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82camccc200397 k 4500 | |
001 | 000045483494 | |
005 | 20100807070945 | |
007 | ta | |
008 | 080922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917663 | |
035 | ▼a (KERIS)BIB000011428496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 ▼2 22 |
090 | ▼a 616.89 ▼b 2008a9 | |
245 | 0 0 | ▼a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 / ▼d Bruce W. Scotton , ▼e Allan B. Chinen, ▼e John R. Battista 공편 ; ▼e 김명권 [외] 공역. |
246 | 1 9 | ▼a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8. | |
300 | ▼a 565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공역자: 박성현, 권경희, 김준형, 백지연, 이재갑, 주혜명, 홍혜경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Transpersonal psychotherapy. |
650 | 0 | ▼a Transpersonal psychology |
700 | 1 | ▼a Scotton, Bruce W. , ▼e 편 ▼0 AUTH(211009)19479 |
700 | 1 | ▼a Chinen, Allan B. , ▼d 1952- , ▼e 편 ▼0 AUTH(211009)137796 |
700 | 1 | ▼a Battista, John R , ▼q (John Robert) , ▼d 1946- , ▼e 편 ▼0 AUTH(211009)110628 |
700 | 1 | ▼a 김명권 , ▼e 역 ▼0 AUTH(211009)89272 |
700 | 1 | ▼a 박성현 , ▼e 역 ▼0 AUTH(211009)29063 |
700 | 1 | ▼a 권경희 , ▼e 역 |
700 | 1 | ▼a 김준형 , ▼e 역 ▼0 AUTH(211009)37936 |
700 | 1 | ▼a 백지연 , ▼e 역 |
700 | 1 | ▼a 이재갑 , ▼e 역 |
700 | 1 | ▼a 주혜명 , ▼e 역 |
700 | 1 | ▼a 홍혜경 , ▼e 역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08a9 | 등록번호 111507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08a9 | 등록번호 1115075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동서양 정신문명 통합의 정점
철학, 심리학, 신학, 예술, 문학, 자연과학 등 어느 하나의 분야만으로는 이 세계를 온전히 이해함에 있어서 우리를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 없었다. 나를 온전히 볼 수 있는 관점, 세계와 우주를 온전히 볼 수 있는 넓고 깊은 패러다임을 만나기 어려웠다. 우리는 몸만도 아니고 마음만도 아니고 또 영성의 존재만도 아닌 이 모든 차원을 함께 하는 존재다.
영적인 사람 가운데 어떤 이는 자신의 영성을 기존의 종교에 엮어 넣지 못하는 기질을 갖고 태어난다. 그들은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진 않기 때문이다. 물론 영적이면서도 종교적인 사람도 있으며, 이들은 아주 행복한 사람이라 할 것이다.
흔히 자아초월 심리학으로 불리는 이 분야는 전자의 기질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구원과도 같다. 우리는 세상을 이해하는 만큼만 세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해의 틀을 제공받는다는 것은 실로 중요하다.
전통적인 심리학만으로는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고 들여다보는 틀이 대단히 좁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자아초월 심리학의 틀로 자신을 이해하면 부족함이 없다. 이전에는 심리학은 학문에서, 영성은 종교에서 따로 만나야 했지만 이제 이 둘을 자아초월 심리학이라는 하나의 틀 안에 넣어 이해할 수 있기에 심리학과 영성의 충돌이 없고, 학문과 종교간의 괴리도 없어졌다. 자아초월 심리학은 전통적으로 종교적 또는 영적이라고 간주해 왔던 일에 대해 반성적이며 과학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
이 책은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이론과 임상 실제의 주요 분야들을 총망라하고 있어 이 분야의 입문서로서 매우 훌륭하다.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에 영향을 미친 주요 연구자들의 이론과 전 세계의 영적 전통을 개관하고 있으며, 여러 인접학문들과의 상호 연결성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자아초월적 심리치료 모델에 관심을 갖는 상담자나 임상가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종교적, 영적 문제들에 대한 진단과 함께 다양한 자아초월적 치료기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며, 통합적인 심리치료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알랜 B. 치넨(지은이)
미국의 정신분석학자로서 현재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 정신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융학파에 속하는 그는 옛날 이야기와 신화를 통해 인간의 심리 현상을 해명하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 <젊은 여성을 위한 심리 동화>, <영웅을 넘어서>, <어른스러움의 진실> 등이 있다.
