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아교육개론

유아교육개론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지옥정 김수영 정정희 고미애 조혜진
서명 / 저자사항
유아교육개론 / 지옥정 [외].
발행사항
서울 :   창지사 ,   2008.  
형태사항
326 p. : 삽도 ; 26 cm.
ISBN
9788942604791
일반주기
공저자: 김수영, 정정희, 고미애, 조혜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714camccc200277 k 4500
001 000045476537
005 20100807054551
007 ta
008 080729s2008 ulka b 000c kor
020 ▼a 9788942604791 ▼g 93370
035 ▼a (KERIS)BIB000011373780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8z13
245 0 0 ▼a 유아교육개론 / ▼d 지옥정 [외].
260 ▼a 서울 : ▼b 창지사 , ▼c 2008.
300 ▼a 326 p. : ▼b 삽도 ; ▼c 26 cm.
500 ▼a 공저자: 김수영, 정정희, 고미애, 조혜진.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지옥정 ▼0 AUTH(211009)26591
700 1 ▼a 김수영 ▼0 AUTH(211009)47929
700 1 ▼a 정정희 ▼0 AUTH(211009)116406
700 1 ▼a 고미애 ▼0 AUTH(211009)29030
700 1 ▼a 조혜진 ▼0 AUTH(211009)110095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8z13 등록번호 1114997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8z13 등록번호 1114997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지옥정(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교육과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문교수로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호주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ECEfS)’을 연구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부모-자녀 관계’와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ECEfS 유아교육 현장 적용’이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유아교육과 명예교수이면서, <EfS 유아와 환경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환경기념일로 풀어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유아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 11
 제1절 유아교육의 개념 = 13
  1. 교육의 개념 = 13
  2. 유아의 개념 = 16
  3. 유아교육의 개념 = 17
 제2절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 20
  1.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 20
  2. 외국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 22
 제3절 유아교육의 중요성 = 25
  1. 아동관의 변화에 따른 유아교육의 중요성 = 26
  2. 심리학적 연구결과로 본 유아교육의 중요성 = 27
  3. 현대사회의 변화 및 특징에 따른 유아교육의 중요성 = 29
제2장 유아교육사상 = 35
 제1절 유아교육사상의 개념 및 중요성 = 37
 제2절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사상 = 39
  1. 유교 = 39
  2. 불교 = 40
  3. 천도교 = 42
 제3절 서양의 유아교육사상 = 43
  1. 고대, 중세의 유아교육사상 = 43
  2. 근세 실학주의에서의 유아교육사상 = 44
  3. 계몽주의의 유아교육사상 = 47
  4. 신인문주의 유아교육사상 = 53
  5. 현대의 유아교육사상 = 60
제3장 유아교육과 발달이론 = 67
 제1절 성숙이론 = 69
  1. 홀의 발달론 = 70
  2. 게젤의 성숙론 = 71
  3. 교육적 시사점 = 72
 제2절 정신분석이론 = 72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 = 73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 = 78
  3. 교육적 시사점 = 80
 제3절 학습이론 = 81
  1.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82
  2.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83
  3. 사회학습이론 = 85
  4. 교육적 시사점 = 86
 제4절 인지발달이론 = 87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87
  2.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이론 = 92
  3. 교육적 시사점 = 96
제4장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정 = 99
 제1절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 = 101
  1. 교육과정의 개념 = 101
  2. 교육과정 관련논의 = 102
 제2절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및 역사적 발전과정 = 107
  1.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및 성격 = 107
  2. 유아교육과정의 역사적 발전과정 = 109
 제3절 유아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114
  1. 심리학적 이론 = 115
  2. 생태학적 관점 = 116
  3. 철학적 입장 = 117
 제4절 우리나라와 외국의 유아교육과정 실제 = 118
  1.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과정 = 118
  2. 외국의 유아교육과정 = 132
제5장 유아교육환경의 구성 = 139
 제1절 실내 놀이 환경 = 143
  1. 영아 및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 = 144
  2.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 = 148
 제2절 실외 놀이 환경 = 155
제6장 유아교육과 놀이 = 167
 제1절 놀이의 정의 = 169
 제2절 놀이의 이론 = 171
  1. 고전적 놀이이론 = 171
  2. 현대 놀이이론 = 173
 제3절 놀이와 유아의 발달 = 176
  1. 놀이와 신체발달 = 176
  2. 놀이와 인지발달 = 176
  3. 놀이와 언어발달 = 180
  4. 놀이와 사회성발달 = 180
  5. 놀이와 정서발달 = 181
 제4절 연령별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 182
  1. 영아기 = 182
  2. 유아기 = 183
 제5절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7
  1. 개인적 요인 = 187
  2. 가정환경 = 188
  3. 사회환경 = 189
제7장 유아교육과 교사 = 193
 제1절 유아교사의 전문성 = 195
  1. 직업 분류 = 196
  2. 전문직의 조건 = 197
  3.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논의 = 199
  4. 교직윤리 = 201
 제2절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질 = 204
  1. 유아교사의 역할 = 204
  2. 유아교사의 자질 = 208
 제3절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유아교사 = 210
  1. 지식기반사회의 특징과 교육환경의 변화 = 210
  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유아교사 = 213
 제4절 유아교사교육 = 214
  1. 교사 양성교육 = 214
  2. 현직교육 = 217
제8장 유아교육과 부모 = 223
 제1절 부모역할과 양육태도 = 225
  1. 부모의 역할 = 226
  2. 부모의 양육태도 = 228
 제2절 부모 참여 및 부모교육 = 231
  1. 부모 참여 및 부모교육의 개념 = 231
  2. 부모교육의 필요성 = 233
  3. 부모교육의 이론 = 235
  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 243
제9장 유아교육의 주요문제 = 249
 제1절 영아 교육 = 251
  1. 영아기의 개념 및 중요성 = 251
  2. 영아발달의 특징 = 252
  3. 영아기 교육 = 254
 제2절 반편견 교육 = 255
  1. 반편견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255
  2. 반편견 교육의 내용 및 교육과정 = 257
 제3절 종일제 교육 = 260
  1. 종일제 교육의 개념 = 260
  2. 종일제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 261
  3.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의 기본 원리 = 263
  4. 종일제 프로그램의 운영방안 = 264
 제4절 장애아 통합교육 = 267
  1. 장애아 통합교육의 의미 = 267
  2. 장애아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 269
  3. 장애아 통합교육의 발전방향 = 271
 제5절 유ㆍ초 연계교육 = 277
  1. 유ㆍ초 연계의 개념 = 277
  2. 유ㆍ초 연계의 필요성 = 278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 = 279
  4. 유ㆍ초 연계교육의 방향 = 281
제10장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변천과정 및 전망 = 285
 제1절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변천과정 = 287
  1. 유치원 = 287
  2. 어린이집 = 304
 제2절 우리나라 미래 사회 모습과 유아교육의 미래 전망 = 310
  1. 미래사회의 전반적 특성과 교육의 지향방향 전망 = 310
  2. 한국사회의 미래 전망과 교육의 지향방향 = 313
  3. 한국사회의 인구학적 변화에 비추어 본 유아교육 전망 = 314
  4. 유아교육법 제정 이후 유아교육 전망 = 316
부록 = 32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