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비쿼터스 기반기술과 응용

유비쿼터스 기반기술과 응용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송면규 오정균, 저 손성찬, 저
서명 / 저자사항
유비쿼터스 기반기술과 응용 = Ubiquitous / 송면규 , 오정균 , 손성찬
발행사항
서울 :   碩學堂,   2008  
형태사항
350 p. : 삽화 ; 27 cm
ISBN
9788993158052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736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480736
005 20130302192604
007 ta
008 080819s2008 ulka 001c kor
020 ▼a 9788993158052
035 ▼a (KERIS)BIB000011412356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004.6 ▼2 22
085 ▼a 004.6 ▼2 DDCK
090 ▼a 004.6 ▼b 2008z8
100 1 ▼a 송면규
245 1 0 ▼a 유비쿼터스 기반기술과 응용 = ▼x Ubiquitous / ▼d 송면규 , ▼e 오정균 , ▼e 손성찬
246 3 ▼a Ubiquitous 기반기술과 응용
260 ▼a 서울 : ▼b 碩學堂, ▼c 2008
300 ▼a 350 p. : ▼b 삽화 ; ▼c 27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오정균, ▼e
700 1 ▼a 손성찬,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211778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211778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512662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211778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211778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004.6 2008z8 등록번호 1512662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송면규(지은이)

