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7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82216 | |
005 | 20100807065406 | |
007 | ta | |
008 | 081007s2008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643615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437473 | |
040 | ▼d 211048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2 |
090 | ▼a 374 ▼b 2008z5 | |
100 | 1 | ▼a 김용현 ▼g 金容炫 ▼0 AUTH(211009)62290 |
245 | 1 0 | ▼a 평생교육개론 : ▼b 사회·평생교육과 열린 학습사회 / ▼d 김용현 지음. |
246 | 1 1 | ▼a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
260 | ▼a 파주 : ▼b 양서원 , ▼c 2008. | |
300 | ▼a 443 p. : ▼b 삽도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429-437) 및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8z5 | 등록번호 1115060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8z5 | 등록번호 111506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부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1999년에 사회교육법 체계를 평생교육법체계로 전환시켰으며, 2007년에는 평생교육법을 전면 개정하여 이를 더욱 고도화함으로써 국민의 평생학습 권리 보장을 강화시켰다. 특히 그동안 교육인적자우너부(현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 교육청 등 교육관련 부서에서만 관장해 오던 평생학습 관련 정책과 집행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과감히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생활과 직결된 평생학습의 구현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입법과정이 늘 그렇듯이 이번에도 학교교육과 무형식교육까지를 포함한 명실상부한 “평생학습법”의 도입은 무산되었고, 종전의 사회교육법의 대상을 유지한 “평생교육법”으로 남아 있게 되고 말았다. 필자가 누누이 강조하지만, “평생교육”또는 “평생학습”이란 “요람에서 무덤까지 학습해야 한다”는 교육철학 내지 학습의 이념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것을 구체화하는 메커니즘이 학교교욱(Formal Education)과 사회교육(Nonformal Education)인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일부에서 사회교육이란 용어가 청산되어야 할 일제잔재라는 이유를 들어 평생교육으로 일원화시키고 있어서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사회교육을 전공한 많은 학자와 전문가들에 의해서 Nonformal Education을 사회교육으로 일반화시켰는데, 이것 또한 비형식교육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는 등 사회교육에 대한 홀대가 지나친 실정이다. 개정된 평생교육법도 종전의 사회교육법과 동일하게 그 적용대상을 학교교육을 제외한 영역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필자가 이 책 제1장에서 논증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의 용어를 “사회·평생교육”이라고 사용하여 동일한 개념임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 책은 모두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평생교육 (2) 사회교육학의 성격 (3) 사회·평생교육의 필요성 (4) 사회·평생교육의 역사적 전개 (5) 사회·평생교육의 개념 (6) 사회·평생교육의 유형 (7) 사회·평생교육의 학습이론 (8) 사회·평생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9) 사회·평생교육의 평가 (10) 평생교육사 (11) 사회·평생교육의 행정과 제도 그리고 (12) 열린 학습사회를 위한 신학습체제이다.
특히, 이 책을 집필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것은 평생교육사가 되고자 학습하고 있는 사회·평생교육 학도들에게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고, 필자가 그동안 교육부의 사회·평생교육 담당 사무관, 과장 및 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익힌 경험과 실무를 소개하여 보다 생생한 현장을 습득할 수 있는 마당을 제공하고, 또한 각종 사회·평생교육단체와 시설에서 실천가(Catalyst)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평생교육인들에게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는 데 역점을 두었으며, 사회·평생교육에 관심이 있는 그 밖의 모든 분들에게 안내의 역할을 하여 자기주도적 평생학습을 실천할 수 있도록 내용을 조직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용현(지은이)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졸업(B.A.),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에서 사회?평생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석사(M.Ed.) 및 교육학 박사(Ed.D.) 학위 취득 호주 정부 초청 Intensive English Course 수료 미국 국무성 초청 Hubert Humphrey Fellowship Program 수료 미국 Boston University의 Summer English Course 수료 제16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문교부 사회교육과장?교직과장?전문대학행정과장?대학학무과장 청와대 교육비서실 행정관?교육부 교육행정과장 ?충북대학교 사무국장 주미한국대사관 교육참사관?교육부 공보관?평생교육국장?고등교육지원국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및 Long Island University 교환교수 한국학원총연합회 사무총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경복대학교 영유아보육과 교수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인정심의위원회 부위원장 및 위원장 한국성인교육학회 상임이사?한국산업교육학회 부회장?Phi Delta Kappa 회원 현재, (사)한국학점은행평생교육협의회장, 군장대학교 및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석좌교수 (사)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고문, 교육부 학점은행발전자문위원회 위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고려대학교 대학원?숭실대학교 인문 대학 및 교육대학원?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박사과정 등 외래교수 【저 서】 사회교육학개론(문우사, 1990) 사회교육과 열린 평생학습(독자와 함께, 1998) 사회?평생교육과 열린 학습사회(독자와 함께, 2001) 사회?평생교육방법론(법원사, 2004) 평생교육개론(양서원, 2008) 평생교육방법론(법원사, 2009)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공저, 양서원, 2010) 평생교육경영론(공저, 양서원, 2011) 평생교육방법론(공저, 양서원, 2013) 외 다수

목차
머리말 제1장 평생학습사회와 사회·평생교육 제2장 사회교육학의 성격 제3장 사회·평생교육의 필요성 제4장 사회·평생교육의 역사적 전개 제5장 사회·평생교육의 개념 제6장 사회·평생교육의 유형 제7장 사회·평생교육 학습이론 제8장 사회·평생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제9장 사회·평생교육의 평가 제10장 평생교육사 제11장 사회·평생교육 행정과 제도 제12장 열린 학습사회를 위한 신학습체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