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2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479323 | |
005 | 20100807061940 | |
007 | ta | |
008 | 080808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2513091 | |
035 | ▼a (KERIS)BIB000011374546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72.6 ▼2 22 |
090 | ▼a 372.6 ▼b 2008z1 | |
100 | 1 | ▼a 강성화 ▼0 AUTH(211009)28653 |
245 | 2 0 | ▼a (영유아를 위한)언어지도 = ▼x Language arts for young children / ▼d 강성화 , ▼e 김경회 공저. |
260 | ▼a 서울 : ▼b 동문사 , ▼c 2008. | |
300 | ▼a 418 p. : ▼b 채색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407-411)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김경회 ▼g 金敬會 ▼0 AUTH(211009)9685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2008z1 | Accession No. 1115016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2008z1 | Accession No. 1115016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강성화(지은이)
∙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졸업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아동학전공)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철학박사(유아교육전공) ∙ 현 순효미래교육원 원장 ∙ 현 신안산대학교 초빙교수 ∙ 현 학교법인 보영학원 이사 ∙ 전국 외국어고등학교 교장 협의회 회장 ∙ 고양외국어고등학교 초대교장 ∙ 고양제일중학교 교장 ∙ 벽제중 ․ 고등학교 교장 ∙ (사)유스키퍼스: 청소년을 지키고 기르는 사람들 이사 ∙ 원당종합사회복지관 운영위원장 ∙ 미국 Shalom preschool and Afterschool의 Director 등 역임 [저서] 수험생을 위한 100일 기도문, 영실이(영성과 실력을 갖춘 아이) 키우기, 영유아를 위한 언어지도, 축복의 학교 행복한 교장, 아침7시 특목고는 기도중, 유아문학교육, 밀레니엄시대의 슈퍼엄마 슈퍼교사, 재미있는 유아영어 전집 등
김경회(지은이)
∙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졸업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가정학 석사(아동학전공) ∙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아동학전공) ∙ 김천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 김천대학 부속유치원 원장 ∙ 신흥유치원 원장 ∙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등 역임 [저서] 유아문학교육, 아동과 환경, 보육학개론, 보육과정, 현장관찰 및 실습, 영유아발달과 교육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PART 1 영유아 언어교육의 이론 = 13 Chapter 01 언어발달과 학습 = 15 1. 언어의 정의 = 16 2. 언어의 기능 = 17 3. 언어의 구조 = 19 1) 음운체계 = 20 2) 구문체계 = 20 3) 의미체계 = 21 4) 실용체계 = 21 4. 학습의 원리 = 22 1) 인지구조 = 23 2) 학습과정 = 24 3) 아동의 개별 언어활동을 돕는 교사 = 26 4) 인지발달에 따른 언어학습 = 28 5) 학습의 수단 = 29 Chapter 02 언어발달의 기초 = 31 1. 영유아기에 언어교육이 중요한 이유 = 32 1) 학습의 기본 = 32 2) 언어와 인지의 관계 = 32 3) 언어발달의 결정적 시기 = 33 2. 언어교육을 통한 유아의 각 발달영역의 지도 = 33 1) 언어와 신체발달 = 33 2) 언어와 인지발달 = 34 3) 언어와 사회성 발달 = 37 4) 언어와 정서발달 = 38 5) 언어와 창의성 발달 = 40 3. 