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2camccc200229 c 4500 | |
001 | 000045482378 | |
005 | 20100807065628 | |
007 | ta | |
008 | 081014s2008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5081657 ▼g 93600 | |
035 | ▼a (KERIS)BIB000011448674 | |
040 | ▼d 244007 ▼a 244007 ▼c 244007 ▼d 211009 | |
082 | 0 4 | ▼a 700.104 ▼2 22 |
090 | ▼a 700.104 ▼b 2008z1 | |
100 | 1 | ▼a 김광명 ▼g 金光明 ▼0 AUTH(211009)113486 |
245 | 1 0 | ▼a 인간에 대한 이해, 예술에 대한 이해 / ▼d 김광명 지음. |
260 | ▼a 서울 : ▼b 학연문화사 , ▼c 2008. | |
300 | ▼a 325 p. : ▼b 색채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10-316) 및 색인수록 | |
740 | ▼a 예술에 대한 이해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04 2008z1 | Accession No. 1115065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04 2008z1 | Accession No. 1115065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광명(지은이)
서울대 철학과(미학전공) 졸업 동대학원 미학전공 석사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 철학박사(철학, 사회학, 심리학 전공) ▶경력 서울대 및 동대학원, 홍익대 및 동대학원, 이화여대 및 동대학원, 중앙대 및 동대학원, 한국외국어대, 동덕여대 강사, 인하대 대우교수 역임 미국 템플대학교 철학과 교환교수 버지니아 대학 철학과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숭실대 사회교육원 원장, 인문대 학장 역임 현재 숭실대 철학과 명예교수 ▶저 · 역서 『삶의 해석과 미학』, 『예술과 인간가치』(출판협회 오늘의 책), 『칸트판단력비판연구』(학술원 우수학술도서)와 『칸트 미학사상의 이해』로 18회 서우 철학상 수상, 『칸트 평전』, 『예술에 대한 사색』(학술원우수학술도서), 『프로이트와 현대철학』, 『프라그마티스트 미학』(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예술에 대한 미적 모색』(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인간의 삶과 예술』(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플라톤에서 푸코까지』, 『칸트의 삶과 그의 미학』, 『다시 생각해보는 예술』(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이외 다수 ▶학회 및 사회활동 한국미학회 편집위원 역임, 한국감성과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철학연구회 편집위원 역임, 한국철학회 편집위원 역임, 한국철학회 학술이사 역임.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심사 평가위원 역임. 사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편집위원 역임, 한국예술학회 부회장 역임. 한국조형예술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 역임. 문화수도 추진기획단 자문위원 역임, 한국대학신문 논설위원 역임, 문화의 전당 국제건축공모 심사위원 역임, 한국미술협회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청주공예비엔날레 국제공모 심사위원 역임, (재) 광주 비엔날레 이사역임, (재)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위원회 운영위원 역임, 한국칸트학회 회장 및 고문(현), 미술비평 전문 계간지 『미술과 비평』 평론위원(현), 한국 힐링아트 센터 전문교수(현), (사)한국미술협회 자문위원(현)

