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言語와 思考

言語와 思考 (3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진우 金鎭宇.
서명 / 저자사항
言語와 思考 / 金鎭宇 著.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8.  
형태사항
xiv, 483 p. : 삽도 ; 23 cm.
기타표제
言語的 相對性의 假設을 넘어서.
ISBN
978895726579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1-483.
000 00625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78769
005 20100807061318
007 ta
008 080814s2008 ulka b 000c kor
020 ▼a 9788957265796 ▼g 93700
035 ▼a (KERIS)BIB000011392162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401 ▼2 22
090 ▼a 401 ▼b 2008z3
100 1 ▼a 김진우 ▼g 金鎭宇. ▼0 AUTH(211009)18645
245 1 0 ▼a 言語와 思考 / ▼d 金鎭宇 著.
246 1 3 ▼a 言語的 相對性의 假設을 넘어서.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8.
300 ▼a xiv, 483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71-483.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8z3 등록번호 1115010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8z3 등록번호 1115010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우(지은이)

陸軍士官學校 卒業 서울大學校 文理大 英文學科 卒業 하와이大學校 大學院 碩士課程 卒業 陸軍士官學校 英語科 敎授歷任 전 中央大學校 文科大 英文學科 敎授(英語學) 주요 저서 英語敎育의 原理와 方法(裕豊出版社, 1983) 英語敎授法(共著, 新雅社, 1984) 現代言語學의 理解(翰信文化社, 1986) 言語와 心理(翰信文化社, 1988) 言語敎育과 心理學(中央大 出版部, 1990) 人間과 言語(集文堂, 1992) 言語와 意思疏通(翰信文化社, 1994) 言語와 文化(中央大 出版部, 1996) 詩와 言語(한국문화사, 1998) 認知言語學의 理解(한국문화사, 1999)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한국문화사, 2001) 第二語 習得硏究(한국문화사, 2002) 言語와 認知(한국문화사, 2004) 隱喩의 理解(나라말, 2005) 言語의 起源(한국문화사, 2006) 言語와 思考(한국문화사, 2008) 言語와 修辭(한국문화사, 2010) 言語와 腦(한국문화사, 2011) 言語와 精神(한국문화사, 2012) 言語와 言語理論(한국문화사, 2014) 言語와 意味(한국문화사, 2016) 言語와 談話(한국문화사, 2017) 言語와 言語學(한국문화사, 2020) 言語와 人間(한국문화사, 2021)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역사와 의의
 1.1 상식과 철학 사이 = 1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말 = 3
  2 첫 번째 특징 = 3
  3 두 번째 특징 = 4
  4 세 번째 특징 = 7
  5 언어학습의 원리 = 7
  6 학습과 사고 = 9
  7 작가들의 명언 = 11
 1.2 사피어-워프의 가설 = 13
  1 역사적 배경 = 13
  2 같은 점과 다른 점 = 25
  3 강경설과 유연성 = 30
  4 재해석의 두 요인 = 36
   (1) 극단성과 양면성 = 36
   (2) 비상식성(非常識性) = 47
 1.3 근본적 문제점 = 60
  1 궁여지책 = 60
  2 사고의 정의 = 67
  3 사고 대 문화 = 70
 1.4. 당위성 = 76
  1 지적 호기심의 대상 = 76
  2 근원적 문제와의 직결성 = 81
  3 기초학문의 발달에의 기여 = 87
제2장 진화론적 고찰
 2.1 필요성 = 93
  1 학문적 합리성 = 94
   (가) 언어와 사고의 불가분성 = 94
   (나) 언어우위성 = 98
  2 기존 이론의 평가 및 구성 = 101
   (가) 사고력 우선의 견해 = 101
   (나) 보편성 지향의 입장 = 104
 2.2 반내재주의(反內在主義) = 118
  1 촘스키의 도전 = 118
  2 진화론자들의 반응 = 121
   (가) 반내재주의적 언어기원관 = 122
   (나) 반통사주의적 언어관 = 130
   (다) 연속성 = 135
 2.3 공진화설 = 140
 2.4 선지능 진화설(先知能進化說) = 147
제3장 유아발달론적 고찰
 3.1 언어습득과 지능발달 간의 불가분적 관계 = 157
 3.2 행동주의와 연결주의의 이론들 = 163
  1 행동주의 = 163
  2 연결주의 = 170
   가) 루멜하트와 맥클랜드의 논문 = 174
   나) 엘먼의 논문 = 176
   다) 핑거의 반박논문 = 180
   라) 포더와 필리오힌의 반박논문 = 185
 3.3 변형주의와 인지주의의 이론들 = 192
