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미디어정치 이론과 현대 민주주의
제1장 미디어정치를 보는 측면
1. 종속변수로서의 매스미디어 = 16
2. 독립변수로서의 매스미디어 = 18
제2장 옵티미즘과 페시미즘
1. 옵티미즘(optimism) = 12
2. 페시미즘(pessimism) = 25
제3장 미디어정치의 한정효과 모델
1. 에리(Erie)연구 = 28
2. 한정효과 모델 = 30
제4장 미디어정치 영향력의 재인식
1. 한정효과론에 대한 의문 = 33
1) 텔레비전의 영향력 = 34
2) '선택적 접촉'을 둘러싸고 = 35
3) '커뮤니케이션의 2단계 흐름'을 둘러싸고 = 37
2. 의제설정기능가설 = 38
1) 가설의 제기 = 38
2) 가설의 이론적 의의 = 40
3. 정치사회화에 있어서 매스미디어 = 43
1) 연구의 빈곤 = 43
2) 연구의 진전 = 44
4. 침묵의 나선이론과 투표행동 = 46
1) 침묵의 나선 가설과 조건 = 46
2) 의견의 풍토와 투표행동 = 48
5. 소결 = 52
제2부 미디어선거의 분야별 특성
제5장 선거보도
1. 선거보도의 정의 = 56
1) 선거보도의 개념 = 56
2) 선거보도의 역할 = 58
2. 우리나라의 선거보도 = 60
1) 우리나라 선거보도의 약사 = 60
2) 우리나라 선거보도의 현황 = 65
3) 우리나라 선거보도의 관련 법 규정 = 79
3. 외국의 선거보도 = 84
1) 미국의 선거보도 = 84
2) 프랑스의 선거보도 = 91
3) 일본의 선거보도 = 96
4. 우리나라 선거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02
제6장 선거여론조사
1. 선거여론조사의 정의 = 108
1) 선거여론조사의 개념 = 108
2) 선거여론조사의 기능 및 특성 = 109
3) 선거여론조사의 종류와 방법 = 111
2. 우리나라의 선거여론조사 = 122
1) 우리나라 선거여론조사의 약사 = 122
2) 우리나라 선거여론조사의 현황 = 127
3) 우리나라 선거여론조사의 관련 법 규정 = 132
3. 외국의 선거 여론조사 = 136
1) 미국의 선거여론조사 = 136
2) 프랑스의 선거여론조사 = 146
3) 일본의 선거여론조사 = 151
4. 우리나라 선거여론조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157
1) 선거여론조사 방법 및 절차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57
2) 법ㆍ제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65
3)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문제와 개선방향 = 168
제7장 TV토론 및 연설
1. TV토론 및 연설의 정의 = 173
1) TV토론 및 연설의 개념 = 173
2) TV토론 및 연설의 종류 = 174
3) TV토론 및 연설의 기능 = 178
2. 우리나라의 TV토론 및 연설 = 180
1) 우리나라 TV토론 및 연설의 약사 = 180
2) 우리나라 TV토론 및 연설의 현황 = 185
3) 우리나라 TV토론 및 연설의 관련 법 규정 = 192
3. 외국의 TV토론 및 연설 = 199
1) 미국의 TV토론 및 연설 = 199
2) 프랑스의 TV토론 및 연설 = 208
3) 일본의 TV토론 및 연설 = 214
4. 우리나라 TV토론 및 연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19
1) 개념상의 문제 = 220
2) 제도상의 문제 = 220
3) 후보자 토론 자질의 문제 = 225
4) 유권자의 관심과 주체의식의 문제 = 226
제8장 정치광고
1. 정치광고의 정의 = 227
1) 정치광고의 개념과 기능 = 227
2) 정치광고의 유형 = 230
3) 정치광고의 효과 = 237
2. 우리나라의 정치광고 = 240
1) 우리나라 정치광고의 약사 = 240
2) 우리나라 정치광고의 현황 = 244
3) 우리나라 정치광고의 관련 법 규정 = 252
3. 외국의 정치광고 = 257
1) 미국의 정치광고 = 257
2) 프랑스의 정치광고 = 268
3) 일본의 정치광고 = 273
4. 우리나라 정치광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79
1) 증가하는 이미지광고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이슈광고 = 279
2) 부정광고의 문제 = 280
3) 현행 법 제도의 문제 = 281
4) 정치광고 전문 인력 양성 = 282
제9장 인터넷선거캠페인
1. 인터넷선거캠페인의 정의 = 285
1) 인터넷선거캠페인의 개념 = 285
2) 인터넷선거캠페인의 기능 및 특성 = 288
3) 인터넷선거캠페인의 유형 = 290
2. 우리나라의 인터넷선거캠페인 = 297
1) 우리나라 인터넷선거캠페인의 약사 = 297
2) 우리나라 인터넷선거캠페인의 현황 = 304
3) 우리나라 인터넷선거캠페인의 관련 법 규정 = 309
3. 외국의 인터넷선거캠페인 = 318
1) 미국의 인터넷선거캠페인 = 318
2) 일본의 인터넷선거캠페인 = 327
3) 각국의 인터넷선거캠페인 = 335
4. 우리나라 인터넷선거캠페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39
1) 확인되지 않은 정보의 유통과 이용인구의 편중 = 340
2) 비 선거기간 정당의 인터넷 캠페인의 부재 = 341
3) 사이버선거사범의 규제 = 341
제10장 전자투표
1. 전자투표의 정의 = 344
1) 전자투표의 개념과 도입배경 = 344
2) 전자투표의 유형과 종류 = 346
3) 전자투표의 효과 = 349
2. 우리나라의 전자투표 = 352
1) 우리나라 전자투표의 이용실태 = 352
2) 우리나라 전자투표의 추진현황 = 356
3. 외국의 전자투표 = 358
1) 미국의 전자투표 = 358
2) 일본의 전자투표 = 362
3) 각국의 전자투표 현황 = 366
·4. 우리나라 전자투표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 369
1) 직접전자기록시스템(DREs:Direct Recording Electronic = 370
2) 원격투표(Remote E-voting) 도입에서의 문제점 = 371
3) 전자투표 도입과 발전 방안 = 374
참고문헌 = 378
부록 = 397
〈부록 1〉 미디어 선거 관련 법 규정 = 398
〈부록 2〉 미디어 선거 관련 기관 및 단체 =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