<이동통신 실무자를 위한 모바일 시스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유비쿼터스의 이해 = 13
 1.1 유비쿼터스의 의미 = 13
 1.2 유비쿼터스 시대 = 15
 1.3 유비쿼터스 환경구축을 위한 기술요소 = 16
 1.4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분류 = 19
 1.5 유비쿼터스시대 문제점과 해결방안 = 23
 1.6 Ubiquitous Refine = 24
제2장. 유비쿼터스 기반기술(1) = 27
 2.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27
  2.1.1 개요 = 27
  2.1.2 RFID 시스템의 동작 원리 = 31
  2.1.3 RFID의 특징 = 32
  2.1.4 RFID 주파수 = 33
  2.1.5 RFID 제공가치 = 33
  2.1.6 응용 분야별 RFID 활용 = 33
  2.1.7 공공 부분 = 35
  2.1.8 산업부분 = 37
  2.1.9 IT서비스 부분 = 38
  2.1.10 기타 = 39
  2.1.11 응용방법에 따른 RFID 응용 = 40
  2.1.12 유비쿼터스시대의 핵심인프라 RFID = 44
  2.1.13 Mobile RFID Service = 47
  2.1.14 Mobile RFID Service 사례 = 48
  2.1.15 해외의 RFID 적용사례 = 48
  2.1.16 RFID 태그/리더 기술 = 49
 2.2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 52
  2.2.1 USN 개요 = 52
  2.2.2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 56
  2.2.3 무선 네트워크 기술 = 57
  2.2.4 Ad-hoc 네트워크 = 57
  2.2.5 무선 메쉬 네트워크(WMN) = 58
  2.2.6 u-Zone 기반 커뮤니티 네트워크 구조 = 60
 2.3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61
  2.3.1 광대역통합망의 개념 = 61
  2.3.2 통신·방송·인터넷 등이 통합된 새로운 네트워크 사회의 등장 = 62
  2.3.3 인간 중심의 유비쿼터스 정보환경 실현 = 62
  2.3.4 IT 신성장 동력 등 첨단 기술개발의 핵심기반 제공 = 63
  2.3.5 광대역 통합서비스 발전 전망 = 64
  2.3.6 서비스 및 제어망 = 65
  2.3.7 전달망, 가입자망 = 65
  2.3.8 홈 네트워크 = 65
  2.3.9 단계별 광대역통합망 표준모델 개발 = 66
  2.3.10 대표적인 광대역 통합 서비스 = 68
  2.3.11 국내 가입자망의 발전 전망 = 71
  2.3.12 BcN의 기술적 이슈 = 73
 2.4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76
  2.4.1 IPv6 개요 = 76
  2.4.2 IPv6의 특징 = 77
  2.4.3 IPv6 추진정책 = 78
  2.4.4 IPv6 주소 고갈에 따른 IPv6 도래시기 = 79
  2.4.5 IPv6 응용 = 81
제3장. 유비쿼터스 기반기술(2) = 85
 3.1 WiBro = 85
  3.1.1 개념 = 85
  3.1.2 WiBro 전개과정 = 86
  3.1.3 유사서비스별 특성 비교 = 89
  3.1.4 WiBro 발전 전망 = 90
  3.1.5 유사 서비스 동향 = 91
 3.2 와이파이(Wi-Fi) = 92
  3.2.1 개념 = 92
  3.2.2 IEEE 802.11 규격 = 92
  3.2.3 와이파이(Wi-Fi)의 최근 동향 = 93
 3.3 와이맥스(WiMAX) = 94
  3.3.1 개념 = 94
  3.3.2 모바일 와이맥스 기술표준화 = 94
  3.3.3 와이파이 및 모바일 와이맥스 비교 = 95
 3.4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 98
  3.4.1 기술 개요 = 99
  3.4.2 서비스 시나리오 = 102
  3.4.3 파급효과 = 103
  3.4.4 향후 전망 = 106
 3.5 FTTH/FTTP = 106
  3.5.1 FTTH 도입 배경 = 106
  3.5.2 FTTH 기술 = 111
  3.5.3 FTTP = 114
 3.6 WPAN(Wireless PAN) = 115
  3.6.1 기술 개요 = 115
  3.6.2 기술의 종류 = 119
 3.7 WLAN(Wireless LAN) = 140
  3.7.1 개요 = 140
  3.7.2 무선 랜 표준 = 142
  3.7.3 전파 간섭 = 145
제4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 151
 4.1 무선 네트워크 = 151
  4.1.1 개념 = 151
  4.1.2 IEEE 802 = 155
  4.1.3 발전된 네트워크 기술 = 160
 4.2 Ad-hoc 네트워크 = 165
  4.2.1 개념 = 165
  4.2.2 프로토콜 = 167
  4.2.3 요구 사항 = 169
  4.2.4 무선접속기술 = 171
 4.3 무선 메쉬 네트워크(Wireless Mesh Network) = 176
  4.3.1 표준화 진행현황 = 177
  4.3.2 무선 메쉬 네트워크 기술의 특징 = 177
  4.3.3 무선 메시의 등장 = 179
  4.3.4 WMN에서 제공하는 u-시티 솔루션 = 179
  4.3.5 WMN 기술적 특징 = 180
  4.3.6 WMN 장비 발전방향 = 182
  4.3.7 WMN 선택 시 고려사항 = 183
  4.3.8 WMN 활용 및 전망 = 184
제5장. 유비쿼터스 응용 = 187
 5.1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187
  5.1.1 개념 = 187
  5.1.2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구성 = 188
  5.1.3 ITS 구축 현황 = 192
  5.1.4 도입 효과 = 193
  5.1.5 기대 편익 = 193
 5.2 텔레매틱스(Telematics) = 194
  5.2.1 개념 = 194
  5.2.2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 = 195
  5.2.3 텔레매틱스 기술 = 197
  5.2.4 텔레매틱스 기술동향 = 199
  5.2.5 텔레매틱스 서비스 = 202
  5.2.6 텔레매틱스 발전 로드 맵 = 206
 5.3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 207
  5.3.1 개념 = 207
  5.3.2 홈 네트워크의 필요성 = 208
  5.3.3 홈 네트워크의 구성 = 208
  5.3.4 홈 네트워크의 기술 동향 = 210
  5.3.5 홈 네트워크 발전 단계 = 210
  5.3.6 홈 네트워크 기술 = 211
  5.3.7 Middle Ware = 219
  5.3.8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 = 222
 5.4 가정용 로봇(Robot) = 224
  5.4.1 개념 = 224
  5.4.2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중요성 = 225
  5.4.3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주요기술 = 227
  5.4.4 지능형 로봇 산업 = 229
  5.4.5 지능형 로봇기술의 발전방향 = 230
  5.4.6 우리나라 로봇산업의 향후 전망 = 231
 5.5 VoIP = 233
  5.5.1 개요 = 233
  5.5.2 VoIP의 시장동향 = 235
  5.5.3 VoIP 업체 동향 = 236
  5.5.4 서비스 유형 = 239
  5.5.5 호 흐름도(PSTN 대 VoIP Call-Flow) = 240
  5.5.6 VoIP 관련기술 = 242
  5.5.7 전송 기술 = 242
  5.5.8 VoIP 전망 = 243
제6장. u-City = 245
 6.1 u-City 개념 = 245
  6.1.1 u-City 정의 = 245
  6.1.2 유비쿼터스란 무엇일까? = 246
  6.1.3 u-City 개념 = 247
  6.1.4 u-City의 목적 및 특징 = 250
 6.2 u-City 기반 기술 = 252
  6.2.1 u-City 기반 기술의 특징 = 253
  6.2.2 USN 센서의 일반적 요구 조건 = 254
  6.2.3 u-City 기반 기술의 구성 = 255
 6.3 u-City 법제도 및 정비 = 269
 6.4 표준화 동향 = 272
 6.5 국내외 u-City 추진동향 = 273
  6.5.1 u-City 해외 동향 = 273
  6.5.2 u-City 국내 동향 = 273
  6.5.3 해외 사례 = 274
  6.5.4 우리나라 사례 = 281
 6.6 유비쿼터스의 미래 = 288
제7장. 디지털방송 서비스 = 291
 7.1 디지털방송 개념 = 291
  7.1.1 DMB의 필요성 = 293
  7.1.2 DMB의 제작, 편집 및 방송 = 295
 7.2 국내외 서비스 동향 = 296
 7.3 국내외 DMB 표준화 현황 = 299
  7.3.1 우리나라 = 299
  7.3.2 해외 = 299
  7.3.3 표준화 추진 현황 = 299
  7.3.4 DMB 표준화 추진 현황 = 300
 7.4 디지털 data 방송 = 302
 7.5 위성 DMB 및 지상파 DMB = 308
  7.5.1 위성 DMB = 308
  7.5.2 지상파 DMB = 316
  7.5.3 위성 DMB와 지상파 DMB의 비교 = 323
 7.6 디지털 CATV = 325
  7.6.1 개요 = 325
  7.6.2 디지털 Cable방송 = 327
 7.7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 332
  7.7.1 개요 = 332
  7.7.2 IPTV의 등장 배경 = 334
  7.7.3 IPTV의 특징 = 335
  7.7.4 IPTV 국내외 표준화 = 336
  7.7.5 IPTV 현황 및 전망 = 337
 7.8 Mobile IPTV = 341
  7.8.1 개념 = 341
  7.8.2 Mobile IPTV 표준화 동향 = 342
  7.8.3 향후 전망 = 345
Ubiquitous 약어정리 = 346
Ubiquitous 찾아보기 = 349

관련분야 신착자료

Culkin, John, (Software architect) (2023)
Nielsen, Michael A. (2022)
Dejonghe, Derek (2022)
Shrivastava, Saurabh (2022)
Qureshi, Hamid Mahmoo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