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베토벤 심리 상담 보고서 : 아이에게 부모는 무엇일까?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태형, 金泰亨, 1965-
Title Statement
베토벤 심리 상담 보고서 : 아이에게 부모는 무엇일까? / 김태형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부키,   2008.  
Physical Medium
278 p. : 삽도 ; 22 cm.
ISBN
9788960510340
General Note
부록: 베토벤 연대표, - MBTI의 문제점과 과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8)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478100
005 20220531154224
007 ta
008 080807s2008 ulka b 000c kor
020 ▼a 9788960510340
035 ▼a (KERIS)BIB000011388186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082 0 4 ▼a 155.2 ▼a 158.24 ▼2 22
090 ▼a 155.2 ▼b 2008z7
100 1 ▼a 김태형, ▼g 金泰亨, ▼d 1965- ▼0 AUTH(211009)80262
245 1 0 ▼a 베토벤 심리 상담 보고서 : ▼b 아이에게 부모는 무엇일까? / ▼d 김태형 지음.
260 ▼a 서울 : ▼b 부키, ▼c 2008.
300 ▼a 278 p. : ▼b 삽도 ; ▼c 22 cm.
500 ▼a 부록: 베토벤 연대표, - MBTI의 문제점과 과제
504 ▼a 참고문헌(p. 278) 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115008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115008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512685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115008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115008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5.2 2008z7 Accession No. 15126852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베토벤과 나(지은이)의 가상 대화를 바탕으로 한 심리 상담기다. 이를 통해 베토벤의 삶 속으로 들어가 그를 괴롭혔던 심리적 상처와 그 상처를 낳은 근본적 원인을 알아본다. 또한 베토벤에 대한 심리 분석 과정을 따라가며 '자기 분석'을 경험하고, 심리 상담의 내용과 방법, 문화를 간접체험하게 된다.

불굴의 정신력으로 청각 장애를 극복하고
악성이라는 불멸의 이름을 남긴 베토벤!
베토벤이 심리 상담을 통해 알게 된 것은 무엇일까?


귀머거리 음악가라는 가혹한 운명을 불굴의 의지로 극복한 베토벤. 그는 음악사에서는 악성이라는 불멸의 이름을 남겼지만, 인간적인 면모에서는 괴팍한 기인의 이미지를 풍긴다. 그렇지만 그 이미지는 베토벤이 가슴속에 담고 있던 심리적 상처의 반영이 아닐까.
심리적 상처는 기본적으로 어린 시절에 겪었던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은데, 지은이는 베토벤의 부모 관계가 사람들에게 익히 알려진 것과 다르며, 사람의 인생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력은 예상보다 훨씬 강력해서 어린 시절뿐 아니라 평생 동안 지속된다고 말한다.
이 책은 베토벤과 나(지은이)의 가상 대화를 바탕으로 한 심리 상담기다. 베토벤에 대한 심리 분석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독자들은 '자기 분석'을 경험하는 것은 물론, 심리 상담의 내용과 방법, 문화를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베토벤 하면, 불굴의 정신력으로 청각 장애를 극복하고 악성이라는 불멸의 이름을 남긴 음악사의 거인이 떠오른다. 하지만 못내 아쉬운 점이 있다면 우리가 베토벤에 대해 알 수 있는 통로가 음악이라는 테두리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베토벤의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귓병 때문에 음악가로서는 목숨만큼 소중한 청력을 잃었으며, 사랑하는 연인과 결국 이루어지지 못하고 독신으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이런 베토벤의 인생을 들여다보면서 우리는 그가 가슴속에 품고 살았을 심리적 상처를 그저 짐작만 할 뿐이다.
베토벤이 자신의 심리적 상처를 드러내고 그 짐을 훌훌 털어 냈다면 인류의 음악사는 한층 더 풍성해지지 않았을까. 그리고 베토벤 개인의 삶도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이 책은 베토벤과 나(지은이)의 가상 대화를 바탕으로 한 가상 심리 상담 보고서로, 이 심리 상담을 통해 베토벤의 삶 속으로 깊숙이 들어가 그를 괴롭혔던 심리적 상처와 그 상처를 낳은 근본적 원인을 알아보자. 독자는 생각지도 못했던 놀라운 비밀을 만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베토벤을 제대로 알고 있었을까?

