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조선 숙종대 양전의 정치학과 양전론 = 15
朝鮮 肅宗代의 量田의 政治學 / 이세영 = 17
1. 머리말 = 17
2. 정권의 변동과 量田論 = 31
1) 南人 집권기(1674~1680. 3)의 量田論 = 33
2) 西人 집권기(1680. 4~1689. 2)의 量田論 = 39
3) 南人 재집권기(1689. 2~1694. 4)의 量田論 = 48
4) 老論·少論 집권기(1694. 5~1716. 6)의 量田論 = 52
3. 老論 집권과 ‘庚子量田’ 실시(1716. 7~1720) = 74
1) 政治 狀況 = 74
2) 財政 악화와 양전 = 87
3) 量田 決行과 양전조직 = 101
4. 맺음말 = 136
숙종대 후반 量田論의 추이와 庚子量田의 시행 / 염정섭 = 173
1. 머리말 = 173
2. 숙종대 후반 量田論의 추이 = 175
1) 숙종대 후반 量田 논의의 전개 = 175
2) 量田 保留論의 내용과 특색 = 196
3) 量田 施行論의 내용과 목표 = 204
3. 庚子量田 시행과정의 量田 논의 = 217
1) 量田廳의 설치와 均田使 파견 = 217
2) 量田事目에 대한 논의 = 223
⑴ 田品 等第의 陞降 = 224
⑵ 正案修整의 절차 = 228
⑶ 量田尺의 선정 = 229
⑷ 解負武의 단순화 = 235
4. 맺음말 = 238
숙종대 재정 추이와 경자양전 / 송찬섭 = 243
1. 머리말 = 243
2. 재정수입의 변화와 지출의 확대 = 244
3. 재정대책과 재정체계의 수립 = 251
1) 재정고갈의 실태와 절용 = 251
2) 재정체계의 재수립 시도 = 255
4. 양전의 시행과 성과 = 259
1) 시행논의의 재정적 성격 = 259
2) 양전의 재정적 성과 = 265
5. 맺음말 = 268
제2부 경자양전의 시행과 양안의 기능 = 271
경자양전의 시행 조직과 양안의 기재 형식 / 오인택 = 273
1. 머리말 = 273
2. 초안단계의 양전조직과 기재 형식 = 274
3. 정안단계의 양전조직과 기재 형식 = 288
4. 정안의 기재 형식에 대한 검토 = 297
5. 맺음말 = 304
조선후기의 量案과 토지문서 / 오인택 = 309
1. 머리말 = 309
2. 양안의 소유권 관리 기능 = 310
1) 양안의 양식 = 310
2) 起主의 파악 = 321
3. 양안과 토지문서의 표기 = 329
1) 양안과 토지문서 = 329
2) 결부의 실태 = 340
4. 맺음말 = 346
朝鮮後期 量案의 기능과 역할 / 최윤오 = 351
1. 머리말 = 351
2. 量田과 經界策 = 354
3. 量案의 기능 = 359
1) 所有權 확정 기능 = 362
2) 量田圖의 기능 = 366
3) 土地 評價의 기능 = 369
4. 量案의 역할 = 373
5. 맺음말 = 382
朝鮮後期의 量案과 行審冊 / 최윤오 = 387
1. 머리말 = 387
2. 量案과 行審冊의 기능 = 390
3. 行審冊의 역할-『洞中行審』 사례 = 401
4. 맺음말 = 413
제3부 경자양안의 토지소유와 그 성격 = 417
갑술·경자양전의 성격-칠곡 석전 광주이씨가 전답안을 중심으로- / 김건태 = 419
1. 머리말 = 419
2. 자료소개 = 421
1) 전답안의 구조와 내용 = 421
2) 전답분포 현황 = 431
3. 갑술·경자양전의 실상 = 434
1) 자호개정 = 434
2) 갑술·경자양전의 전품 책정원칙 = 435
3) 다섯 가지 전형의 적용실태 = 440
4) 결부수 변화양상 = 443
5) 양명의 실상과 성격 = 446
4. 경자양전의 성격 = 452
5. 맺음말 = 462
경자양전 시기 가경전과 진전 파악 실태-경상도 용궁현 사례- / 김건태 = 465
1. 머리말 = 465
2. 자료소개 및 지역개황 = 467
3. 용궁현의 가경전과 진전 실상 = 476
1) 가경전의 규모와 등급 = 476
2) 진전의 규모와 등급 = 481
4. 가경전과 진전 파악의 성격 = 485
5. 맺음말 = 493
朝鮮後期 量案상의 토지소유와 그 성격-全州府 娘山面 量案을 중심으로- / 최윤오 = 497
1. 머리말 = 497
2. 全州府 娘山面의 지역개관 = 499
3. 全州府 娘山面 양안의 面內·面外地主 = 508
1) 낭산면 및 이동면·이북면 토지분포 = 508
2) 낭산면 起主의 면내·면외 지주경영 = 515
3) 낭산면 垈主의 면내·면외 지주경영 = 519
4) 면내지주·면외지주의 존재형태 = 521
4. 맺음말 = 523
17~18세기 田畓所有規模의 零細化와 兩班層의 對應 / 김건태 = 527
1. 머리말 = 527
2. 17~18세기 田畓所有 現況 = 529
1) 兩班層의 田畓所有規模 推移 = 529
2) 地主層의 田畓所有 樣相 = 542
3. 共同所有 田畓의 擴大와 그 管理 = 548
1) 祭位田과 契田의 擴大 = 549
2) 祭位田과 契田의 管理 = 553
4. 門中과 契의 財政運營 = 560
5. 맺음말 = 566
18세기 후반 양전의 변화와 ‘時主’의 성격-충청도 懷仁縣 사례를 중심으로- / 왕현종 = 569
1. 머리말 = 569
2. 경자양전 이후 양전 방식의 양안의 변화 = 571
1) 읍별양전의 시행과 변화 = 571
2) 사진양안과 ‘時’의 기재 = 576
3. 충청도 회인현의 양전 시행과 양안 작성 = 584
4. ‘時主’의 존재와 양안상의 성격 = 591
5. 맺음말 = 598
찾아보기 = 601
출전 =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