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 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5
제3절 책의 구성 = 10
제4절 주요참고 자료 = 11
제2장 해방과 정부수립논의(1945.8-1946.3)
제1절 해방 직후 혼란기의 정부수립논의(1945.8-1945.12) = 15
제2절 행정연구위원회에서의 헌법논의(1945.12-1946.3) = 21
Ⅰ. 행정연구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21
1. 조직 = 21
2. 활동 = 26
Ⅱ. 행정연구위원회 헌법분과위원회에서의 헌법안 작성 = 29
1. 작성과정 = 29
2. 참여자 = 31
3. 참고자료 = 32
4. 토의내용 = 34
Ⅲ. 행정연구위원회안의 내용과 특징 = 36
1. 내용 = 36
2. 특징 = 48
제3장 미소공동위원회와 임시정부수립논의(1946.1-1947.12)
제1절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기의 헌법논의(1946.1-4) = 55
Ⅰ. 비상국민회의에서의 헌법논의 = 55
1. 비상국민회의의 탄생배경 = 55
2. 비상국민회의 헌법수정위원회의 조직 = 60
3. 비상국민회의 헌법수정위원회에서의 헌법안 준비 = 64
Ⅱ.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에서의 헌법논의 = 66
1. 민주의원의 탄생배경과 활동 = 66
2. 민주의원의 성격 = 69
3. 민주의원에서의 헌법안 작성 = 71
4. 민주의원안의 내용과 특징 = 81
제2절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무기휴회기의 헌법논의(1947.2-4) = 89
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탄생배경과 활동 = 89
Ⅱ. 입법의원 행정조직법기초위원회와 임시헌법기초위원회의 조직과 헌법안 작성 = 92
1. 조직 = 92
2. 헌법안의 작성 = 93
Ⅲ. 입법의원 본회의에서의 헌법안 심의 = 94
1. 행정조직법기초위원회안에 대한 심의 = 94
2. 남조선과도약헌안에 대한 심의 = 99
3. 임시헌법기초위원회에 대한 심의 = 108
4. 세 헌법안의 비교 = 114
제3절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기의 헌법논의(1947.5-12) = 117
Ⅰ.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전후의 국내정국 = 117
Ⅱ. 미소공동위원회에 제출된 각 정당과 사회단체의 답신안 = 119
1.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답신안의 내용 = 119
2. 임시정부수립대책협의회 답신안의 내용 = 128
3. 시국대책협의회 답신안의 내용 = 137
4. 세 답신안의 비교 = 144
Ⅲ.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헌법논의 = 148
1. 입법의원 법제사법위원회와 임시헌법기초위원회에서의 헌법안 작성 = 148
2. 입법의원 본회의에서의 헌법안 심의 = 150
3. 조선임시약헌의 내용과 특징 = 155
4. 조선임시약헌의 인준보류와 함의 = 160
제4장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정부수립(1947.8-1948.12)
제1절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전후의 국내외 정국 = 167
제2절 1948년 국회 개원 전후의 헌법논의(1947.9-1948.6) = 169
Ⅰ. 사법부에서의 헌법논의 = 169
1. 해방 후 법무국에서 사법부로의 개편과정과 활동 = 169
2.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74
3.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의 헌법개정요강 = 183
4. 사법부의 헌법안 작성 여부 = 191
Ⅱ. 유진오와 헌법논의 = 193
1. 해방 전후 유진오의 헌법관련논문과 참고자료 = 193
2. 유진오의 헌법안 작성 = 205
3. 유진오안의 내용과 특징 = 209
Ⅲ. 행정연구위원회 위원들과 유진오의 헌법논의 = 227
1. 1948년 5월10일 총선거 전후의 헌법안 준비 움직임 = 227
2. 행정연구위원회 위원들과 유진오에 의한 헌법안 작성 = 229
3. 공동안의 내용과 특징 = 238
Ⅳ. 권승렬과 헌법안 = 241
1. 권승렬과 헌법안 작성 = 241
2. 권승렬안과 국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의 참고안과의 관계 = 242
3. 권승렬안의 내용과 특징 = 248
Ⅴ. 이승만과 헌법 = 252
1. 헌법안 작성의 요청 = 252
2. 국가조직의 구상 = 253
제3절 1948년 국회에서의 헌법논의(1948.6-7) = 258
Ⅰ. 1948년 국회의 성립 = 258
Ⅱ. 국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조직과 헌법안 작성 = 261
1. 조직 = 261
2. 헌법안의 작성 = 269
Ⅲ. 국회 본회의에서의 헌법안 심의 = 300
1. 헌법안에 대한 각 정당의 입장 = 300
2. 제1독회 = 301
3. 제2독회 = 302
Ⅳ. 헌법의 확정과 공포 = 323
제4절 대한민국의 수립(1948.7-12) = 326
제5장 결론 = 333
참고문헌 = 349
부록: 연표와 헌법안 = 391
찾아보기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