Table of Contents
목차 책 머리에 = 4 1장 인간에 대한 이해 1.1. '인간'에 관한 물음의 위치와 방향 = 15 1) '인간'이라는 말의 뜻 = 15 2) '인간'에 관한 물음의 위치 = 18 3) '인간'에 관한 물음의 방향 = 21 1.2. '살아 있는 생명체'와 실존' = 24 1.3. '인간' 개념의 귀결과 철학적 인간학의 새로운 출발 = 35 1) '인간'에 관한 근본 개념의 귀결 = 35 2) 철학적 인간학의 새로운 출발 = 38 1.4. 철학에 대한 물음과 인간 그 자신에 대한 물음 = 43 2장 삶의 학으로서의 인문학 2.1. 들어가는 말 = 48 2.2. 현대의 상황과 인문학 = 51 2.3. 인문적 삶의 의미부여 방법으로서의 해석학 = 55 2.4. 삶의 이해와 인문학 = 58 2.5. 인간적인 삶의 다양성과 인문학 = 67 2.6. '통합과학'의 가능성으로서의 인문학 = 71 2.7. 맺는 말 = 76 3장 예술 교육의 근거로서의 미학 3.1. 들어가는 말 = 82 3.2. 미와 예술의 문제 = 84 3.3. 예술을 보는 관점과 해석의 문제 = 90 3.4. 예술 교사를 위한 미학이론 = 94 3.5. 맺는 말 = 101 4장 자연에 대한 미적 인식과 환경미학 4.1. 들어가는 말 = 104 4.2. 자연환경에 대한 평가 = 105 4.3. 자연에 대한 미적 인식 = 109 4.4. 환경미학의 모색 = 112 4.5. 맺는 말 = 116 5장 예술과 종교-기독교적 관점에서 5.1.들어가는 말 = 118 5.2. 예술과 종교에 대한 논의 = 119 5.3. 예술 일반에 관한 기독교적인 관점 = 123 5.4. 성서의 상징성 = 128 5.5. 성화와 성서의 인물들 = 132 5.6. 맺는 말 = 144 6장 숭고에 대한 이해-리오타르의 칸트 숭고미 해석 6.1. 들어가는 말 = 148 6.2. 칸트미학에서의 숭고한 감정의 대두 = 152 6.3. 리오타르의 칸트 이해 = 157 1) 미적 반성: 숭고와 취미의 비교 = 157 2) 숭고에 대한 범주적 고찰: 수학적 종합과 역학적 종합 = 160 3) 미와 숭고에 있어서의 미학과 윤리학 = 167 4) 소통의 문제 = 169 6.4. 맺는 말 = 175 7장 삶과 생명의 근원에 대한 조형적 접근 7.1. 삶의 원천에 대한 절제된 표현: 유(有)에서 무(無)로 - 박찬갑의 삶과 예술세계 = 180 7.2. 생명에 대한 천착: 생명으로의 회귀 - 최만린의 삶과 예술 = 187 7.3. 근원을 향한 명상: 영원한 생명 - 조각가 최종태의 삶과 예술세계 = 197 7.4. 원초적 삶: 자유에의 비상(飛翔) - 정창훈의 조각세계 = 208 8장 공간과 시간에 대한 사유 8.1. 관조와 평온을 위한 근원적 공간 - 정송규의 작품세계 = 222 8.2. 얼굴을 통해 본 '나이 들어감(aging)'과 시간성의 의미 - 하정민의 작품세계 = 229 8.3. 도시 이미지: 공간에 대한 사유-기옥란(奇玉蘭)의 작품세계 = 234 8.4. 존재와 생성의 문제: 그리드의 형성과 해체를 통한 비의적(秘義的) 접근 - 김재관의 예술세계 = 240 8.5. 힘(力)의 유출(流出)에서 사유(思惟)에 의한 유출로: 미완(未完)의 공백(空白) - 노재승의 작품세계 = 247 8.6. 비어 있음: 공간에 대한 무사유(無思惟) - 이매리의 작품세계 = 254 8.7. 정체성과 근원에 대한 탐색 - 이현숙의 작품세계 = 260 9장 자연에의 감정이입 9.1. 영원한 세계에 대한 동경 - 양계탁의 삶과 예술세계 = 270 9.2. 생기(生氣)의 이미지: 꽃의 내면세계 - 운향(云香) 최송대의 회화세계 = 276 9.3. 자연에 담겨진 질서와 조화에 대한 미적 관조 - 한농(韓農) 한기석의 작품세계 = 283 9.4. 산의 형상을 통해 본 자연에 대한 관조와 명상 - 김영재의 삶과 예술세계 = 290 9.5. 무욕(無慾)의 맛(味)과 아름다움(美) - 정산(靜山) 김연식(金演植)의 작품세계 = 298 9.6. 자연에의 회귀: 행복과 동심의 세계 - 김종상의 작품세계 = 304 참고문헌 = 310 찾아보기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