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협동학습과 탐구

협동학습과 탐구 (Loan 3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종일
Title Statement
협동학습과 탐구 / 이종일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   2008.  
Physical Medium
421 p. : 삽도 ; 25 cm.
Series Statement
교육이론실천연구 시리즈 ; 6
ISBN
9788925402048
General Note
공저자: 김미영, 김상룡, 김영민, 송언근, 이명숙, 이원희, 조영남, 조용기, 최석민, 최신일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713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483297
005 20100807070643
007 ta
008 080908s2008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2048
035 ▼a (KERIS)BIB000011442624
040 ▼d 211046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71.36 ▼2 22
090 ▼a 371.36 ▼b 2008
245 0 0 ▼a 협동학습과 탐구 / ▼d 이종일 [외].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 ▼c 2008.
300 ▼a 421 p. : ▼b 삽도 ; ▼c 25 cm.
440 0 0 ▼a 교육이론실천연구 시리즈 ; ▼v 6
500 ▼a 공저자: 김미영, 김상룡, 김영민, 송언근, 이명숙, 이원희, 조영남, 조용기, 최석민, 최신일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700 1 ▼a 이종일 ▼0 AUTH(211009)85449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6 2008 Accession No. 1115071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6 2008 Accession No. 1115071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종일(지은이)

저자는 경북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으며,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 저자는 “교육이론실천 연구회”의 회원들과 새로운 교육 담론들의 실천을 고민하며,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연구의 질적 접근』, 『교사교육: 반성과 설계』, 『교육적 질문하기』, 『협동학습과 탐구』, 『대안학교 길잡이』, 『비판적 사고와 교실수업』 등을 공동 출간하였으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된 관심 분야는 사회과 탐구수업, 사회변동과 시민성, 다문화교육이며, 『과정중심 사회과 교육』, 『사회과 탐구와 교사자질』, 『다문화사회와 타자이해』, 『정치적 올바름 논쟁과 시민성』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부 협동학습의 기초 
1. 원리로서의 협동 
2. 협동학습의 심리적 기초 
3. 협도학습과 경쟁문화 

제2부 협동학습법 Ⅰ: 성취의 공동책임 
4. 팀 성취 분담 학습 
5. 팀 보조 개별화 학습 
6. 협동학습 수용에서 ''함께 학습하기'' 
7. 수학교육에서의 학생 팀 학습 

제3부 협동학습법 Ⅱ: 과제의 공동해결 
8. 학문적 논쟁법 
9. 과제 분담 학습과 영어 수업 적용 
10. 복합 수업 
11. 집단 탐구법 
12. ''협동적'' 학습으로서의 프로젝트 활동 

제4부 협동학습의 실제 
13. 협동적 기초집단 형성에서 교사의 역할 
14. 토의학습의 집단구성하기 
15. 교사교육의 협동체제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