  1 변형주의 = 192
  2 인지주의 = 202
   (가) 피아제의 구성주의 이론 = 203
   (나) 브루너, 나이서, 슬로빈 등의 이론 = 205
 3.4 사회적 상호교섭이론 = 207
  1 클라크의 어휘의미 습득절차에 관한 연구 = 209
  2 토마셀러와 파랄의 공동주의에 관한 연구 = 213
 3.5 기능주의적 언어관 = 217
  1 어휘의 습득 = 218
  2 문법의 습득 = 223
  3 화법의 습득 = 228
제4장 언어학내의 새 흐름 : 인지언어학의 등장과 화용론의 활성화
 4.1 반촘스키 운동 = 233
 4.2 레이커프의 언어이론 = 247
  1 특징 = 248
   (가) 인지체계의 반영체 = 248
   (나) 심상적 도식 = 249
   (다) 구문주의적 접근법 = 249
   (라) 은유적 절차 = 252
   (마) 경험주의적 습득이론 = 256
  2 문제점 = 259
   (가) 유전적 구조와 능력에 대한 설명의 애매성 = 259
   (나) 은유적 인지절차에의 편향성 = 260
   (다) 인지체계와 언어체계 간의 선후관계 = 261
   (라) 근거의 불충분성 = 262
   (마) 언어체계의 특수성 무시 = 263
 4.3 포코니에의 인지이론 = 264
  1 특징 = 265
   (가) 개념적 융합의 절차 = 265
   (나) 인간지능의 원천적 절차 = 268
   (다) 인지절차의 특성 = 269
   (라) 특이한 언어이론 = 270
   (마) 언어현상을 통한 설명 = 275
  2 문제점 = 278
   (가) 인지심리학적 검증의 결여 = 279
   (나) 진화론적 견해의 불완전성 = 280
   (다) 언어의 변화성에 대한 설명의 불충분성 = 283
   (라) 함의적 의미의 무시 = 284
   (마) 화용적 능력의 무시 = 285
 4.4 스퍼버와 윌슨의 화용이론 = 287
  1 특징 = 288
   (가) 신 그라이스이론 = 288
   (나) 인지이론 = 292
   (다) 의사소통 이론 = 294
   (라) 내재성 = 298
   (마) 수사적 표현법 = 300
  2 문제점 = 305
   (가) 중앙체계 이론의 변화성 = 305
   (나) 심리학적 실증성 = 311
   (다) 규칙의 결여 = 318
   (라) 진화론적 견해 = 323
   (마) 수사법의 단순화 = 326
제5장 인지심리학의 두 모습
 5.1. 인지심리학의 본령 = 333
 5.2. 브루너의 인지이론 = 342
  1 특징 = 343
   (가) 기능주의적 언어이론 = 343
   (나) 언어와 사고의 불가분성 = 346
   (다) 구성주의적 지력관 = 349
   (라) 인지주의적 교육이론 = 352
  2 문제점 = 354
   (가) 심리학적 대이론으로서 발판이론의 한계성 = 354
   (나) 언어지식의 제한성 = 357
   (다) 사고관의 이중성 = 359
   (라) 교육이론의 편향성 = 362
 5.3 슬로빈의 언어습득이론 = 366
  1 특징 = 367
   (가) 범언어적 연구방법 = 367
   (나) 지능기반적 언어습득관 = 371
   (다) 언어습득이론의 특이성 = 374
   (라)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온건한 견해 = 377
  2 문제점 = 380
   (가) 범언어적 연구방법의 한계성 = 380
   (나) 작동의 원리의 불완전성 = 383
   (다) 언어생성능력의 이론의 허구성 = 385
   (라)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관한 견해의 양면성 = 388
제6장 인지과학의 역설성
 6.1 학제적 학문의 취약성 = 391
 6.2 포더의 사고언어이론 = 396
  1 특징 = 397
   (가) 변형주의적 언어관 = 397
   (나) 연산주의적 인지관 = 399
   (다) 사고언어의 설정 = 402
   (라) 언어와 사고의 무관성 = 405
  2 문제점 = 407
   (가) 문법적 모형의 고루성 = 407
   (나) 연산절차의 편향성 = 410
   (다) 사고언어의 애매성 = 412
   (라) 사피어-워프의 가설에 대한 평가의 불충분성 = 415
 6.3 위노그러드의 컴퓨터적 언어모형의 이론 = 417
  1 특징 = 418
   (가) 컴퓨터적 문법모형의 제시 = 418
   (나) 화행론적 언어관의 도입 = 420
   (다) 생물학적 인지관의 도입 = 423
   (라)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한 반이성주의적 견해 = 426
  2 문제점 = 429
   (가) 컴퓨터 기술력의 한계성 = 429
   (나) 화행론의 한계성 = 431
   (다) 생물학적 인지관의 미숙성 = 433
   (라) 인지체계와 언어체계를 동일시하는 맹목성 = 436
제7장 통합적 접근법의 모색
 7.1 두 가지 연구방향 = 439
 7.2 사피어와 워프의 가설을 중심으로 한 연구 = 445
  1 가장 표준적인 연구가 시사한 것 = 445
  2 앞으로도 이 가설 중심의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이유 = 448
 7.3 세 가지 새 접근법 = 454
  1 진화론적 접근법 = 455
  2 언어습득론적 접근법 = 460
  3 사회인지론적 접근법 = 4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