언어발달의 영향요인 = 41 1) 영유아의 개인적 조건 = 42 2) 가정환경 = 43 3)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 46 Chapter 03 언어발달이론 = 49 1. 행동주의 견해 = 50 2. 천성주의 견해 = 51 3. 상호작용적 견해 = 53 1) 인지적 상호작용이론 = 54 2) 사회적 상호작용이론 = 55 Chapter 04 영유아의 언어발달과정 = 59 1. 언어발달의 생리적 기초 = 60 2. 언어발달과정 = 61 1) 전 언어기 = 61 2) 언어기 = 64 3. 유아의 연령별 언어행동 = 69 4. 영유아 언어의 특징 = 71 1) 음운상의 특징 = 71 2) 어휘상의 특징 = 72 3) 내용상의 특징 = 72 5. 문해 능력의 발달 = 74 Chapter 05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언어교육 = 77 1. 언어교육의 목표 = 78 1) 직접적인 언어교육의 목표 = 78 2) 언어교육을 돕는 간접적 목표 = 79 2.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언어생활영역의 목표 = 80 1) 성격 = 81 2) 목표 = 81 3) 내용 = 82 4) 언어생활영역의 지도상 유의점 = 89 Chapter 06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언어교육 = 93 1. 의사소통영역의 성격 = 94 1)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 94 2)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 = 94 3) 의사소통능력의 구성 = 94 4) 의사소통에서의 교사의 역할 = 95 2. 의사소통영역의 목표 = 96 1) 듣는 태도와 이해력 = 96 2) 정확한 발음과 표현 = 97 3) 대화와 토론을 통한 의견 교환 = 98 4) 읽기와 쓰기에 대한 흥미 = 98 3. 연령별 목표 및 내용 = 99 1) 의사소통영역의 내용범주에 따른 연령별 목표 = 100 2) 2세 미만의 영아를 위한 의사소통영역의 목표 = 101 3) 2세 영아를 위한 의사소통영역의 목표 = 105 4) 3~5세 유아를 위한 의사소통영역의 목표 = 109 Chapter 07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돕는 환경구성 = 117 1. 언어발달을 위한 물리적 환경 = 118 1) 언어영역을 구성할 때의 고려사항 = 119 2)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환경구성 = 120 3) 읽기 영역의 환경구성 = 122 4) 쓰기 영역의 환경구성 = 124 2. 언어발달을 위한 심리적 환경 = 126 1) 기대 = 127 2) 모델링 = 127 3) 흥미와 동기유발 = 127 3. 언어발달을 위한 사회ㆍ정서적 환경 = 127 1) 사회적 관계의 격려 = 128 2) 정서적 안정의 제공 = 128 Chapter 08 듣기와 말하기 지도방법 = 129 1. 듣기 교육 = 130 1) 듣기의 정의 = 130 2) 듣기 과정 = 130 3) 듣기의 영향요인 = 131 4) 듣기 지도방법 = 132 5) 듣기 활동의 실제 = 134 2. 말하기 교육 = 134 1) 말하기의 정의 = 135 2) 말하기의 목표 = 135 3) 말하기의 영향요인 = 135 4) 말하기 지도방법 = 136 5) 발음문제를 돕기 위한 방법 = 138 6) 문장구성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방법 = 139 7) 말하기 활동의 실제 = 139 Chapter 09 읽기와 쓰기 지도방법 = 141 1. 읽기 교육 = 142 1) 읽기의 정의 및 준비도 = 142 2) 읽기에 요구되는 능력 = 143 3) 읽기 준비도 프로그램의 내용 = 144 4) 읽기 성취의 예언변인 = 145 5) 읽기 지도방법 = 147 6) 읽기 활동의 실제 = 149 2. 쓰기 교육 = 150 1) 쓰기의 정의 = 150 2) 쓰기의 준비도 평가 기준 = 150 3) 쓰기 지도방법 = 151 4) 쓰기 활동의 실제 = 153 Chapter 10 영유아의 문해 지도 = 155 1. 문해 발달과정 = 156 1) 언어발달에서의 문해 능력의 중요성 = 156 2) 유아에게 문해 능력이 있다는 증거 = 157 3) 문해 발달이 어려운 이유 = 157 4) 문해 발달을 위한 방안 = 158 5) 문해 지도를 할 때 고려사항 = 162 2. 