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제대로 된)통역·번역의 이해 2판 (Loan 3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호정.
Title Statement
(제대로 된)통역·번역의 이해 / 정호정 지음.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2008.  
Physical Medium
xvi, 262 p. : 삽도 ; 23 cm.
기타표제
국제화·세계화 시대의 異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위.
ISBN
978895726594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19-227)과 색인수록.
000 00770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479922
005 20100807062613
007 ta
008 080926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57265949 ▼g 93740
035 ▼a (KERIS)BIB000011449419
040 ▼a 211032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8z6
100 1 ▼a 정호정. ▼0 AUTH(211009)115448
245 2 0 ▼a (제대로 된)통역·번역의 이해 / ▼d 정호정 지음.
246 1 1 ▼a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 translation.
246 0 3 ▼a 국제화·세계화 시대의 異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행위.
250 ▼a 2판.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8.
300 ▼a xvi, 262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19-227)과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08z6 Accession No. 1115035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2 2008z6 Accession No. 1115035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친절한 안내자’의 역할을 자임하기 위해서 쓰여졌다. 가능한 한 다양한 이론을 쉽게 소개하는 것, 균형감각을 갖고 이론들을 검토하는 것,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서로 다른 연구전통을 하나의 줄거리로 엮어내는 것, 적절한 우리말 입문서가 없어 원서의 추상적 개념과 씨름해야 했던 연구자들에게 한국어-영어의 대응어쌍을 제시하는 것―이 책을 쓰게 한 구체적인 동인(動因)이다.

[머리말]

책을 낼 때의 마음은 대부분 비슷할 것 같다. 책을 쓰는 동안은 어떤 힘에 휩싸여 써내려 가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 아무 생각이 없지만, 막상 마무리할 때가 되면 미진하고 부끄러운 심정 때문에 마침표를 찍기가 어렵다. 2007년 가을 '제대로 된 통역.번역의 이해' 초판을 낼 때도 마찬가지였다. 서문을 쓰면서 “보다 성실한 증보판을 낼 생각에 벌써부터 마음이 바쁘다”고 말한 것은 단순한 소회라기보다 스스로에 대한 다짐이었는데, 개정판 원고를 넘기는 오늘, 여전히 마음은 미진하고 묵직하다. 서둘러 개정판을 낼 것인가, 아니면 좀더 확실하게 증보판을 내기 위해 더 기다릴 것인가의 고민에 대한 답이 개정판 쪽으로 굳어진 순간이다. 초판이 나오자마자 책이 절판된 마당에 독자들의 기다림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것도 개정판 쪽으로 기울어진 이유이다.

초판을 내자마자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셨다. 통역.번역에 막연한 호기심을 갖고 있던 일반 독자들이 통역.번역을 제대로 아는 계기가 되었다는 감사 메일을 주시기도 했다. 통역.번역을 공부하는 학생들도 좋은 길라잡이가 생겼다고 반겼지만, 특히 통역과 번역 관련 과목을 가르치시는 교수님들은 교재로 삼을 만한 책이 생겼다고 과분할 만큼 기뻐해주셨다. 연구자들은 연구자들대로 많은 피드백을 주셨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영어 이외의 언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영어와 한국어의 학문적 대응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작은 사전(?)’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며 반겨준 것도 뜻밖의 소득이라면 큰 소득이다.

'제대로 된 통역.번역의 이해' 이후 통역과 번역을 각각 다루는 책들의 출간이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작은 물꼬를 트는 역할은 한 것 같아 기쁜 마음이 든다. 이 책을 기획하면서 가진 생각이 하나 있다. 통역.번역을 둘러싼 수많은 이론들을 단순히 요약하여 정리하기보다는, 각 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책 전체가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는 구조가 되도록 하겠다는 마음, 전체적으로 하나의 ‘이야기 들려주기(story-telling)’의 형태가 되도록 책을 쓰겠다는 것이었는데, 이런 방식으로 책이 되었다는 것도 위안이다.

하지만…

수업에서 내게 통역과 번역을 배우는 학생들이 통역번역 실습 후 크리티킹(critiquing)을 기다리면서 가장 두려워하는 말이 이 “하지만…”인 것처럼, 이 반전(反轉)의 접속사 뒤에 숨어 있는 질책들을 분명히 알고 있다. 자신의 통역과 번역이 절대적 최선이라고 생각하며 세상에 내놓는 통역사나 번역사는 없을 것이다. 자신이 처한 그 순간 그 공간, 그 구체적인 통역.번역 상황에서 내놓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서 내놓아지는 것이 통역과 번역이다. 마찬가지 심정으로 일단 개정판 원고를 내어놓는다. 부분부분 더 세심한 퇴고과정과 내용 추가가 꾸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독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피드백을 기대해본다.

