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27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483786 | |
005 | 20130102113906 | |
007 | ta | |
008 | 081010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7265994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1454894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5 ▼2 22 |
085 | ▼a 415 ▼2 DDCK | |
090 | ▼a 415 ▼b 2008z9 | |
100 | 1 | ▼a Katamba, Francis, ▼d 1947- ▼0 AUTH(211009)64421 |
245 | 1 0 | ▼a 형태론 / ▼d Francis Katamba , ▼e John Stonham 지음 ; ▼e 김진형 , ▼e 김경란 옮김 |
246 | 1 9 | ▼a Morphology ▼g (2nd ed.)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8 | |
300 | ▼a xxii, 538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81]-50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Morphology |
700 | 1 | ▼a Stonham, John T., ▼e 저 ▼0 AUTH(211009)100935 |
700 | 1 | ▼a 김진형, ▼d 1955-, ▼e 역 |
700 | 1 | ▼a 김경란, ▼d 1955-, ▼e 역 ▼0 AUTH(211009)41619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1150839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1150839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3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211804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211804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512812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1150839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1150839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3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211804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211804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5 2008z9 | Accession No. 1512812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형태론에 대한 충분한 배경을 전제하지 않고도 영어를 비롯한 기타 언어에서의 어형성에 대한 핵심적인 생성 형태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해주는 친절한 개론서이다. 나아가 형태론의 주요 이론들이 어떻게 발전되고 비판받으며 수정되어 나갔는지의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의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개발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문 사이와 각 장 끝에 연습문제를 통해 본문에서 제기된 논점들을 다시 확인하고 여러 자료를 직접 분석해봄으로써 능동적인 연구의 발판을 다지게 될 것이다.
[머리말] : 옮기는 이의 말
본서는 Modern Linguistics Series 가운데 하나인 Katamba/Stonham(2006)의 Morphology 제2판을 번역한 것이다.
형태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일기 시작한 1970년대 초반 이후 수많은 논문과 저서들을 통해 다양한 새로운 제안들이 쏟아져 나왔다. 어휘형태론과 운율형태론으로 대표되는 80년대의 생성형태론에 이어, 90년에 들어서면서는 최적성이론이 등장하여 언어학의 주도적인 패러다임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제 형태론은 단순히 관심만 있다고 해서 쉽사리 덤벼들 수 없는 어엿한 소우주가 되어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본서는 형태론에 대한 충분한 배경을 전제하지 않고도 영어를 비롯한 기타 언어들에서의 어형성에 대한 핵심적인 생성 형태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해주는 친절한 개론서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형태론의 주요 이론들이 어떻게 발전되고 비판받고 수정되어 나갔는지 그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의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개발시켜 나가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또한 본문 사이와 각 장의 뒤에 붙어있는 연습문제들을 통해 본문에서 제기된 논점들을 다시 확인하고 여러 자료들을 직접 분석해 봄으로써 능동적인 연구에의 발판을 다지게 될 것이다.
1995년에 번역 출간된 Morphology(1993) 초판은 2000년, 2004년, 2008년까지 4쇄를 거듭하면서 한국의 많은 학생들에게 형태론의 종합적인 개론서로서 인기를 누려온 것이 사실이다. 한편 Katamba 교수가 Stonham 교수와 공저로 2006년에 개정 출간한 제2판에서는 최근의 자료들을 본문과 연습문제에 적절히 보충하고 최적성이론의 개요를 별도의 장으로 추가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형태론의 주류 경향들에 대한 단계적인 이해를 높이는 데 한층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서의 번역에 있어 역자들은 기본적으로 저자들의 본래 의도에 충실하도록 노력하였으며, 용어의 번역에 있어서는 가능하면 기왕에 출간된 저서들의 관례를 좇아 독자편에서의 혼동을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곳곳에서 발견되는 모순된 논리와 오식의 경우에는 일일이 원전을 대조하거나 공동저자인 Katamba 교수와의 교신을 통해 수정을 가하였다. 또한 독자의 편이를 위해 원서에서 약자로 표기된 술어들은 가능하면 풀어쓰기로 하였다. 바라건대 번역자들의 노력이 영어 및 일반 언어 형태론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들에게 작으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초판의 번역은 전적으로 그 당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셨고, 현재는 명예교수이신 전상범 교수님의 제안으로 이루어졌다. 선생님의 탁월하신 선견지명과 배려 덕분에 독자들로부터 호응도 높은 책을 번역할 수 있었음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한편 Morphology 제2판의 번역에는 그동안 초판을 읽고 공부한 여러 독자들의 적극적인 조언이 반영되었음을 밝히며, 이 자리를 빌어 심심한 감사를 표하고자 한다. 아울러 역자들의 초고를 검토하고 수정해 가는 과정에서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성제현의 도움을 받았으며, 그 기꺼운 도움에 고마움을 표하고자 한다. 또한 Palgrave 출판사로부터 번역의 판권을 얻어 계약하고 흔쾌히 출판을 맡아준 한국문화사와 편집진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바이다.