문해 지도방법 = 163 1) 문학을 이용한 반응적 읽기를 통한 문해 지도 = 163 2) 문학 이외의 기타 활동에서의 문해 지도 = 167 3. 문해 발달을 위한 교사의 역할 = 168 1) 놀이의 창시자 = 169 2) 관찰자 = 169 3) 중재자 = 169 4) 영유아 자유의 수호자 = 169 5) 문해 활동의 평가자 = 169 Chapter 11 총체적 언어 접근에서의 언어교육 = 171 1. 총체적 언어 접근법 = 172 1) 총체적 언어 학자들의 언어학습에 관한 생각 = 172 2) 총체적 언어 교사들의 아동관과 교육관 = 173 3) 총체적 언어에서의 읽고, 쓰기에 대한 생각 = 174 4) 언어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상황 = 175 2. 총체적 언어에서의 교사역할 = 176 1) 달성 가능한 목표의 설정과 신중한 계획 = 176 2) 유아에 대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 = 176 3) 사회적 구조에서의 권한의 한계 = 176 4) 예측 가능한 환경의 구성 = 177 3. 총체적 언어의 교수전략 = 177 1) 에델스키의 교수전략 = 178 2) 라우트만의 교수전략 = 179 3) 모엔의 교수전략 = 181 4. 총체적 언어 접근에서의 언어영역별 지도방법 = 185 1) 듣기 활동을 통한 언어교육 = 185 2) 말하기 활동을 통한 언어교육 = 185 3) 읽기를 통한 언어발달 = 186 4) 쓰기를 통한 언어발달 = 186 5) 기타 활동을 통한 언어발달 = 187 5. 총체적 언어에서의 평가전략 = 187 1) 평가방법 = 189 2) 평가의 목적 = 189 3) 평가할 때 고려사항 = 189 Chapter 12 문학적 접근에 기초한 언어교육 = 191 1. '너 왜 보청기를 하니? = 192 1) 목적 = 192 2) 줄거리 = 192 3) 관련 개념 = 193 4) 활동계획 구성 = 193 2. '앗 어떻게 하지? = 194 1) 목적 = 194 2) 줄거리 = 194 3) 관련 개념 = 194 4) 활동계획 구성 = 195 3. 풀씨의 여행 = 195 1) 목적 = 196 2) 줄거리 = 196 3) 관련 개념 = 196 4) 활동계획 구성 = 196 5) 활동 예 = 197 4. 사과의 기도 = 198 1) 목적 = 198 2) 줄거리 = 198 3) 관련 개념 = 199 4) 활동계획 구성 = 199 5) 활동 예 = 202 Chapter 13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언어교육 = 211 1. 프로젝트 접근법 = 212 1) 도입단계 - 토론식 수업 = 213 2) 전개단계 - 표상활동 = 214 3) 마무리 단계 - 기록 및 전시를 통한 회상활동 = 215 2. 병원 프로젝트 활동 = 215 1) 준비과정 - 교육활동 계획의 수립 = 215 2) 활동과정 - 프로젝트 활동의 전개 = 216 Chapter 14 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교육 = 223 1. 장애유형에 따른 언어행동 특성 = 224 1) 청각장애 아동 = 224 2) 시각장애 아동 = 224 3) 신체장애 아동 = 224 4) 정신지체 아동 = 224 5) 행동장애 아동 = 225 2. 장애 아동의 언어지도방법 = 225 1) 언어활동에의 참여기회의 제공 = 225 2) 장애 아동의 반응 격려 = 226 3) 언어모델의 제공 = 227 4) 단어학습을 위한 경험의 제공 = 227 5) 흥미로운 언어활동의 제공 = 228 6) 언어사용 기회의 제공 = 228 7) 다양한 언어의 소개 = 228 3. 다른 언어의 예 = 229 1) 수화 = 229 2) 점자 = 230 Chapter 15 언어교육의 평가 = 233 1. 평가의 목적 = 234 1) 교수 활동의 확인 = 234 2) 개인 능력의 진단 = 234 3) 지도 자료의 수집을 통한 새로운 계획의 수립 = 234 2. 영유아 언어능력의 평가 = 234 1) 관찰법 = 235 2) 검사법 = 236 3) 포트폴리오 = 238 3. 언어활동에 대한 평가 = 241 1) 유아의 활동평가 = 242 2) 교사의 활동평가 = 242 4. 교사의 자기평가 = 243 PART 2 영유아 언어교육의 실제 = 245 듣기 = 247 말하기 = 277 읽기 = 312 쓰기 = 371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