장 영·미 신문의 편집부·편집기자 = 42
      1. 편집기자는 있으나 편집부는 없다 = 45
      2. 확고한 저널리스트의 위치 = 46
      3. Visual People이 아닌 Word People = 47
      4. 핵심임무는 멋진 제목을 붙이는 것 = 48
        1) 첫째 업무는 헤드라인 달기 = 49
        2) Gate Keeper 역할을 한다 = 49
        3) 멋진 사진설명을 붙인다 = 49
        4) 뉴스평가에 관여한다 = 50
        5) 지면의 균형감각을 살린다 = 50
      5. 아티스트 역할 배제 = 51
   제6장 편집체제의 변천 = 53
      1. 세로쓰기의 오랜 관행 = 53
      2. 가로쓰기의 실험 = 55
      3. 세로·가로 섞어짜기 = 56
      4. ''가로쓰기'' 그 까닭 = 58
      5. 신문의 섹션화 = 59
제2부 뉴스평가
   제7장 뉴스란 무엇인가 = 63
      1. 편집국장들의 시각 = 63
      2. 언론학자들의 견해 = 64
      3. 뉴스는 ''기자가 만드는 것'' = 65
   제8장 뉴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 67
      1. ''게이트키퍼'' 편집기자 = 67
      2. 뉴스기준과 뉴스감각 = 68
      3. 뉴스밸류의 ''등급'' = 70
        1) 지면 = 71
        2) 제목 = 72
        3) 장식 = 72
        4) 위치 = 72
        5) 기타 = 72
   제9장 뉴스평가의 기준 = 73
      1. 시의성(時宜性) = 74
      2. 근접성(近接性) = 75
      3. 저명성(著名性) = 77
      4. 영향성(影響性) = 80
      5. 신기성(新奇性) = 83
      6. 인간성(人間性) = 85
      7. 사회성(社會性) = 86
      8. 기록성(記錄性) = 87
      9. 국제성(國際性) = 87
      10. 인간적 흥미(人間的 興味) = 88
        1) 이상성(異常性) = 89
        2) 투쟁(鬪爭) = 92
        3) 성(性) = 92
        4) 어린이 = 93
        5) 동물 = 93
   제10장 뉴스평가의 새로운 시각 = 95
      1. 새로운 시대 새로운 가치 = 95
      2. 기획뉴스·생활뉴스 비중 = 97
      3. 전통적인 뉴스가치 퇴색 = 99
   제11장 뉴스평가와 공정보도 = 101
      1. 뉴스가치와 ''객관성'' = 101
      2. ''객관성'' 대신 '' 공정성''을 = 103
      3. ''공정의 칼''은 편집기자의 손에 = 105
        1) 기사의 선택 = 105
        2) 제목의 표현 = 106
        3) 지면의 구성 = 107
      4. ''이런 것''이 공정성 훼손 = 107
      5. 편집기자의 ''몫'' = 108
   제12장 뉴스평가를 잘하려면 = 110
      1. 뉴스를 선별하는 안목 = 110
      2. ''문제의식''을 가져라 = 111
      3. ''백과사전파''가 되라 = 112
      4. ''뉴스감각''을 키워라 = 113
제3부 신문제목
   제13장 제목의 미학 = 117
      1. 제목의 본류 = 118
        1) 편집기자와 제목 = 118
        2) 제목의 기능 = 119
        3) 제목의 조건 = 124
      2. 제목의 형식미 = 128
        1) 제목의 유형 = 129
        2) 제목 레이아웃 = 131
        3) 제목의 골격 = 134
      3. 제목의 현대미 = 136
        1) 새 경향 = 137
        2) 새 스타일 = 140
      4. 명제목 산책 = 143
   제14장 제목의 재료 = 150
      1. 우리말/관용어 = 151
        1) 우리말 = 152
        2) 관용어 = 154
        3) 관용구 = 156
      2. 유행어/시대어 = 158
        1) 유행어 = 159
        2) 타이틀 = 160
        3) 명언/속담 = 163
      3. 한자어/외래어 = 164
        1) 한자어 = 165
        2) 외래어/기호 = 169
   제15장 제목의 수사학 = 177
      1. 말 만들기 = 178
        1) 조어의 조건 = 179
        2) 짝짓기 지혜 = 181
        3) 신조어 명품들 = 183
      2. 말 돌리기 = 186
        1) 구슬은 본문에 없다 = 187
        2) 때로는 소설제목처럼 = 188
        3) 독자의 심경을 대변하라 = 190
      3. 말 줄이기 = 191
        1) 줄임말의 경제성 = 192
        2) 말을 줄이는 방법 = 193
      4. 말 끝내기 = 196
        1) 매듭말의 형식 = 197
        2) 매듭말의 활용 = 202
   제16장 제목의 함정 = 206
      1. 과대포장 = 206
        1) 제목 크기 인플레 = 207
        2) 자극적 표현 = 207
        3) 과장 심한 뻥튀기 = 208
      2. 용어 오류 = 210
        1) 비속어 남용 = 210
        2) 구시대 용어 사용 = 212
        3) 인권침해 = 214
