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44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483531 | |
005 | 20140318112617 | |
007 | ta | |
008 | 081010s2008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78789998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1459225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2.6 ▼2 23 |
085 | ▼a 372.6 ▼2 DDCK | |
090 | ▼a 372.6 ▼b 2008z3 | |
100 | 1 | ▼a Andrews, Larry ▼0 AUTH(211009)42096 |
245 | 2 0 | ▼a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 / ▼d [Larry Andrews] ; ▼e 이관규 [외] 옮김 |
246 | 1 9 | ▼a Language exploration and awareness : ▼b a resource book for teachers ▼g (3rd ed.)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08 | |
300 | ▼a 474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역자: 신호철, 오현진, 백혜선, 장봉기 | |
504 | ▼a 참고문헌: p. 460-474 | |
650 | 0 | ▼a Language arts |
650 | 0 | ▼a Activity programs in education |
650 | 0 | ▼a Teaching |
700 | 1 | ▼a 이관규 ▼g 李寬珪, ▼d 1961-, ▼e 역 ▼0 AUTH(211009)19032 |
700 | 1 | ▼a 신호철 ▼g 申昊澈, ▼e 역 ▼0 AUTH(211009)2683 |
700 | 1 | ▼a 오현진 ▼g 吳炫珍, ▼e 역 |
700 | 1 | ▼a 백혜선 ▼g 白惠善, ▼e 역 |
700 | 1 | ▼a 장봉기 ▼g 張峰綺, ▼e 역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5083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741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5083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참고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92050982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512701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5083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741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5083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117143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참고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92050982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2.6 2008z3 | 등록번호 1512701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 교수법에 관한 책. 문법 수업은 국어 수업의 일부이며 국어 수업을 잘 하는 기초이다. 좋은 국어 수업을 위해서 국어 자체를 알아야 한다. 문법 연구를 탐구하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 자체에 대해서 탐구하고 인식하는 본보기를 이 책에서 볼 수 있다.
문법 연구가 맞나
국어 연구가 맞나?
문법 연구는 언어학적 접근이고
국어 연구는 국어적 접근이다.
국어 교육에서는
국어 자체를 다루고 국어 사용 양상을 다룬다.
국어를 잘 안다는 것은
국어를 잘 사용하기 위한 전제가 된다.
“언어 탐구와 인식”이라는 원래의 책 제목을
“국어 수업을 위한 언어 탐구와 인식”이라는 제목으로 바꿨다.
문법 수업과 국어 수업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문법 수업은 국어 수업의 일부이며 국어 수업을 잘 하는 기초이다.
좋은 국어 수업을 위해서
국어 자체를 알아야 한다는 소박한 생각이 책 제목에 스며들어 있다.
문법 연구를 탐구하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국어 자체에 대해서 탐구하고 인식하는 본보기를 이 책에서 볼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문법 수업은 바로 이러한 국어 수업이다.
올바른 국어 수업을 위해서 이 역서는 길라잡이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관규(지은이)
저자는 충청남도 부여에서 출생하고 서울에서 청소년기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공부를 하였다.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와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교육학회와 한국문법교육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하였고,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심의위원, 국립국어원 국어규범정비위원회 정비위원을 맡는 등 여러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학교문법론>>, <<학교문법교육론>>,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등 주로 문법 교육 분야의 저술을 집필하였으며, 최근에는 <<북한의 학교문법론>>, <<남북한 어문 규범의 변천과 과제>>를 집필하고 <<체계기능언어학 개관>>을 발간하는 등 연구 영역을 새로이 확장하고 있다.

목차
목차 옮긴이 서문 = 5 저자 서문 = 7 일러두기 = 14 제1부 언어 탐구와 인식 : 이론적 근거 = 17 제1장 언어 탐구와 인식 : 그것은 무엇인가? = 19 제2장 언어 탐구와 인식 : 왜 필요한가? = 44 제3장 언어 탐구와 인식 : 세 가지 전제조건 = 73 제2부 언어 탐구와 인식 : 구성 요소 = 103 제4장 의사소통과 언어의 특성 = 105 제5장 단어와 사전 편찬 = 141 제6장 문법, 철자, 좋은 영어 = 185 제7장 일상적 담화와 사회적 관습 = 235 제8장 지역적, 사회적, 역사적 변이 = 282 제9장 의미와 일반 의미론 = 347 제10장 편협하고 차별적인 언어 = 394 제11장 누군가 영어를 하지 못할 때 = 434 참고문헌 =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