Bruce W. Scotton(지은이)
의학박사.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정신의학 임상 부교수이며, 공인 융 학파 분석가로서 정신과 개업의로 활동하고 있다.
John R. Battista(지은이)
의학박사, 문학석사. 코네티컷 주 뉴밀포드에서 정신과 개업의로 활동하고 있으며, 의식 연구과 성격 이론 분야의 저술가이다.
김명권(옮긴이)
상담심리 및 임상심리 전문가로 한국집단상담학회 회장, 인간중심 및 체험 상담학회 회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등에서 상담심리학 전공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영성심리상담센터 대표를 맡고 있다. 이 생에서 영성과 심리치료를 함께 만난 것에 늘 감사하고 있다. 집단상담 및 트랜스퍼스널 심리학과 심리치료에 관한 역서들로 《7가지 행복명상법》 《깨달음의 심리학》 《자아초월심리학과 정신의학》 《의식수준을 넘어서》 《켄 윌버의 일기》 《모든 것의 이론》 그리고 《켄 윌버의 통합영성》 등이 있다. 최근에는 대표적인 트랜스퍼스널 심리치료인 ‘트랜스퍼스널 숨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권경희(옮긴이)
상담심리전문가이며 소설가인 필자는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에서 불교 상담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8년 전 불교 초기경전 아함경을 깊이 연구하여『붓다의 상담-꽃향기를 훔치는 도둑』을 출간한 이후 꾸준히 불교와 현대 상담심리학의 응용 및 상관관계를 연구해 왔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1급)이며,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상담심리전문가, 한국가족상담협회 수련감독자,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 ‘착한벗선우랑 심리상담센터’ 상담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법명은 ‘보리장(菩提藏)’으로 광덕 스님으로부터 받았다. 필자는 1990년 장편추리소설『저린 손끝』으로 제1회 김내성 추리문학상을 받은 추리작가이기도 하며,『거울 없는 방』,『물비늘』,『트라이앵글』등 장편소설과 에세이집『요설록』,『흔들리는 삶을 위한 힌트』등의 저서가 있다. 블로그-저린 손끝 http://blog.daum.net/dodam2004
이재갑(옮긴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수료(생물심리학)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박사 수료 임상심리전문가, 중독심리전문가 한국분석심리학회 연구회원 현재 KRA 임상심리학자
김준형(옮긴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자아초월상담학 박사 영상영화치료수련감독자, 불교상담심리전문가 예술치료사(호주 소피아 대학) 현 열린사이버대학교 예술상담학과 외래교수 비커밍연구소-아트테라피센터 소장 <역서> 사진미술치료, 집중적 단기역동심리치료 자아초월심리학과 정신치료, 시네마테라피 등
박성현(옮긴이)
現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現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부설 심리상담센터 소장 가톨릭대학교 석사 및 박사 상담심리사 1급(한국상담심리학회)
백지연(옮긴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자아초월 상담학 석사 졸업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자아초월 상담학 전공 박사과정 수료 현재 열린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비커밍연구소 대표
주혜명(옮긴이)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한서대학교 대학원 심신건강증진학과에서 수학했으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조선대학교 대체의학과 초빙객원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의식개발 프로그램 아봐타 마스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통합의학교실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돈을 끌어오는 마음의 법칙>, <나를 찾는 에니어그램, 상대를 아는 에니어그램> 등이 있다.
