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행정학의 기초이론 = 15
제1절 행정의 관점에서 본 현대국가의 특징 = 16
1. 국가관의 변천 = 16
2. 현대국가의 특징 = 16
제2절 행정의 개념 = 17
1. 정치와 행정의 비교 = 17
2. 공행정(행정)과 사행정(경영)의 비교 = 18
3. 행정법학에서의 행정개념 = 19
4. 행정개념에 대한 다각적 분석의 체계화 = 20
5. 행정의 정의와 구성요소 = 20
제3절 행정의 주체와 객체 및 분류 = 21
1. 행정의 주체 = 21
2. 행정의 객체 = 23
3. 행정의 분류와 행정지도 = 23
4. 공기업ㆍ제3섹터ㆍ준정부조직 = 24
제4절 행정목적 = 27
1. 행정철학 = 27
2. 행정이념 = 28
제5절 행정환경 = 30
1. 외적환경 = 30
2. 내적환경: 조직문화 = 31
3. 행정문화 = 31
제6절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성 = 32
1. 시대별 정치ㆍ사회ㆍ경제적 현상과 행정학 패러다임 = 32
2. 행정학의 연구대상(영역 및 초점)을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성 = 34
3. 행정학의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성 = 36
제2장 조직행정론(조직ㆍ관리론) = 57
제1절 조직ㆍ관리론의 기초 = 58
1. 조직의 의의와 유형 = 58
2. 관리의 의의와 유형 = 59
3. 조직ㆍ관리론의 변천과 관점 = 60
제2절 관료제론 = 63
1. 관료제론의 기초 = 63
2. 관료제의 유형 = 65
3. 관료제의 특성: 베버의 이념형 관료제의 특성 = 66
4.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 = 67
5. 관료제 소멸론과 불멸론의 근거 = 67
6. 관료제의 한계 극복방안: 미시적 차원 = 67
제3절 조직의 구조와 형태 = 68
1. 조직구조의 기본변수 = 68
2.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 71
3. 조직의 형태 = 72
제4절 관리의 기본요소: 권위와 리더십 = 74
1. 권위 = 74
2. 리더십 = 75
제5절 가치유지관리: 가치ㆍ이념교육 = 76
제6절 목표달성관리 = 76
1. 기획 = 71
2. 동기형성ㆍ유발 = 78
3. 관리통제 = 80
제7절 통합관리 = 81
1. 의사소통 = 81
2. 갈등관리 = 82
제8절 적응관리 = 84
1. 환경관리 = 84
2. 행정수요관리 = 84
3. TQM(Total Quality Management) = 85
4. 서비스관리 = 86
제9절 조직ㆍ관리의 변화 = 87
1. 조직혁신 = 87
2. 조직발전(O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89
제3장 정책론 = 117
제1절 정책론의 기초 = 118
1. 정책의 개념 = 118
2. 정책과 환경 및 정책과정 참여자 = 119
제2절 정책과정 = 120
1. 정책의제설정 = 120
2. 정책결정 = 121
3. 정책집행 = 123
4. 정책평가 = 125
5. 정책변동 = 127
제4장 인사행정론 = 145
제1절 인사행정론의 기초 = 146
1. 인사행정의 개념 = 146
2. 인사행정의 제도적 배경 = 146
3. 중앙인사기관 = 148
제2절 공직구조 = 149
1. 공직구조의 개념 = 149
2. 공무원의 분류 = 150
3.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151
4. 새로운 공직구조형성방안 모색 = 152
제3절 인적자원계획과 신규채용 = 154
1. 인적자원계획 = 154
2. 신규채용 = 154
제4절 경력발전관리 = 156
1. 경력발전관리의 의의 = 156
2. 수평적 인사이동: 배치전환ㆍ파견근무ㆍ겸임 = 156
3. 수직적 인사이동: 승진 = 157
4. 교육훈련 = 158
5. 근무성적평정 = 160
제5절 사기관리(士氣管理) = 162
1. 사기의 개념 = 162
2. 후생복지 = 162
3. 고충처리제도ㆍ제안제도ㆍ상훈제도 = 165
제6절 공직윤리 = 166
1. 공직윤리의 의의 = 166
2. 공직윤리의 내용: 행동규범 = 167
3. 행동규범위반에 대한 제재(징계)와 소청심사제도 = 170
4. 공직부패의 원인과 공직윤리의 제고방안 = 171
제7절 퇴직관리 = 172
1. 퇴직관리의 개념 = 172
2. 퇴직관리의 전략적 내용 및 과정 = 173
제5장 재무행정론 = 195
제1절 재무행정론의 기초 = 196
1. 재무행정의 개념 = 196
2. 재무행정관련법과 재무행정기관 = 196
제2절 예산이론의 기초 = 197
1. 예산의 본질 = 197
2. 예산의 종류 = 198
제3절 예산과정 = 201
1. 예산과정의 개념 = 201
2. 예산편성 = 202
3. 예산심의 = 206
4. 예산집행 = 207
5. 회계검사 = 210
6. 결산 = 211
제5절 물품관리 = 212
1. 물품관리의 기초 = 212
2. 물품관리의 내용 = 213
제6장 행정책임론 = 237
제1절 행정책임론의 기초 = 238
1. 행정책임의 본질 = 238
2. 행정책임의 유형과 기준 = 238
제2절 행정통제 = 239
1. 행정통제의 개념 = 239
2. 행정통제의 유형과 방법 = 240
제3절 정보사회와 행정정보공개 = 242
1. 정보사회 = 242
2. 행정정보체계와 정보화정책 = 243
3. 행정정보공개제도 = 243
제4절 시민참여 = 244
1. 시민참여의 개념 = 244
2. 시민참여의 유형 = 245
3. 시민참여의 한계와 행정의 방향 = 246
제5절 행정개혁 = 247
1. 행정개혁의 개념 = 247
2.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248
3. 행정개혁의 과정 = 248
4. 행정개혁의 저항 및 저항극복방안 = 249
제7장 지방자치론 = 263
제1절 지방자치론의 기초 = 264
1. 지방자치의 의의 = 264
2. 자치권의 의의와 종류 = 264
3. 지방자치의 가치와 현대적 경향 = 265
4. 지방자치의 유형 = 265
5.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266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조적 형태와 지역ㆍ계층 및 주민 = 267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종류 = 267
2. 지방자치단체 기관구성의 유형 = 268
3.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및 계층 = 268
·4.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 26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269
1. 지방의회 = 269
2. 집행기관(지방자치단체장) = 270
제4절 지방행정 = 271
1. 지방행정의 개념 = 271
2. 지방사무와 그 배분 = 272
3. 지방재정 = 273
4. 광역행정 = 275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