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토피아 ; 자유론 ; 통치론 (15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ore, Thomas, Sir, Saint, 1478-1535 Mill, John Stuart, 1806-1873. 저 Locke, John, 1632-1704. 저 김현욱 金顯煜, 역
서명 / 저자사항
유토피아 / 토머스 모어 ; 김현욱 옮김 ; 자유론 / 존 스튜어트 밀 ; 김현욱 옮김 ; 통치론 / 존 로크 ; 김현욱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동서문화사,   2008   (2011)  
형태사항
50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World book ;42
원표제
Utopia
ISBN
9788949704876 9788949703824 (세트)
일반주기
연보수록  
'자유론'의 원표제는 'On liberty'이고, '통치론'의 원표제는 'Two treatises of government'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76186
005 20230426135929
007 ta
008 080724s2008 ulka 000c kor
020 ▼a 9788949704876 ▼g 04080
020 1 ▼a 9788949703824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5.02 ▼a 323.44 ▼a 320.01 ▼2 23
085 ▼a 335.02 ▼2 DDCK
090 ▼a 335.02 ▼b 2008z1
100 1 ▼a More, Thomas, ▼c Sir, Saint, ▼d 1478-1535 ▼0 AUTH(211009)54602
245 1 0 ▼a 유토피아 / ▼d 토머스 모어 ; ▼e 김현욱 옮김 ; ▼a 자유론 / ▼d 존 스튜어트 밀 ; ▼e 김현욱 옮김 ; ▼a 통치론 / ▼d 존 로크 ; ▼e 김현욱 옮김
246 1 9 ▼a Utopia
260 ▼a 서울 : ▼b 동서문화사, ▼c 2008 ▼g (2011)
300 ▼a 506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World book ; ▼v 42
500 ▼a 연보수록
500 ▼a '자유론'의 원표제는 'On liberty'이고, '통치론'의 원표제는 'Two treatises of government'임
700 1 ▼a Mill, John Stuart, ▼d 1806-1873. ▼t On liberty, ▼e
700 1 ▼a Locke, John, ▼d 1632-1704. ▼t Two treatises of government, ▼e
700 1 ▼a 김현욱 ▼g 金顯煜, ▼e▼0 AUTH(211009)9677
900 1 0 ▼a 모어, 토머스, ▼e
900 1 0 ▼a 밀, 존 스튜어트, ▼e
900 1 0 ▼a 로크, 존, ▼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5.02 2008z1 등록번호 1114998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08z1 등록번호 1114998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02 2008z1 등록번호 5110188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회의 분열을 막고, 속인이 영적인 세계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역설했던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19세기 전반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서 시민적.사회적 자유를 논한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최초의 계몽주의 철학자 존 로크의 <통치론>을 담았다.

현실세계 비판과 이상향의 열망 <유토피아>
시민적 사회적 자유를 논한 필독명저 <자유론>
정치철학서 사상 최고 역작 <통치론>


□ 유토피아
‘이상향(理想鄕)’의 절대명저
교회의 분열을 막고, 속인이 영적인 세계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역설했던 토머스 모어는 후대 사람들에게 진정한 휴머니스트로 기억되고 있다.
그의 노작 <유토피아>는 사회제도, 정치, 종교, 문화 등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이를 직역하면 ‘어디에도 없는 곳’을 의미하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유토피아는 ‘완벽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사회’를 뜻한다.
이 작품은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그리고 신대륙발견 등 유례없는 변화의 소용돌이에 있었던, 16세기 초 영국을 비롯한 유럽사회의 사회문제들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모어가 이를 고발하고 비판한 것은 소외된 민중에 대한 연민과 애정으로 인한 것이었다.
<유토피아>는 모어가 가상의 인물인 포르투갈 출신의 여행가 라파엘 히드로다에우스를 만나 그에게서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옮겨 적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책은 모두 2권으로 되어 있는데, 1권에서는 현실정치에 참여하고 있던 모어와 자일즈가 라파엘과 나눈 대화에 대해, 2권에서는 라파엘이 경험한 유토피아 국가의 사회.정치체제와 정치사상 및 종교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그렇다면 과연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세계인가? 모어가 생각한 유토피아는 완성된 모습의 ‘이상향’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최종적으로는 극복되어야 할 대상이 되는 사회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더 나은 세계를 꿈꾸며 현실세계를 개선해 나가도록 노력을 그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자유론
이데올로기를 초월하는 현대인의 필독서
<자유론>을 크게 구분하여 살펴보면, 1장에서는 개인에 대한 사회가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자유의 성격과 그 한계, 2장에서는 사상과 언론에 대한 자유, 3장에서는 사회복지의 요소로 중시되는 개성, 4장에서는 개인과 사회적 권위 또는 권력 사이의 관계, 5장에서는 실제적인 적용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자유론>은 19세기 전반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서 시민적.사회적 자유를 논한 밀의 고전적 명저(名著)이다. 당시의 중요 문제를 다룬 그의 자유분방한 탐구정신을 높이 평가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그의 철학이 진지한 인간정신에 대해 강한 호소력을 갖는다는 점과 공리주의를 구현한다는 점에서는 아직까지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밀은 다수의 횡포에 대해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면서 사상과 토론의 완전한 자유를 지지하였으며, 어떤 사회나 국가도 인간 개성의 자유로운 발달을 저해할 권리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결코 쉬운 내용은 아니지만 읽을 가치가 충분한 고전으로서 특히 ‘자유’ 문제를 고찰하기 위한 현대인의 필독서이다.

