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ousa, David A. 김유미 , 역.
서명 / 저자사항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 David A. Sousa 지음 ; 김유미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   2008.  
형태사항
280 p. : 삽도 ; 28 cm.
원표제
How the special needs brain learns. 2nd ed.
ISBN
9788958325307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1-271)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earning disabled children --Education. Learning. Cognition in children.
000 00882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483354
005 20100807070751
007 ta
008 080910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58325307 ▼g 93370
035 ▼a (KERIS)BIB000011433021
040 ▼a 211046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0.1523 ▼2 22
090 ▼a 370.1523 ▼b 2008z5
100 1 ▼a Sousa, David A. ▼0 AUTH(211009)19422
245 1 0 ▼a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 ▼d David A. Sousa 지음 ; ▼e 김유미 옮김.
246 1 9 ▼a How the special needs brain learns. 2nd ed.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 ▼c 2008.
300 ▼a 280 p. : ▼b 삽도 ; ▼c 28 cm.
504 ▼a 참고문헌(p. 251-271)과 색인수록.
650 0 ▼a Learning disabled children ▼x Education.
650 0 ▼a Learning.
650 0 ▼a Cognition in children.
700 1 ▼a 김유미 , ▼e 역. ▼0 AUTH(211009)55144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70.1523 2008z5 등록번호 1115075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70.1523 2008z5 등록번호 1115075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HOW THE special needs Brain Learns second edition

David A. Sousa가 특수교육에 대한 뇌 기반 접근을 개괄한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제1판)를 쓴 이래, 뇌의 기능에 대한 과학자들의 지식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제2판은 학급에서 최신의 신경과학적 연구 결과를 장애아에게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전면 개정한 제2판에서는 최신 자료를 기반으로, ADHD/ADD, 말하기·읽기·쓰기·수학장애·정서·행동장애, 자폐 및 아스퍼거증후군 등 학습장애아들에게 적용할 다양한 학습전략을 고찰하였다. 주도적인 평생 학습자, 파지증가, 인지적 유연성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보충하여 교육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위험에 처한 학생들을 평가하는 중재 반응성(RTI)
- 주의와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부분 보강
- 읽기, 정서, 행동장애 부분의 내용 개정
- 특수아의 판별, 조절, 동기유발을 위해 실제적인 틀을 제시하는 장 추가
- 230편 이상의 새로운 과학연구를 참고함

학급현장에 딱 맞는 실제적인 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Sousa의 이 책은 모든 교육자, 학교 행정가, 예비교사, 부모들에게 필독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비드 A. 수자(지은이)

교육뇌과학(educational neuroscience) 분야의 국제적 컨설턴트이자 최신 뇌과학연구를 학습향상전략으로 번안해 제시하는 십여 권의 책을 저술한 저자이다. 이제까지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 유럽,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 전역에서 20만 명이 넘는 교육관계자들에게 강연을 해왔다. 수자 박사는 메사추세츠 주 브릿지워터주립대학에서 화학으로 학사 학위를, 하버드대학에서 과학교육 석사 학위를, 럿거스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고등학교 과학교사로 근무하고, K-12 과학부장 및 뉴저지 지역 교육청 장학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 시튼홀대학교 겸임교수 겸 럿거스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는 과학 도서를 편집하고 일류 학술지에 교직원전문성계발, 과학교육, 교육연구에 관한 수십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가장 유명한 교육학 저서에는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How the Brain Learns)』, 『장애아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How the Special Needs Brain Learns)』, 『영재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How the Gifted Brain Learns)』, 『How the Brain Learns to Read』, 『뇌를 알면 문제행동 해결이 보인다(How the Brain Influences Behavior)』, 미국독립출판인협회에서 2008년 최고의 직업능력계발서 중 한 권으로 선정한 『뇌는 수학을 어떻게 배우는가(How the Brain Learns Mathematics)』, 『뇌 친화적인 교육 리더(The Leadership Brain)』, 『Engaging the Rewired Brain』, 『마음 뇌 교육 - 21세기 교수 · 학습과학의 새 패러다임(Mind, Brain, and Education: Neuroscience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이 있다. 책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한국어 등의 언어로도 소개되었다. 전미교사연수협회(NSDC) 회장을 역임했다. 모교인 브릿지워터주립대학에서 자랑스러운 동문상과 명예박사 학위, 필라델피아 그라츠칼리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는 등 많은 영예를 수상했다. NBC <투데이>와 미국공영라디오(NPR)에 출연해 뇌과학 연구결과를 어떻게 학교현장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발언하기도 했다. 현재 플로리다 남부에 살고 있다.

김유미(옮긴이)

서울교육대학교 교수로 뇌와 상담의 연결고리에 관심을 두고 있다. 『두뇌를 알고 가르치자』 『위대한 뇌』 『뇌를 알면 아이가 보인다』 『위너 브레인』 『멋지고 새로운 뇌세계』 『영재의 뇌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자연 몰입』 『교육에서의 사회신경과학』 『뉴로사이코테라피』 『아픔에서 선물을 찾다』 등의 저·역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는 글
 장애아의 범위 = 2
 뇌 연구의 유용성 = 3
 이 책의 내용 = 4
 당부의 말 = 5
제1장 뇌와 학습
 뇌 표면 = 8
 뇌의 내부 = 10
 학습과 파지 = 15
 요즘 학생들의 뇌는 어떻게 다른가 = 20
제2장 학습곤란
 학습장애 = 26
 중재 반응성 = 34
 학생들이 전략적 학습자가 되도록 돕기 = 39
 고려할 전략 = 46
제3장 주의장애
 연구 결과 = 58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67
 고려할 전략 = 68
제4장 말하기 장애
 구어학습 = 80
 구어학습문제 = 88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94
 고려할 전략 = 95
제5장 읽기장애
 읽기학습 = 102
 읽기학습곤란 = 107
 읽기문제 발견하기 = 116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119
 고려할 전략 = 124
제6장 쓰기장애
 쓰기곤란 = 143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151
 고려할 전략 = 153
제7장 수학장애
 계산학습 = 168
 수학곤란 = 170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175
 고려할 전략 = 182
제8장 정서ㆍ행동장애
 정서, 행동 및 학습 = 187
 정서ㆍ행동장애 = 191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200
 고려할 전략 = 201
제9장 자폐스펙트럼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 210
 교육자들이 고려할 사항 = 224
 고려할 전략 = 225
제10장 종합
 학습장애아 돕기 = 233
주요용어 = 247
참고문헌 = 251
자료 = 271
찾아보기 = 273

관련분야 신착자료

일여 (2023)
김은형 (2022)
신명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