심리학을 공부한 지은이는 알코올중독자 아버지와 지고지순한 모정의 어머니라는 베토벤을 둘러싼 일화에 의문을 갖는다. 심리학적으로 볼 때 좋은 어머니 밑에서 자란 아들이 연애에 반복적으로 실패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이 의문을 풀기 위해 베토벤에 대한 각종 전기와 자료를 검토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는데, 베토벤과 부모의 관계는 우리가 알고 있던 것과 오히려 정반대에 가까웠던 것이다.
베토벤의 어머니는 남편 위에 군림했던 집안의 실질적 가장이자 권력자였다. 게다가 그녀는 자신의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탓에 무의식 속에 반(反)남성적인 성향을 갖게 되었고, 이것이 남편과 남자 아이였던 베토벤에게까지 전이되었다. 결국 베토벤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사랑을 받는 대신 방치당한 채 지내야 했고, 이는 결국 베토벤이 성인이 되어서도 여성과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나 감정교류를 할 수 없게 만들었다.
반면 아버지는 알코올중독자였지만 베토벤에게 심한 열등감을 심어 줄 만큼 극악무도한 사람은 아니었다. 오히려 많은 사람들 앞에서 베토벤을 칭찬해 주어 '아버지는 나를 사랑하고 내 천재성을 믿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 주었는데, 이는 베토벤이 음악사에 길이 남는 악성으로서 생의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부모의 영향력이 아이의 인생을 결정한다!

베토벤을 통해 극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아이는 세상에 태어나서부터 중요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어린 시절 내내 어머니, 아버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자란다. 그리고 그 시절에 강하게 새겨진 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감정은 이후 사회생활을 하면서 만나는 여성, 남성에게 무의식적으로 투영된다. 심리 상담을 통해 들여다본 베토벤의 인생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베토벤은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방치당한 경험 때문에 여성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런 경험은 중년기부터 그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조카 카를 문제로 전전긍긍하게 만들었다.
조카 카를 문제는 베토벤의 무의식에 남아 있던 심리적 상처가 삶의 표면으로 떠오르면서 겉잡을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된 경우였다. 베토벤은 그의 첫째 동생인 카스파어 카를의 아들인 카를을 제수 요한나로부터 뺏어오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는데, 이는 품행이 단정치 못했던 요한나가 베토벤에게 어머니와의 부정적 관계를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베토벤은 나쁜 어머니에게 묶여 있는 조카 카를에게서 방치된 채 자란 '어린 베토벤'과 어머니에게 외면당한 '아버지 요한'을 떠올렸던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식으로 베토벤을 심리 분석 대상으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어린 시절뿐 아니라 평생 동안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라는 존재 앞에서 우리 모두는 심리적 상처로 아파했던 베토벤일 수 있다. 베토벤에 대한 심리 분석 과정을 따라가면서 '자기 분석'의 기회를 갖게 되고, 아이에게 부모란 무엇일까를 다시금 생각하게 되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태형(지은이)

심리학자. 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공부했다. 주류 심리학에 대한 실망과 회의로 학계를 떠나 사회운동에 몰두하다가 중년에 이르러 다시 심리학자의 길로 돌아왔다. 기성 심리학의 오류와 한계를 과감히 비판하고 ‘올바른 심리학’을 정립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2005년부터 활발한 연구, 집필, 교육, 강의, 상담을 통해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소개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불안증폭사회》 《트라우마 한국사회》 《월북하는 심리학》 《감정의 안쪽》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의 상처가 있다》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 《풍요중독사회》 《대통령 선택의 심리학》 《이재명의 스피치》(공저) 등이 있다. *심리연구소 함께 http://cafe.naver.com/psykimcafe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6
1 어머니 - 어머니는 나를 사랑했을까? = 11
 어머니의 정체 = 12
 방치된 아이 = 21
 나는 왜 결혼을 못 한 거지? = 28
 거절에 대한 공포 = 33
2 아버지 - 나를 키운 아버지의 칭찬 = 47
 회피하고 싶은 이름, 아버지 = 53
 피아노 앞에서 울고 있는 아이 = 60
 할아버지의 유산 = 63
 아버지는 나를 사랑했다 = 71
 불쌍한 아버지 = 90
 오페라 〈피델리오〉 = 103
3 스승 네페 - 그가 나의 아버지였다면 = 117
 운명적인 스승 = 119
 생의 에너지 = 130
 하이든 = 140
4 조카 카를 - 나의 심리적 숙제 = 153
 중년의 위기 = 157
 나쁜 어머니? = 167
 조카 카를을 구해라 = 174
 양육은 어려워 = 178
 조카에 대한 사랑 = 184
 불멸의 연인과는 왜 헤어졌을까? = 193
 교향곡 제9번 〈합창〉 = 207
5 베토벤의 성격 분석 = 217
 자연을 벗 삼아: 내향형(I) = 220
 음악사에 새로운 혁신을: 직관형(N) = 225
 사람이 그리워: 감정형(F) = 231
 나는 포기할 줄 모른다: 실천형(J) = 237
 인류를 위한 순교한 음악가: INFJ = 243
6 베토벤에 대한 심리 보고서 = 253
 1. 부모 관계 = 253
 2. 주변 환경 = 257
 3. 베토벤의 정서 및 인간관계 = 258
 4. 성격: INFJ(순교자) = 259
 5. 권고 사항 = 260
부록 1 베토벤 연대표 = 262
부록 2 MBTI의 문제점과 과제 = 270
참고 문헌 = 2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Vygotskiĭ, L. S (2023)
Marmion, Jean-François (2022)
최경숙 (2023)
여태철 (2023)
박창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