□ 통치론
고전이면서도 현대를 생각케 하는 정치철학서 사상 명저
존 로크는 최초의 계몽주의 철학자로서, 영국 경험론 학파와 미국 실용주의 학파의 사상적 전통을 기초한 사람이기도 하다. 조세징수권 논쟁과 1688년 명예혁명에서 휘그당의 이데올로기를 전개한 그는 자유주의의 고전적 표현을 정식화했고, 그의 자유주의는 미국혁명과 미국헌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그의 사상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정치 철학물 중 백미로 꼽히는 <통치론>은 로크의 가장 중요한 저작물이다. 이는 소유권에 있어서의 의논 이외에 처벌과 형벌의 권리에 관한 생각의 보고로서 공산제, 화폐제도, 자본주의나 민주주의 등 근데 이데올로기에 대한 여러 문제에 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를 준다. 국왕의 대권에 관해서 논하고 있는 점을 낡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현대에도 왕제, 군주제인 나라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통치론?의 이러한 논의가 결코 옛 유물만은 아닌 것이다.
<통치론>은 고전이면서 동시에 현대를 생각하게 하는 힌트를 풍부하게 내재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소유, 통치, 범죄와 형벌 등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존 로크(지은이)

1632년 영국 남서부 서머싯의 청교도적인 국교회 집안에서 태어나 변호사인 아버지로부터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열 살 되던 해인 1642년 영국내전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워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정치에 눈을 떴고, 스무 살인 1652년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에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철학, 언어학, 논리학, 윤리학, 수학, 천문학 등을 공부했다. 1658년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옥스퍼드 대학에서 지도교수가 되어 그리스어와 수사학, 도덕철학을 가르쳤다. 동시에 실험과학과 의학에도 큰 관심을 가져 의학 특별연구원이 되었는데 그 명성이 상당했다. 당대 유명한 정치가이며 휘그당의 창시자인 애슐리 경(섀프츠베리 백작)의 주치의가 되면서 영국의 정치에도 관여했고, 그의 아들의 가정교사, 고문으로도 일했다. 그러나 애슐리 경이 반역죄로 몰려 네덜란드로 망명하게 되자 위기를 느낀 로크도 1683년 네덜란드로 망명했다. 이 기간 동안 자녀교육에 관한 글을 친구에게 써보냈는데, 그것이 교육론의 원고가 되었다. 1689년 제임스 2세가 쫓겨난 명예혁명 후에 영국으로 돌아온 로크는 외교관 자리를 거절하고 영국 정치와 종교를 관용의 문제로 다룬 《관용에 관한 편지》를 썼다. 말년에는 조용히 은거하면서 휘그당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하며 《통치론》, 《인간지성론》 등을 집필했다. 1704년 경건하게 살아온 72년의 삶을 조용히 마감했다. 영국경험론의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진보적 사상가였던 그는 오늘 날에도 철학뿐만 아니라, 정치학·심리학·교육학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회·정치사상은 미국의 독립선언서와 프랑스혁명 정신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 자유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이념적 기초를 제공했다. 1632년 변호사인 존 로크 1세의 아들로 출생 1646~1652년 웨스트민스터 기숙학교 수학 1652년 옥스퍼드 대학 크라이스트 처지 칼리지 입학 1656년 학사학위 취득, 옥스퍼드 대학 튜터 임용 1658년 석사학위 취득, 강사 임용 1665~1666년 월터 베인 경의 독일 공사 서기관 1672년 샤프츠베리 대법관의 공보비서 1675년 대외무역위원회 서기장 1675~1679년 프랑스에서 대표작인 『인간오성론』 집필 1683~1689년 네덜란드 망명 1689년 세금항소위원회 위원 1690년 공소원장 1700년 정계 은퇴 1704년 사망 주요 저서 1689년. 『관용에 관한 서한(A Letter Concerning Toleration)』 1690년. 『관용에 관한 두 번째 서한(A Second Letter Concerning Toleration)』 1692년. 『관용에 관한 세 번째 서한(A Third Letter for Toleration)』 1689/90년. 『통치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 1689/90년. 『인간오성론(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693년. 『교육론(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1695년. 『기독교의 이치(The Reasonableness of Christianity)』

존 스튜어트 밀(지은이)