2008년 8월 염천에
김진형, 김경란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Francis Katamba(지은이)
<형태론>
John Stonham(지은이)
Education University of Victoria, B.A. (Hons) Stanford University, M.A., Ph.D. Academic Positions External Examiner, University of Manchester Reader in Linguistics,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External Examiner, University of Edinburgh Lecturer, University of Hong Kong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Ottawa Assistant Professor and Director of Phonetics Laboratory, University of Maryland Lecturer, Stanford University Current Position Professor, Division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uthored Books Morphology. 2nd ed. With Francis Katamba. (2006, Palgrave Macmillan). A Concise Dictionary of the Nuuchahnulth Language of Vancouver Island. (2005, Edwin Mellen Press). Linguistic Theory and Complex Words. (2004, Palgrave). Aspects of Tsishaath Nootka Phonetics & Phonology. (1999, LINCOM Europa). Combinatorial Morphology. (1994, John Benjamins). Book Translation Cognition and Representation in Linguistic Theory. A. Culioli. (with M. Liddle, 1995, John Benjamins).
김진형(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Ph.D.)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객원교수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저서 : 영어와 한국어의 어형성에 관한 연구(1992, 서울대학교) 역서 : 형태론(Andrew Spencer 1994, 공역, 한신문화사), 형태론(Francis Katamba 1995, 공역, 한신문화사), 형태론<대우학술총서 481>(Eugene Nida 2000, 아카넷), 최적성이론의 주제별 안내(John J. Mccarthy 2003, 공역, 한국문화사)
김경란(옮긴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과 졸업 미국 하와이대학 언어학과 졸업(Ph.D.) 미국 Ball State University 교환교수 University of Sydney 객원교수 현재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저서 : The Pitch-Accent System of the Taegu Dialect of Korean with Emphasis on Tone Sandhi at the Phrasal Level(1988, 한신문화사), 음운론 : SPE 이후의 이론들(1997, 한신문화사) 역서 : 형태론 (Francis Katamba 1995, 공역, 한신문화사), 음운론(Andrew Spencer 1999, 한신문화사), 형태론(Mark Aronoff&Kirsten Fudeman 2005, 한국문화사)

Table of Contents
목차 Preface to the Second Edition = ⅴ 옮기는 말 = ⅶ 한국어판 서문 = ⅸ 개정판의 서문 = xi 감사의 말 = xii 약어와 부호 = xiii 국제음성부호 = xv 제1부 배경 = 1 1. 서론 = 3 1.1 형태론의 출현 = 3 1.2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에서의 형태론 = 4 1.3 Chomsky식의 생성문법 개념 = 5 1.3.1 초기 생성문법에서의 형태부 위치 = 12 1.3.2 형태부-음운부 상호작용 = 15 1.3.3 형태부-통사부 상호작용 = 16 1.3.4 형태부-의미부 상호작용 = 17 1.3.5 어휘부 = 17 1.4 본서의 구성 = 18 2. 어구조에 대한 소개 = 21 2.1 단어란 무엇인가? = 21 2.1.1 어휘소 = 21 2.1.2 어형 = 23 2.1.3 문법어 = 23 2.2 형태소: 의미의 최소단위 = 24 2.2.1 단어분석 = 27 2.2.2 형태소, 형태, 이형태 = 29 2.2.3 문법적 조건, 어휘적 조건, 보충법 = 38 2.2.4 기저표시 = 40 2.3 형태소의 본질 = 44 2.4 요약 = 50 추가 읽기 = 51 연습문제 = 51 3. 형태소의 유형 = 53 3.1 어근, 접사, 어간, 어기 = 53 3.1.1 어근 = 53 3.1.2 접사 = 57 3.1.3 어근, 어간, 어기 = 59 3.1.4 어간 확장자 = 61 3.2 굴절/파생형태소 = 62 3.3 다중 접사첨가 = 69 3.4 합성어형성 = 71 3.5 품사전환 = 72 3.6 형태적 동음탈락 = 74 3.7 형태유형론 = 74 3.8 단어-계열 형태론과 단어 중심성 = 82 연습문제 = 84 4. 