홍혜경(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전공 석사 졸업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자아초월 상담학 전공 재학 중(2008년 현재) 상담심리사 1급, 아봐타 마스터/위저드, 음악명상지도자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3 권두언 = 7 Part 1 서론 Chapter 1 자아초월 정신의학의 소개와 정의 = 25 Chapter 2 자아초월 정신의학의 출현 = 31 역사 = 31 이 분야에 대한 비판 = 35 문화적 맥락 = 37 Part 2 이론과 연구 서구의 정신의학과 심리학 Chapter 3 윌리엄 제임스와 자아초월 정신의학 = 47 배경과 초기 연구 = 47 심리학 = 49 예외적인 정신 상태 = 50 신비체험 = 51 자아초월의 정의 = 53 결론 = 53 Chapter 4 자아초월 심리학에 대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영향 = 57 대양적 느낌 = 58 고르게 퍼져 있는 주의 = 62 쾌락 원리를 넘어서 = 65 Chapter 5 칼 융이 자아초월 정신의학에 기여한 것 = 69 간략한 일대기 = 70 분석심리학의 기본 개념 = 74 분석의 과정 = 80 비교문화적 신비주의 연구 = 81 결론 = 83 Chapter 6 아브라함 매슬로와 로베르토 아사지올리: 자아초월 심리학의 선구자들 = 87 매슬로의 과학철학 = 88 성인의 심리적 발달에 대한 아사지올리의 자아초월적 관점 = 93 결론 = 97 Chapter 7 켄 윌버의 세계관 = 99 의식의 스펙트럼 = 99 발달 이론 = 100 진화 = 102 인식론 = 106 사회학 = 106 물리학 = 108 존재론 = 109 개인적 숙고 = 110 결론 = 110 Chapter 8 의식에 대한 스타니슬라프 그로프의 연구 = 115 LSD 회기의 관찰: 내용과 현상학 = 115 이론의 실제 적용 = 122 홀로트로픽 치료의 개발 = 123 영적 위기와 홀로트로픽 작업을 위한 네트워크의 창조 = 124 결론 = 125 Chapter 9 의식, 정보 이론 그리고 자아초월 정신의학 = 127 의식의 정보 이론 = 127 의식의 상태와 정보 이론 = 128 정신병리와 심리치료 = 133 결론 = 137 각 문화권의 전통 Chapter 10 샤머니즘과 치유 = 141 샤먼의 기법 = 142 샤먼 만들기 = 146 샤먼의 치유 의식 = 147 자아초월 정신의학을 위한 샤머니즘의 시사점 = 147 결론 = 148 Chapter 11 자아초월 정신의학에 대한 힌두교와 요가의 공헌 = 151 기본 가정 = 151 자기 진화의 길 = 153 아유르베다 = 154 요가 = 157 자아초월 정신의학과의 연관성 = 161 Chapter 12 불교가 자아초월 정신의학에 기여한 것 = 163 철학적 원리 = 164 의식의 심리학 = 165 영적 가르침 = 167 치료와 치유의 문제 = 170 이러한 사고 체계의 결과 = 171 결론 = 172 Chapter 13 카발라와 자아초월 정신의학 = 175 현실의 네 수준 = 175 세피로트와 생명의 나무 = 177 우주론과 원형 = 178 죽음에 대하여 = 179 영적 작업과 카운슬링 = 181 오늘날의 카발라 = 181 결론 = 183 Chapter 14 자아초월 심리학: 기독교 신비주의 안에 있는 뿌리 = 187 신약 성서의 가르침과 사막의 아버지와 어머니들 = 188 명상적 기도 수행 = 190 중세 전성기의 영성 = 192 기독교 신비주의에 있어서의 자아초월적 주제 = 193 인간 영혼에 대한 자아초월적 지도 = 194 심리적-영적 발달의 모델 = 196 결론 = 198 Chapter 15 북미 원주민 치유자들 = 201 병인론과 치료 = 202 아메리카 원주민 치유자들의 다양한 치유 방법들 = 204 결론 = 209 Chapter 16 노화와 성인의 영적 발달: 민담을 통해 본 인생 주기의 자아초월적 관점 = 213 정착과 마법의 상실 = 214 중년기와 악령 = 215 노년기 설화 = 218 임상적 적용 = 222 결론 = 225 의식의 변화에 대한 연구 Chapter 17 명상 연구: 예술의 상태 = 229 심리적 효과 = 230 생리적 효과 = 231 치료적 효과 = 234 복잡한 문제들 = 236 결론 = 237 Chapter 18 환각제와 자아초월 정신의학 = 241 환각제의 역사 = 242 환각제와 신경과학 = 244 환각제와 영성 = 245 환각제와 자아초월 정신의학 = 248 환각제를 사용하려는 동기 = 248 환각제의 위험성 = 249 결론 = 250 Chapter 19 초심리학과 자아초월 심리학 = 253 기본적인 네 가지 심령 현상 = 254 다른 형태의 심령 현상 = 256 종교와 심령 현상 = 258 마음의 본성에 관한 더욱 적절한 관점을 향하여 = 258 