        4) 사망과 별세 사이 = 215
      3. 유식 자랑 = 218
        1) 자신만 아는 제목 = 218
        2) 한자 남용 = 219
        3) 이해의 혼선 = 220
      4. 관행 집착 = 220
        1) 상투어 = 220
        2) 관용어 남용 = 221
        3) 구어체·문어체 혼동 = 222
제4부 지면구성
   제17장 지면구성이란 무엇인가 = 249
      1. 지면구성의 의의 = 251
      2. 지면구성의 중요성 = 257
      3. 디자인 = 258
        1)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 258
        2) 신문디자인의 구조 = 260
        3) 신문디자인의 조건 = 265
        4) 모듈러와 그리드 = 271
      4. 지면구성의 기본원칙 = 274
        1) 균형(balance) = 276
        2) 비율(proportion) = 281
        3) 초점(focus) = 284
        4) 대조(contrast) = 285
        5) 통일(unity) = 286
        6) 리듬(rhythm) = 287
   제18장 지면구성 어떻게 하는 것인가 = 289
      1. 레이아웃의 기본유형 = 289
        1) 균형형 편집(balanced make up) = 289
        2) 대조 균형형 편집(contrast & balanced make up) = 290
        3) 집중형 편집(focused make up) = 291
        4) 파격형 편집(broken page make up) = 293
        5) 조립형 편집(modular make up) = 294
        6) 수평형 편집(horizontal make up) = 295
        7) 내면편집(inside page make up) = 297
   제19장 한국 신문의 편집디자인 = 299
      1. 편집의 개념 변화 = 300
      2. 지면의 단조로움 = 306
      3. 판형 = 306
      4. 광고 = 307
      5. 시각적 요소들의 지원 = 308
      6. 한국 신문사의 편집내용 = 309
        1) 그리드 = 311
        2) 공간운용 = 312
        3) 모듈러 레이아웃 = 313
        4) 제목 = 315
        5) 본문과 본문에 준하는 요소들 = 317
   제20장 서양 신문의 편집디자인 = 319
      1. 서양 신문의 편집디자인 = 319
      2. 독서중력이론 = 324
        1) 구텐베르크의 독서중력이론 = 326
        2) 브란트(H.F.Brandt)의 The Psychology of Seeing = 327
        3) 랭돈(Langdon)과 존스(Jorns)의 초점찾기이론 = 328
        4) 아놀드(Arnold)의 Natural Movement of Reading Eye 이론 = 329
        5) 웨슬리(Westley)의 Skimmer''s Eyes Map = 330
        6) 길모어(Gilmore)의 Reverse-6 Pattern = 331
        7) 포인터 연구소의 안구이동연구 = 332
제5부 사진편집
   제21장 보도사진의 발달 = 341
      1. 사진술 발명 = 343
      2. 우리나라의 신문사진 = 346
   제22장 사진 게재방법 = 351
      1. 사진 trimming(cropping)은 어떻게 하는가 = 352
        1) 사진편집의 요령 = 353
        2) 사진 트리밍 = 356
        3) 사진설명 = 358
   제23장 신문사진의 법률적 문제 = 361
      1. 신문사진의 법률적 문제 = 361
        1) 초상권 = 361
        2) 명예훼손 문제 = 364
        3) 사생활의 침해 = 364
      2. 사진부·미술부·화상부 등과의 업무협조 = 365
      3. 비주얼 편집과 일러스트레이션 = 365
제6부 신문제작의 실제
   제24장 신문 어떻게 만들어지나 = 375
      1. CTS시대의 신문편집 = 375
        1) 전산조판(CTS)이란 = 375
        2) CTS시스템과 인터넷의 결합 = 376
        3) CTS시스템과 신문 제작·편집의 혁신 = 377
      2. 편집의 기술적 과정(지면 스케치부터 강판까지) = 378
        1) 기사 출고에서 강판까지 = 379
        2) 편집국의 하루 24시간 = 383
      3. 출고와 조판(기사배치·제목 작성) = 386
        1) 취재 출고와 편집 = 386
        2) 제목 작성 = 392
        3) 조판 및 인쇄 = 394
        4) 편집의 도구들(매뉴얼·dummy·자) = 405
   제25장 현대 신문의 제작체계 = 407
      1. 기자조판과 CTS = 407
   제26장 신문편집의 발전과정 = 413
      1. 제작시스템 어디까지 왔나 = 413
        1) 제1단계 CTS = 413
        2) 제2단계 CTS = 414
        3) 제3단계 CTS = 415
        4) 제4단계 CTS = 416
      2. 기자조판시대 = 417
      3. 기자조판 작업공정 = 41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