2008년 8월
저자 정호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호정(지은이)

(現)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영어 통번역학부 학부장) (現)한국통역번역학회 회장 (現)한국번역학회 번역사업이사 (現)한국통번역교육학회 편집위원 (現)전문통번역사 한국고속철도공단 상근통번역사 서울신문 기자 매일경제신문 기자 학력 통역·번역학 박사(Ph.D)/한국외대 통 번역대학원 영어교육학 석사(M.Ed.)/Univ. of Missouri, Columbia, USA 통역·번역학 석사(MA)/한국외대 통 번역대학원 사회학 학사(BA)/이화여자대학교 저서 및 역서 『국가 번역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공저) 『국제회의통역에의 초대』 (역서/한국문화사) 『Korea in the 21st Century』 (공역/ 대통령 자문기구 21세기 위원회) 『Saemaul Undong in Korea』 (역서/한국새마을운동중앙회) 『충돌 : 21세기 자동차 산업의 전망』 (역서/김영사) 논문 『Translated Text Expansion and Contraction: A Corpus-Based Study of Quantitative Target Text Changes as Reflective of Translator Mediation』 (박사학위논문) 「번역된 문화텍스트의 정보성 등가와 로마자 표기방식의 문제점 」 「How to bridge lexical gaps left as reflective of different categorization systems? 」 「번역학의 통합이론 」 등 21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01 통역ㆍ번역이란 무엇인가?
 제1장 통역ㆍ번역과 커뮤니케이션 = 1
  1.1. 통역ㆍ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1
  1.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통역ㆍ번역 = 3
  1.3. 커뮤니케이션이란? = 4
  1.4. 커뮤니케이션의 4대 요소 = 5
  1.5.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 11
  1.6. 소통 중심의 통역ㆍ번역 = 17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22
  2.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과 경제성의 원리 = 22
  2.2. 함축 및 추론과 경제성의 원칙 = 25
  2.3. 적합성 이론의 비용-효용 모델 = 26
  2.4. 협동의 원칙과 대화의 4대 격률 = 27
  2.5. 대화의 격률의 의도적 위반과 추론 = 32
  2.6. 명시의 비(非)명시의/외연의-내포의 = 34
  2.7. 추론의와 집단공유지식 = 35
  2.8.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공유배경지식 = 38
 제3장 전문직으로서의 통역사/번역사 = 40
  3.1. 메시지의 문화특수성 = 40
  3.2. 언어장벽과 문화장벽의 중개 = 44
  3.3. 통역사/번역사의 자질 = 46
  3.4. 통역사/번역사의 언어 분류 = 51
  3.5. 특수언어와 한영 통역ㆍ번역 = 53
  3.6. 삼자간 대화와 통역사/번역사의 역할 = 54
  3.7. 전문통역사/번역사단체 = 56
   3.7.1.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 = 56
   3.7.2. 세계번역사연맹(FIT) = 57
  3.8. 용어의 표준화: 번역자-번역사-번역가 = 58
  3.9. 제반분야전문가 대 특수분야전문가 = 61
  3.10. 통역사/번역사의 전문성 = 63
PART 02 통역ㆍ번역의 핵심 개념
 제4장 번역가능성 = 69
  4.1. 직역 대 의역 논쟁 = 69
  4.2. 번역가능성의 정의 = 72
  4.3. 순수언어와 번역가능성 = 72
  4.4. 의미: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 76
  4.5. 어휘ㆍ문화적 공백과 번역가능성 = 77
 제5장 메시지와 의미 = 81
  5.1. 의미의 정의 및 분류 = 82
