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2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476561 | |
005 | 20101127192016 | |
007 | ta | |
008 | 080902s2008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7878998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408468 | |
040 | ▼a 225013 ▼c 225013 ▼d 211009 | |
082 | 0 4 | ▼a 028.5 ▼2 22 |
085 | ▼a 028.5 ▼2 DDCK | |
090 | ▼a 028.5 ▼b 2008z6 | |
100 | 1 | ▼a 박영목 ▼0 AUTH(211009)128489 |
245 | 1 0 | ▼a 독서 교육론 / ▼d 박영목 |
246 | 1 1 | ▼a Research on teaching reading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08 | |
300 | ▼a xiii, 425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 p. 403-425 | |
900 | 1 0 | ▼a Park, Young Mok, ▼e 저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8z6 | 등록번호 1115005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5 2008z6 | 등록번호 1115005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독서교육을 잘 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저를 제공한다. 제1장부터 제5장까지는 주로 언어와 이해의 특징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고, 제6장부터 제10장까지는 주로 독서지도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11장부터 15장까지는 독서 지도 및 독서연구의 실제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 책의 목적은 독서교육을 잘 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장부터 제5장까지는 주로 언어와 이해의 특징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고, 제6장부터 제10장까지는 주로 독서지도에 관한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11장부터 15장까지는 독서 지도 및 독서연구의 실제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01 언어의 특성과 이해 = 3 1. 언어의 구조적 특성 = 3 2. 언어의 기능적 특성 = 13 3. 언어의 과정적 특성 = 19 02 언어 이해와 인지 = 25 1. 언어 이해와 스키마 = 25 2. 언어 이해와 상위인지 = 35 03 언어의 이해와 텍스트의 구조 = 49 1. 텍스트의 구성 체계 = 49 2. 서사 구조 텍스트의 이해 = 55 3. 설명 구조 텍스트의 이해 = 60 4. 텍스트의 구조 표상 = 65 04 언어 이해의 심리적 과정 = 75 1. 언어 이해 과정에서의 정보 처리 = 75 2. 독서의 주요 과정 = 83 05 사고 기능과 언어 이해 기능 = 95 1. 사고(思考)의 제 측면 = 95 2. 사고 과정의 유형 = 98 3.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 104 4.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 = 109 06 독서지도의 이론적 기초 = 123 1. 독서지도 모형 = 123 2. 독서지도 방법 = 131 3. 창의적 학습 능력으로서의 독서 능력 = 138 4. 창의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독서 학습의 특성 = 141 07 독서지도 개선 방향 = 153 1. 교수학습 양식의 개선 = 153 2. 독서지도 내용과 방법의 개선 = 156 3. 전략 중심의 독서지도 = 161 08 독서지도의 목표와 내용과 방법 = 169 1. 독서지도의 목표 = 169 2. 독서지도의 내용 = 175 3. 독서지도 모형 = 189 09 독서지도 전략 = 195 1. 도식을 통한 유추 전략 = 196 2. 예측하기 안내 전략 = 198 3. 기존지식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전략 = 199 4. 텍스트의 각 부분 개관하기 전략 = 201 5. 등장인물의 대화 분석 전략 = 203 6. 개념 도식화 전략 = 205 7. 읽기에 대한 상이한 관점 활용 전략 = 207 8. 토의 망 활용 전략 = 209 9. 정교한 질문 전략 = 210 10. 주요 인물 분석 전략 = 212 11. 개념 분석 도식 활용 전략 = 215 12. 심상 안내 전략 = 217 13. 역사적 변화의 기본 구조 활용 전략 = 219 14. 역사적 사건의 문제 해결 관계 기억 전략 = 221 15. 탐구 차트 활용 전략 = 223 16. 상호작용적 읽기 안내 자료 활용 전략 = 225 17. 역할 분담 전략(Jigsaw) = 228 18. 배경지식의 활성화를 통한 능동적 읽기 전략(K-W-L) = 229 19. 학습 결과 및 방법 쓰기 전략 = 231 20. 주요 정보 요약 전략 = 233 21. 수학 교과서의 주요 개념 이해 전략 = 234 22. 의미 지도(Mind Map)활용 전략 = 236 23. 짝과 함께 재고하기 전략(Paired Reviews) = 237 24. 관점 학습 안내 전략 = 240 25. 가능한 문장 만들기 전략 = 241 26. 체계적 개요 작성 전략 = 242 27. 문제 상황 활용 전략 = 244 28. 명제와 근거 중심의 개요 작성 전략 = 245 29. 피라미드 도식 활용 전략 = 247 30. 질문과 대답 사이의 관계 파악 전략 = 249 31. 질문 분석 전략 = 250 32. 저자에 대한 질문 전략 = 252 33. 작문 상황 활용 전략 = 254 34. 소리내어 읽기 전략 = 255 35. 협동적 의견 교환 전략 = 256 36. 과학적 현상과의 연결을 통한 개관 전략 = 258 37. 의미 자질 분석 전략 = 260 38. 자기 조정 전략 = 261 10 학습과 독서 = 267 1. 학습 양식으로서의 독서의 유형과 목적 = 267 2. 학교 학습과 독서 = 270 11 독서 과목의 지도 내용과 방법 = 291 1. 독서 과목의 지도 내용 = 291 2. 독서 과목의 지도 방법 = 317 12 전략적 과정 중심 읽기지도 방안 = 323 1. 전략적 정보 처리와 읽기 = 326 2. 전략적 과정 중심 읽기지도 방안 = 332 13 과정 중심 독서지도의 실제 = 345 1. 독해의 과정과 맥락 = 347 2. 효과적인 독해 과정 지도의 방법 = 352 3. 과정 중심 독서 지도의 실제 = 357 14 독서교육 연구의 방법 = 367 1. 독서 학습의 사회·문화적 특성 = 370 2. 독서교육 연구의 사회·문화적 접근 = 376 15 독서교육 연구의 실제 = 381 1. 한자 지식과 어휘력 사이의 관계 = 384 2. 한자 지식이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 393 참고문헌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