어형성에서의 생산성 = 87 4.1 어휘부의 개방성 = 87 4.1.1 생산성이란 무엇인가? = 89 4.1.2 준-생산성 = 95 4.1.3 생산성과 창조성 = 97 4.2 생산성의 제약 = 90 4.2.1 저지 = 98 4.3 생산성이 굴절과 파생을 구분하는가? = 107 4.4 어휘부의 본질 = 110 4.4.1 가능어 = 110 4.4.2 언어지식과 어휘부의 역할 = 111 추가 읽기 = 112 연습문제 = 112 제2부 형태부, 그리고 형태부와 음운부의 관계 = 115 5. 어휘형태론 개요 = 117 5.1 어휘음운론/형태론 모델 = 117 5.2 어휘층위 = 118 5.2.1 어휘형태론에서의 파생 = 122 5.2.2 어휘형태론에서의 굴절 = 132 5.3 어휘규칙 = 139 5.4 어휘규칙과 후어휘규칙의 차이 = 142 추가 읽기 = 145 연습문제 = 146 6. 어휘형태론 통찰 = 149 6.1 서론 = 149 6.2 어휘형태론적 통찰 = 149 6.2.1 형태소 배열에서의 층위유순 = 151 6.2.2 층위유순과 생산성 = 158 6.2.3 층위유순과 품사전환 = 160 6.2.4 엄밀순환조건 = 165 추가 읽기 = 177 연습문제 = 177 7. 어휘형태론: 그 평가 = 179 7.1 서론: 어휘형태론의 주장 = 179 7.2 어휘형태론 비판 = 180 7.2.1 어휘층위는 어근이 아닌 접사에 의해 정해지는가? = 180 7.2.2 접사는 하나의 층위에만 소속되는가? = 182 7.2.3 몇 개의 층위가 필요한가? = 187 7.2.4 음운규칙은 하나의 층위에만 국한되는가? = 189 7.2.5 형태규칙은 하나의 층위에만 국한되는가? = 192 7.3 결론 = 204 연습문제 = 205 8. 형판형태론 = 209 8.1 서론 = 209 8.2 음운론적 서론: 자립분절 음운론 = 209 8.2.1 자립분절 음운론: 전사원리 = 211 8.2.2 골격층렬 = 218 8.3 어근과 패턴 형태론 = 221 8.3.1 아랍어의 비녀님 = 221 8.3.2 운율형태론과 비연쇄형태론 = 224 8.3.3 형태소층렬 가설 = 233 8.4 결론 = 238 연습문제 = 239 9. 형판/운율형태론 = 243 9.1 중첩이란 무엇인가? = 243 9.2 중첩은 구성소 복사인가? = 246 9.3 CV-형판과 중첩 = 248 9.3.1 불완전명시 = 248 9.3.2 접두사첨가로서의 중첩 = 250 9.3.3 접미사첨가로서의 중첩 = 255 9.3.4 내부중첩 = 257 9.3.5 중첩과 고정 분절음 첨가 = 259 9.4 운율형태론 = 261 9.5 기타의 운율 현상들 = 267 9.5.1 공제 형태론 = 267 9.5.2 영어의 욕설 삽입 = 269 9.6 결론 = 270 연습문제 = 271 10. 최적성이론과 형태론 = 275 10.1 서론 = 275 10.2 기본 원리 = 276 10.2.1 표시법 = 277 10.2.2 제약의 상호작용 = 278 10.3 최적성이론에서의 형태론 = 286 10.4 층위 최적성이론 = 288 10.5 결론 = 294 추가 읽기 = 294 연습문제 = 295 제3부 형태부, 그리고 형태부와 어휘부/통사부의 관계 = 297 11. 굴절형태론 = 299 11.1 서론 = 299 11.2 굴절과 파생 = 300 11.2.1 굴절과 파생의 구분 = 300 11.2.2 관련성과 일반성 = 308 11.2.3 형태부는 필요한가? = 315 11.3 동사의 굴절범주 = 318 11.3.1 동사의 내재적 특성 = 318 11.3.2 동사의 일치 특성 = 325 11.3.3 동사의 형상적 특성 = 327 11.4 명사의 굴절범주 = 335 11.4.1 명사의 내재적 범주 = 335 11.4.2 명사의 일치 범주 = 339 11.4.3 명사의 형상적 범주 = 341 11.5 결론 = 351 연습문제 = 352 12. 문법기능의 형태적 전사 = 357 12.1 서론 = 357 12.2 술어, 논항, 어휘항목 = 358 12.3 의미역과 어휘항목 = 358 12.4 문법관계 = 366 12.5 문법기능 변화규칙 = 370 12.5.1 수동태 = 374 12.5.2 반수동태 = 377 12.5.3 응용구문 = 379 12.5.4 사역구문 = 383 12.6 경상원리 = 385 12.7 포합 = 395 12.7.1 명사 포합 = 395 12.7.2 동사 포합 = 397 12.7.3 전치사 포합 = 399 12.8 결론 = 400 연습문제 = 402 13. 어휘부, 형태부, 통사부의 상호작용 = 407 13.1 서론: 모듈 사이의 상호작용 = 407 13.2 합성어형성에서의 음운적 요인 = 408 13.3 합성어는 통사구와 다른가? = 410 13.3.1 '단어' 개념의 재검토 = 412 13.3.2 목록소 = 412 13.3.3 미기재된 형태적 객체 = 414 13.3.4 통사적 객체와 통사적 원자 = 416 13.4 어형성 규칙의 특징 = 422 13.4.1 합성어의 유핵성 = 423 13.4.2 우측핵 규칙 = 435 13.4.3 좌측핵 합성어 = 440 13.4.4 무핵 합성어 = 445 13.5 합성어형성과 파생 = 449 13.5.1 크랜베리 단어 = 449 13.5.2 신-고전 합성어 = 451 13.6 접어 = 454 13.7 결론 = 461 연습문제 = 464 용어해설 = 467 참고문헌 = 481 찾아보기 = 505 언어 색인 = 505 주제 색인 = 508 저자 색인 =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