  5.2. 적합성 이론의 설명 = 87
  5.3. 언어장 이론 = 89
  5.4. 틀과 스크립트 이론의 '학습되는 프레임' = 91
 제6장 등가와 대응 = 98
  6.1. 의미의 형태와 내용 = 98
  6.2. 등가와 대응 = 99
  6.3. 등가의 양적(量的) 관계 중심의 분류 = 101
  6.4. 다양한 층위에서의 등가 = 102
  6.5. 텍스트적 등가 = 104
  6.6. 기능적 등가 = 104
  6.7. 해석이론의 '등가'와 '대응' = 105
  6.8. 등가에서 대응으로 = 110
 제7장 텍스트 규범과 수용가능성 = 111
  7.1. 번역학에의 접근법 = 112
  7.2. 기술적(記述的) 접근법 = 113
  7.3. 번역규범 = 115
  7.4. 번역보편소 = 117
  7.5. Chesterman의 번역 규범 분류 = 120
PART 03 통역ㆍ번역 이론
 제8장 통역ㆍ번역모델 = 127
  8.1. 커뮤니케이션 모델 = 128
  8.2. 삼단계 전이 모델 및 채널 모델 = 130
  8.3. 해석이론의 삼각형 모델 = 133
  8.4. 기능주의적 접근 = 137
 제9장 번역과 번역학의 분류 = 143
  9.1. 번역학의 구성 = 144
   9.1.1. Holmes의 번역학 세부 분야 도해(圖解) = 144
   9.1.2. Toury의 번역학 세부분야 도해 = 146
  9.2. 번역의 분류 = 147
   9.2.1. Jakobson의 번역 분류 = 147
   9.2.2. Newmark의 번역 분류 = 148
   9.2.3. Nida의 번역방식의 분류 = 149
   9.2.4. Gutt의 번역 분류 = 150
   9.2.5. House의 번역 분류 = 151
   9.2.6. Nord의 번역 분류 = 151
  9.3. 적절한 번역 유형의 선택 = 155
 제10장 번역사의 결정 = 157
  10.1. 결정과 문제해결 = 157
  10.2. 번역을 둘러싼 결정의 어려움 = 158
  10.3. 번역사 결정의 두 가지 층위 = 159
  10.4. 번역과정의 계획 = 161
  10.5. 번역 브리프 = 162
  10.6. 상향식 번역 과정 = 163
  10.7. 하향식 번역 과정 = 164
 제11장 번역사의 중재 기재 = 167
  11.1. 번역 전환의 정의 = 168
  11.2. 선택적 번역 전환과 의무적 번역 전환 = 169
  11.3. Catford의 번역 전환 = 169
  11.4. Vinay & Darbelnet의 번역 전환 = 172
   11.4.1. 직접 번역 전략 = 173
   11.4.2. 간접번역전략 = 174
  11.5. 이국화 전략 대 자국화 전략 = 176
  11.6. 번역사의 불가시성과 번역의 투명성 = 177
PART 04 통역ㆍ번역의 실제
 제12장 통역ㆍ기억력ㆍ노트테이킹 = 181
  12.1. 통역의 분류 = 182
   12.1.1. 통역 상황별 분류 = 182
   12.1.2. 통역방식별 분류 = 183
   12.1.3. 통역언어 중개 방향별 분류 = 185
   12.1.4. 통역사-연사 간 물리적 거리별 분류 = 187
  12.2. 통역과 기억 = 187
   12.2.1. 통역과 기억의 관계 = 187
   12.2.2. 축어적 기억과 실질적 기억 = 188
   12.2.3. 인간의 단기 정보처리용량: 7±2단위 = 189
   12.2.4. 기억 도우미로서의 노트테이킹 = 191
   12.2.5. 통역에 있어서 노트테이킹의 중요성 = 191
   12.2.6. 노트테이킹을 어떻게 할 것인가? = 194
   12.2.7. 노트테이킹 기호의 예 = 197
 제13장 번역 종류별 접근법 = 199
  13.1. 번역분류 = 200
   13.1.1. 문어텍스트 대상의 번역 유형 분류 = 200
   13.1.2. 텍스트 모드 중심의 번역 유형 분류 = 202
  13.2. 실용전문번역 = 203
  13.3. 문학출판 번역 및 일반출판 번역 = 206
   13.3.1. 인바운드 번역 시장 = 206
   13.3.2. 아웃바운드 번역 시장 = 208
   13.3.3. 인바운드 일반 출판 번역 = 211
  13.4. 영상번역 = 213
   13.4.1. 영상번역의 중요성 = 213
   13.4.2. 영상번역의 정의 = 214
   13.4.3. 영상번역의 종류 = 215
   13.4.4. 영상번역의 특징 = 216
   13.4.5. 영상번역의 원칙 = 2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