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적 고찰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적 고찰 (Loan 5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무성, 李武城, 1969- 이종서 박채복 하상섭, 河相燮, 1969- 박상현
Title Statement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적 고찰 / 저자: 이무성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높이깊이,   2008.  
Physical Medium
319 p. ; 24 cm.
ISBN
9788975880926
General Note
공저자: 이종서, 박채복, 하상섭, 박상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745camccc200277 k 4500
001 000045478916
005 20230331105640
007 ta
008 080911s2008 ulk b 001c kor
020 ▼a 9788975880926
035 ▼a (KERIS)BIB000011401729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82 0 4 ▼a 327 ▼2 22
090 ▼a 327 ▼b 2008z8
245 0 0 ▼a 국제정치의 신패러다임 : ▼b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적 고찰 / ▼d 저자: 이무성 [외].
260 ▼a 서울 : ▼b 높이깊이, ▼c 2008.
300 ▼a 319 p. ; ▼c 24 cm.
500 ▼a 공저자: 이종서, 박채복, 하상섭, 박상현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700 1 ▼a 이무성, ▼g 李武城, ▼d 1969- ▼0 AUTH(211009)110489
700 1 ▼a 이종서 ▼0 AUTH(211009)67013
700 1 ▼a 박채복 ▼0 AUTH(211009)110617
700 1 ▼a 하상섭, ▼g 河相燮, ▼d 1969- ▼0 AUTH(211009)64848
700 1 ▼a 박상현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7 2008z8 Accession No. 1115012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 2008z8 Accession No. 1115012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종서(지은이)

<유럽연합(EU) 국가 신자유주의>

이무성(지은이)

하상섭(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학과(학사), 동 대학원 중남미지역학(경제학 석사)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에서 국제정치경제(IPE 석사), 리버풀대학에서 중남미지역학(정치사회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의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현대 카리브의 삶과 문화』, 『중앙아메리카: 분열된 국가』(이상 공역) 등이 있으며, 라틴아메리카 환경 분야 관련 책으로는 『라틴아메리카 환경정의: 쟁점, 약속, 실행』, 『과거는 살아 있다: 라틴아메리카 환경사』(이상 공역) 등 다수의 라틴아메리카 환경 및 기후변화 관련 논문과 저서 활동을 하고 있다.

박채복(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연구교수다. 저서로는 『유럽연합과 젠더: 정책, 제도, 행위자적 고찰』(2019),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2019, 공저), 『다문화주의와 페미니즘』(2017, 공저) 등이, 논문으로는 「'포스트팍티쉬(postfaktisch)' 정치와 대안적 진실을 넘어: 정치적 포풀리즘과 독일 이주문제」(2019),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2018), 「'이주노동자'에서 '한인여성'으로: 한인여성의 독일이주의 역사화」(2018) 등이 있다.

박상현(지은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9
제2장 존재론에 대한 고찰 : 국제관계의 역사 = 13
 Ⅰ. 전쟁과 평화의 역사 = 13
 Ⅱ. 웨스트팔리아 체제 이후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 16
  1. 유럽협조체제와 세력균형정책 = 16
  2. 비스마르크체제와 동맹협상체제 = 22
  3. 베르사이유체제와 집단안전보장 = 30
 Ⅲ.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 = 42
  1. 냉전체제와 동서 이데올로기 대립 = 42
  2. 동서 데탕트와 협력적 질서 = 47
  3. 탈냉전과 통합적 질서 = 53
제3장 인식론적 논의 = 63
 Ⅰ.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 = 63
  1.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63
  2. 전통적 현실주의 = 65
  3. 신현실주의 = 67
  4. 현실주의의 기본 가정과 비판 = 70
  5. 현실주의자들의 합리성 가정에 대한 비판 = 73
  6. 결론 = 80
 Ⅱ.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 = 83
  1. 현실주의에 대한 비판 : 이상주의(Idealism)의 등장 = 86
  2. 자유주의 기본 가정 및 특징 = 89
  3. 신자유제도주의(Neo-liberal institutionalism) : (신)기능주의와 상호의존론 = 94
  4. (신)기능주의 = 97
  5. 상호의존론 = 101
 Ⅲ. 맑시즘 = 108
  1. 맑시즘 = 108
  2. 네오 맑시즘 = 112
  3. 제국주의론 = 114
  4. 종속이론 = 121
  5. 세계체제론 = 125
 Ⅳ. 구성주의와 기타 이론 = 130
  1. 구성주의 = 130
  2. 비판이론 = 136
  3. 페미니즘 = 138
  4. 탈근대주의(PostModernism) = 141
제4장 방법론 = 145
 Ⅰ. 국제기구론 = 145
  1. 서론 = 145
  2. 이론적 접근 = 147
  3. 국제 연맹 = 149
  4. 국제연합(the United Nations) = 155
  5. 그 밖에 국제기구 = 161
   5-1.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 161
   5-2. 세계은행 = 163
   5-3. 세계무역기구 = 165
  6. 비정부기구 = 167
 Ⅱ. 국제정치경제 = 171
  1. 정치학과 경제학의 상호 작용 = 171
  2. 1970년 이후 정치경제학의 재등장 : 존재론적 접근 = 176
  3. 국제정치경제의 세 패러다임 연구 = 180
   3-1. 자유주의(Liberalism) = 181
   3-2. 맑시즘(Marxism) = 186
   3-3. 현실주의(Realism) = 190
  4. 국제정치경제의 분석적 이슈들 = 194
   4-1. 국제통상 : WTO와 경제통합 = 194
   4-2. 국제금융 : 환율과 외채 = 196
   4-3. 환경 : 그린라운드(GR)와 환경갈등 = 198
   4-4. 노동 : 블루라운드(BR) = 201
   4-5. 부패 : 부패라운드(CR) = 202
   4-6. 인권 = 205
  5. 21세기 새로운 국제정치경제에 대한 이해 = 209
 Ⅲ. 국제체제의 성격과 안보 = 213
  1. 안보에 대한 신현실주의적 접근 = 215
  2. 국가간 협력의 가능성 :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 221
  3. 세력균형(the Balance of Power)에 의한 국제질서 = 224
  4.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에 의한 국제질서 = 228
  5. 민주평화이론(Democratic Peace Theory) = 231
 Ⅳ. 지역통합 = 238
  1. 지역통합이론 = 238
   1-1. 신기능주의 = 239
   1-2. 정부간 협상론 = 241
   1-3. 다층적 거버넌스(Multi-level Governance) = 243
  2. 지역주의와 유럽연합 = 246
  3. 유럽통합의 역사 = 248
  4. 유럽연합의 발전 = 255
   4-1. 유럽공동체의 탄생 = 255
   4-2. 단일시장 = 263
   4-3. 경제적 통합 = 266
   4-4. 유럽연합과 3주 체제 = 271
  5. 북미자유무역협상(NAFTA) = 274
   5-1. NAFTA 추진 배경 = 274
   5-2. 미국 = 275
   5-3. 멕시코 = 276
   5-4. 캐나다 = 278
   5-5. NAFTA의 주요 협정내용과 기대효과 = 279
   5-6. NAFTA 이행의 협의와 광의의 시사점 = 280
 Ⅴ. 인권과 국제정치
  1. 서론 = 286
  2. 보편적인 가치로서의 인권 = 287
  3.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 291
  4. 인권에 대한 국제적 협력체제 = 297
   4-1. 유엔인권체제 = 297
   4-2. 지역인권체제 = 299
   4-3. 국제 비정부기구의 인권보호 활동 = 303
  5. 탈냉전 시대의 인권과 국제정치 = 30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