19세기 영국, 특히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며 사회개혁가로서, 학문적으로는 철학과 경제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루었고, 사회개혁가로서는 노동자들의 지위 향상과 여성참정권 운동 등에 기여했다. 1806년 5월 20일, 현재 런던의 북부 교외에 있는 펜턴빌에서,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인 제임스 밀과 해리엇 바로우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어려서부터 벤담의 동지이자 친구였던 그의 아버지의 교육을 따라 공리주의의 차세대 지도자가 되기 위한 엄격한 영재교육을 받았다. 3살에는 그리스어를, 8살에는 라틴어를 익혔으며, 10대 초에 이미 정치경제학, 논리학, 수학, 자연과학을 섭렵했고, 15살에는 철학, 심리학, 정치철학에 관한 주요 저술을 시작했으며, 벤담식 공리주의의 탁월한 토론가이자 선전가로 활약했다. 그렇지만 밀은 20세에 이르러 자신이 지금까지 추구하던 공리주의적 개혁에 대해서 어떤 정열과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신적 위기를 겪었다. 이런 정신적 위기 속에서 밀은 워즈워드의 시를 통해 감성과 상상력에 눈을 뜨면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넓혀 낭만주의 문학과 철학 및 당시의 다양한 학문 사조를 흡수하게 되면서, 벤담식 공리주의와는 다른 밀 자신의 공리주의의 체계를 발전시키게 된다. 이런 시기를 거치면서 밀은 &lt;논리학체계&gt;, &lt;정치경제학 원리&gt;, &lt;윌리엄 해밀턴의 철학&gt;, &lt;자유론&gt;, &lt;대의정부론&gt;, &lt;공리주의&gt;, &lt;여성의 예종&gt; 등의 저술을 출판했고, 사후에 &lt;종교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gt;와 &lt;사회주의론&gt;이 출판되었다. 밀은 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사회현실에도 깊이 관여했는데, 17세인 1823년에 동인도회사에서 통신심사부장인 아버지 제임스 밀의 조수로 근무를 시작해서 그가 56세가 되는 1862년까지 근무했는데, 최종 직책은 현재로 치면 인도를 다스리는 중앙정부의 차관급이었다. 그 후 밀은 1865-68년에 자유당 후보로서 웨스터민스터의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하원의원직에서 물러난 후 아비뇽으로 옮겨 살다가 1873년 사망해서 아비뇽에 있던 자신의 아내 곁에 묻혔다.

토머스 모어(지은이)

영국의 정치가이자 문필가. 법률가인 조 모어의 아들로 태어나 옥스퍼드에서 수학했으며 링컨법학원에서 일반법을 공부한 후 1500년 변호사 자격증을 땄다. 1504년 의회에 진출했으나 헨리 7세의 세금법안에 반대했다가 공직에서 물러났다. 1509년 헨리 8세가 왕위에 오르자 런던의 민선행정관 대리로 일하면서 공평한 재판관이자 빈민들의 보호자로서 시민들의 사랑을 받았다. 1521년 재무장관으로 승진했고 기사 작위를 수여받았다. 1523년 하원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529년에는 대법관을 겸하는 상서경에 올랐다. 그러나 1534년 헨리 8세와 앤 불린의 결혼에 반대하고, 왕위계승법에 서명하길 거부하여 런던탑에 감금되었다. 1535년에 열린 재판에서 반역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참수되었다. 로마 교황청은 사후 400년이 지난 1935년에 그에게 성인의 칭호를 부여했다.

김현욱(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를 거쳐 오스트리아 빈대학 대학원을 졸업. 국제정치학 박사학위 취득. 미국 남오레곤주립대학교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수, 국회의원 국회외무위원장 IPU 한국대표. 지은책으로는 「이상과 현실을 바라보며」, 「용기있는 사람들」,「한국과 한국인」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유토피아
 제1권 = 11
 제2권 = 44
 토머스 모어가 피터 자일즈에게 보내는 편지 = 115
자유론
 제1장 머리말 = 123
 제2장 사상과 언론의 자유 = 142
 제3장 사회복지의 한 요소로서의 개성에 관하여 = 198
 제4장 개인을 지배하는 사회 권위 한계에 관하여 = 226
 제5장 적용 = 255
통치론
 제1장 머리말 = 287
 제2장 자연 상태에 관하여 = 289
 제3장 전쟁 상태에 관하여 = 298
 제4장 노예 상태에 관해서 = 303
 제5장 소유권에 관하여 = 306
 제6장 부권에 대하여 = 324
 제7장 정치사회 또는 시민사회에 관하여 = 341
 제8장 정치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 354
 제9장 정치사회와 통치의 여러 목적에 관하여 = 374
 제10장 국가의 여러 형태에 관하여 = 379
 제11장 입법권의 범위에 관하여 = 381
 제12장 국가의 입법권ㆍ행정권ㆍ연합권에 관하여 = 390
 제13장 국가 권력의 종속 관계에 관하여 = 393
 제14장 국왕의 대권에 관하여 = 402
 제15장 부권(父權), 정치적ㆍ전제적 권력의 총괄적 고찰 = 409
 제16장 정복에 관하여 = 413
 제17장 찬탈에 관하여 = 428
 제18장 전제에 관하여 = 429
 제19장 통치의 해체에 관하여 = 438
해설/연보
 모어의 생애와 《유토피아》 = 463
 존 스튜어트 밀의 사상과 《자유론》 = 470
 존 로크와 '소유'의 수수께끼 = 476
 토머스 모어 연보 = 489
 존 스튜어트 밀 연보 = 496
 존 로크 연보 = 50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