결론 = 259 서구의 다른 학문 분야 Chapter 20 현대 물리학과 자아초월 정신의학 = 265 물리학과 실재 = 265 인식론적 해석 = 267 고전적 해석 = 269 의식 설명 = 271 존재론적 해석 = 272 결론 = 276 Chapter 21 자아초월 정신의학에 대한 문화인류학의 공헌 = 281 자유 의식: 네팔의 타망 = 281 통과의례 = 284 결론 = 289 Chapter 22 서구 분석철학과 자아초월적 인식론 = 293 역사적 여행 = 294 진리의 개념들 = 298 진리의 양식들 = 302 결론 = 306 Part 3 임상 실제 진단 Chapter 23 진단: 종교적-영적인 문제에 대한 자아초월적 임상 접근 = 311 종교, 영성과 정신병리 = 311 신앙심의 차이 = 312 임상 실제에서의 문화적 민감성의 문제 = 313 종교적 혹은 영적인 문제 = 314 정신장애에 수반하는 종교적 혹은 영적 문제 = 321 정신병리와 종교적-영적 문제의 감별 진단 = 325 결론 = 327 Chapter 24 공격적인 영성과 영적인 방어 = 335 방어적인 영성 = 338 공격적인 영성 = 341 결론 = 347 Chapter 25 쿤달리니 현상과 치료 = 349 쿤달리니 경험 = 349 차크라 = 350 쿤달리니 각성의 관리 = 352 사례 = 354 결론 = 359 자아초월 정신의학 Chapter 26 정신병과 정신병적 특징을 가진 영적 위기의 자아초월 심리치료 = 363 자아초월 치료의 원리 = 364 정신병의 자아초월 치료 = 365 정신병적 특징을 동반한 영적 위기의 자아초월적 치료 = 369 결론 = 373 Chapter 27 자아초월적 기법과 심리치료 = 377 정신병 사례 = 377 성격적인 문제 = 378 신경증적 장애 = 382 치료의 대안으로서의 영적 훈련 = 384 실존적인 문제 = 387 결론 = 390 Chapter 28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자아초월 정신치료 = 393 내담자의 종교적 지향성의 존중 = 393 개인의 종교적 지향성의 존중 = 395 종교적 지향성과 생애 주기 = 398 권위의 소재에 있어서의 변화 혹은 갈등 = 400 종교적 상처의 치유 = 400 결론 = 403 Chapter 29 자아초월적 위기로서의 임사체험 = 405 임사체험 동안이나 직후의 접근 = 409 임사체험 후의 장기적 접근 = 413 Chapter 30 컬트 구성원이었던 사람에 대한 치료 = 423 가입 동기 = 425 컬트 지도자에 대한 판단 = 427 일반 사회에서의 컬트 행위 = 429 네 가지 기본적인 컬트 행위 = 430 심리치료자의 컬트 행위 = 434 지각의 가치 = 435 결론 = 435 정신약리학 Chapter 31 정신약리학과 자아초월 심리학 = 439 정신약리학에 대한 자아초월 심리학의 오해 = 443 자아초월 정신약리학의 원칙 = 446 Chapter 32 환각제 심리치료 = 449 정신이상발현 패러다임 = 449 정신용해 패러다임 = 450 환각제 패러다임 = 451 주의 사항들 = 455 결론 = 457 특수한 기법들 Chapter 33 명상의 임상적 측면 = 461 집중 명상 = 461 알아차림 명상 = 465 명상의 부작용과 부정적인 결과들 = 468 결론 = 473 Chapter 34 심상유도치료 = 475 기본적인 개요 = 476 고급 심상유도: 에너지 포인트를 이용한 작업 = 480 숙고할 점들 = 486 결론 = 487 Chapter 35 호흡작업: 이론과 기법 = 491 배경 = 491 절차 = 494 잠재적인 이득 = 496 사례 = 497 가능한 비판 = 500 결론 = 501 Chapter 36 전생 요법 = 503 적응증 = 504 준비 및 유도 = 504 탈동일시 = 505 통합과 변형 = 507 사례 연구 = 508 결론 = 514 윤리체계와 전문적 발전 Chapter 37 정신과 레지던트 수련 프로그램에서의 자아초월 정신의학 = 517 목표 = 519 학습 형태 = 522 슈퍼비전 = 523 결론 = 525 Chapter 38 인간과 생태적 생존의 심리학에 관하여: 현대의 전지구적 위협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527 인지적 관점 = 527 방어기제 = 528 강화물 = 529 동양의 심리학에 의해 언급된 메커니즘 = 530 심리적이고 사회적인 미성숙 = 531 적절한 대응 = 532 예상 가능한 유익한 효과 = 534 봉사를 위한 부름 = 535 Part 4 결론 Chapter 39 통합 및 결론 = 541 자아초월 이론과 과학 = 541 임상적 원리 = 544 Chapter 40 자아초월 문헌에 대한 주석 안내 = 549 자아초월 심리학과 정신의학 = 549 영적 연구 = 554 영적 전통 = 558 찾아보기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