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림프와 면역계 = 1
1. 림프의 형성과 흐름 = 1
2. 림프의 경로 = 3
3. 림프기관 및 조직들 = 5
4. 림프구의 순환 = 8
5. 면역계의 구성 = 9
참고문헌 = 12
제2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 13
1. 비특이적 면역반응 = 13
2. 식작용과 세포내 살균 = 15
3. 산환 질소 의존 살균작용 = 19
4. 비특이적 반응에 의한 살균능력이 있는 면역 세포 = 19
참고문헌 = 21
제3장 보체 = 23
1. 보체계의 단백질 = 23
2. 보체 명명법 = 24
3. 보체 활성화 기전 = 24
4. 고전경로 = 24
5. 렉틴경로 = 26
6. 대체경로 = 27
7. 보체계의 조절작용 = 29
8. 용해경로 = 30
9. 보체 수용체 = 31
10. 보체활성경로에서 생성되는 생물활성물질 = 31
참고문헌 = 33
제4장 항원 = 35
1. 정의 = 35
2. 면역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36
3. 면역원의 화학적 성질 = 37
4. 항원의 유형 = 37
5. 항원결정인자 = 39
6. 슈퍼 항원 = 40
7. 내재 면역계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결정기 = 41
참고문헌 = 42
제5장 면역글로볼린의 구조와 기능 = 43
1. 일반적인 항체분자의 구조 = 43
2. 면역글로불린의 항원결합부위(가변부위)의 구조 = 51
3. 면역글로불린의 조각: 구조와 기능의 관계 = 53
4. 면역글로불린의 개별형, 동종형, 이형체 = 55
참고문헌 = 59
제6장 면역글로볼린과 T 세포 수용체의 유전자 재배열 = 61
1. 중쇄 유전자 계열 = 62
2. 경쇄 유전자 계열 = 65
3. DNA 재배열의 기전 = 67
4.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계열의 유전자 발현 순서 = 68
5. 항체다양성의 기원 = 71
참고문헌 = 75
제7장 항원-항체 반응: 원리와 응용 = 77
1. 항원-항체 반응의 성질 = 77
2. 친화력과 결합력 = 78
3. 항체의 특이성과 교차 반응성 = 80
4. 항원-항체 반응에 대한 실험 = 80
5. 침전(강)반응 = 82
6. 효소면역측정법 = 84
7. 엘리스팟 분석법 = 87
8. 세포관련 항원에 대한 검사 = 88
9. 보체결합반응 = 90
참고문헌 = 91
제8장 항체 반응과 항체의 생성 = 93
1. 항체 반응과 항체의 생성 = 93
2. 항원의 운명 = 93
3. 1차 및 2차 항체 반응 = 94
4. T 세포 의존성 항원에 대한 항체반응 = 95
5. T 세포 비의존성 항원에 대한 항체반응 = 101
6. 클래스 전환 = 101
7. 막 결합형 항체와 분비형 항체의 특이성 = 103
참고문헌 = 104
제9장 특이적 면역반응과 세포들 = 105
1. 면역계의 세포 = 105
2. 림프구의 이동 분포와 재순환 = 106
3. 특이적 면역반응 = 109
4. 수용체 특이성의 다양성 = 115
5. 클론선택이론 = 116
참고문헌 = 118
제10장 주요조직적합복합체, T 세포 수용체와 보조분자 = 119
1. 주요조직적합복합체 = 119
2. MHC 분자의 구조 = 119
3. T 세포 수용체 = 124
4. CD3 복합체 = 127
5. 세포-세포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표면 분자 = 128
참고문헌 = 130
제11장 항원에 대한 반응: 항원 처리 과정과 제시, MHC 제한과 흉선의 역할 = 131
1. 항원을 인식하는 B 세포와 T 세포의 표면 수용체에 대한 개요 = 131
2. T 세포의 종류 = 132
3. 항원처리과정과 항원의 제시 = 132
4. T세포에 대한 항원의 인지: MHC항원의 제한 = 138
5. 흉선의 역할 = 139
6. 슈퍼항원의 MHC 결합 = 142
참고문헌 = 143
제12장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Ⅰ = 145
1. 항체 형성에서 보조 T 세포-B 세포 상호작용 = 145
2. T 세포-비의존성 항원 = 148
3. CD5+ B 세포 = 149
4. 사이토카인 = 150
참고문헌 = 158
제13장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Ⅱ = 159
1. 세포 매개성 면역에서 보조 T 세포의 역할 = 159
2. 보조 T 세포의 분류 = 159
3. 사이토카인과 클래스(개별형)전환 = 161
4. 대식세포의 활성화 = 161
5. 세포독성 T 세포 = 164
6.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다른 종류의 세포 = 167
7. 면역조절 = 167
참고문헌 = 168
제14장 세포 이동과 염증 반응 = 169
1. 염증 반응 = 169
2. 세포부착 분자들 = 172
3. 호중구의 분출 = 175
4. 림프구의 분출 = 176
5. 케모카인: 염증 반응의 중요 인자 = 178
6. 염증의 다른 매개인자들 = 180
참고문헌 = 182
제15장 면역 접종(백신) = 183
1. 면역접종의 분류 = 183
2. 예방 백신 = 186
3. 치료백신 = 193
참고문헌 = 197
제16장 이식과 면역 = 199
1. 정의 = 199
2. 이식의 법칙 = 200
3. MHC 유전자복합체 = 202
4. MHC 항원 = 204
5. 장기이식과 관련된 거부반응의 종류 = 206
6. 이식편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방법 = 207
참고문헌 = 210
제17장 관용과 자가면역 = 211
1. 관용 = 211
2. 자가면역 = 215
참고문헌 = 222
제18장 과민성 면역반응 = 225
1. 과민반응 = 225
2. 1형 과민반응(알레르기) = 225
3. 2형 과민반응 = 231
4. 3형 과민반응 = 232
5. 4형 과민반응 = 234
참고문헌 = 237
제19장 감염과 면역 = 239
1.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 240
2.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 246
3. 진균류에 대한 면역 = 250
4. 원충 및 연충에 대한 면역 = 251
참고문헌 = 254
제20장 종양면역 = 257
1.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의 증거 = 257
2. 종양관련항원 = 258
3. 종양태아성항원 = 258
4. 바이러스성 종양에서의 종양관련이식항원 = 259
5.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된 종양관련이식항원 = 261
6. 종양에 대한 면역 = 261
7. 면역감시로 부터의 회피 = 261
8. 종양환자의 관리에서 종양 신생항원의 이용 = 262
참고문헌 = 264
제21장 면역결핍증 = 267
1. 일차성 면역결핍증 = 267
2. 이차성 면역결핍증 = 274
참고문헌 = 276
Appendix = 278
1.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 278
2. CYTOKINES = 279
Glossary = 282
찾아보기 = 300
Index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