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의학 탐사여행 :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Loan 9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윤영주 , 편저
Title Statement
한의학 탐사여행 :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 윤영주 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u-북 ,   2008.  
Physical Medium
319 p. ; 23 cm.
ISBN
978899173814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13]-319.
000 00635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75632
005 20100807053021
007 ta
008 080904s2008 ulk b 000c kor
020 ▼a 9788991738140 ▼g 93510
035 ▼a (KERIS)BIB000011403858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610/.95 ▼2 22
085 ▼a 610.99 ▼2 DDCK
090 ▼a 610.99 ▼b 2008z5
245 0 0 ▼a 한의학 탐사여행 : ▼b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 ▼d 윤영주 편저.
260 ▼a 서울 : ▼b u-북 , ▼c 2008.
300 ▼a 31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3]-319.
700 1 ▼a 윤영주 , ▼e 편저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1149850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114985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512662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1149850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114985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0.99 2008z5 Accession No. 1512662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울대 의대 본과 4학년 과목인 ‘한의학과 보완대체의학’ 강좌에 참여한 10명의 교수진과 360명의 학생들의 게시판에서 한 토론을 원본으로 하는 ‘집단지성적’ 저작이다. 학생들의 예리한 비판은, 두 의학이 ‘소통’의 길을 모색하는 편저자의 문제의식을 단련시키면서, 풍부하고 설득력 있는 논의들을 탄생시켰다.

필자가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문제 제기와 편저자의 답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비판과 관찰자들의 코멘트, 그에 대한 재비판 등으로 전개되는 흥미진진한 논전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한 편의 잘 만든 드라마를 보는 듯하다.

한의학에 관련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문제들만이 아니라 근거중심의학 등의 연구 방법론의 문제, 보완대체요법, 앙한방 협진, ‘의료 일원화’, 한의사들의 의학 장비 사용 문제 등 현재 의료 현장에서의 가장 이슈가 되는 것들도 다루었다. 한의학의 과학화, 한방 의료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복잡한 주장들 중에서 가장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와 주장들을 집약했다. 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논리와 사례를 통해서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핵심을 설명한다.

지금까지 이런 의학·한의학 책은 없었다

선생과 학생 370여명이 참여한 ‘집단지성적’ 저작이다
게시판, 블로그, 댓글 달기에 익숙한 문화는 어렵고 힘들기로 ‘악명 높은’ 공부를 하는 의과대생들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이 책은 서울대 의대 본과 4학년 과목인 ‘한의학과 보완대체의학’ 강좌에 참여한 10명의 교수진과 360명의 학생들의 게시판에서의 토론을 원본으로 하는 ‘집단지성적’ 저작이다. 참여자가 다양한 만큼, 한의학에 대한 허를 찌르는 질문은 본서의 내용을 아주 풍요롭고 만들었다. 학생들의 예리한 비판은, 두 의학이 ‘소통’의 길을 모색하는 편저자의 문제의식을 더욱 단단하게 단련시키면서, 풍부하고 설득력 있는 논의들을 탄생시켰다.

마치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드라마와 같은 내용 구성을 하였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필자가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이면서 박진감 넘치는 내용의 전개 방식에 있다. 학생들의 문제 제기와 편저자의 답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비판과 관찰자들의 코멘트, 그에 대한 재비판 등으로 전개되는 흥미진진한 논전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한 편의 잘 만든 드라마를 보는 듯하다.

한의학과 한방 의료 현실을 둘러싼 ‘까칠한’ 비판을 정면으로 다루었다
의사와 의학도, 더 나아가 한방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이 한의학과 한방 의료에 대해서 가하고 있는 비판들을 어느 것 하나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다루었다. 편저자는 한의학 비판에 대해서 점잖은 채 에둘러서 말하거나, 논점을 얼버무리고 애매하기 답변하는 태도를 철저하게 배격한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한의학에 대한 성역 없는 비판과 그에 대한 한의학 진영의 설득력 있는 반론을 접할 수 있다.

한의학의 발전방향에 대한 현재의 논의를 집대성하였다
한의학에 관련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문제들만이 아니라 근거중심의학 등의 연구 방법론의 문제, 보완대체요법, 앙한방 협진, ‘의료 일원화’, 한의사들의 의학 장비 사용 문제 등 현재 의료 현장에서의 가장 이슈가 되는 것들도 다루었다. 이 책에서 펼쳐지는 불꽃 튀는 담론들은 한의학의 과학화, 한방 의료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복잡한 주장들 중에서 가장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와 주장들을 집약한 것이다.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논리와 설명으로 서술되었다
그동안 한의학에 관련된 책들은 한의학에 고유한 개념과 설명 방식 때문에 일반 독자나 의학도들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 책은 일반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논리와 사례를 통해서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핵심을 설명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윤영주(엮은이)

서울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의사의 꿈을 키워왔다. 1981년 서울대 의예과에 입학했고, 80년대 상황에서 학생운동, 노동운동 투신이라는 길을 걸으면서 1985년 의대를 스스로 그만두었다. 1987년에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루기도 했다. 한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1994년 동의대 한의대에 입학해서, 2001년 2월 수석 졸업했다. ‘동서의학의 소통 ? 협력’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서울대 의대에 재입학하여 졸업하고 2004년 3월 의사면허도 취득하였다.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에서 의과학석사와 한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의사로서 요산한의원과 해마한의원에서 4년간 진료하였고, 2009년에는 한국한의학연구원 침구경락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침치료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서울대 의대, 경북대 의대, 동국대 의대, 단국대 의대, 경희대 의대, 아주대 의대, 한림대 의대, 제주대 의대, 충북대 의대 등에서 한의학을 강의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동서협진의학 교수이며, 복수면허자 학회인 대한동서의학회 학술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알러지면역클리닉, 동서협진클리닉에서 진료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으로 “양한방 공동연구와 협진 활성화를 위한 의사 대상 한의학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한의사로서 또 의사로서 주된 관심사는 ‘한약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한의학 임상연구 방법론의 개발’, ‘한의학을 올바로 알리는 교육’ 등이다. 양한방 협진 임상을 계속 하면서 바람직한 협진 모델과 프로토콜을 연구 개발하고,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좋은 의료’의 내용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꿈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사 = 3
서문 = 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의학과 보완대체의학' 강좌의 내용과 진행과정 = 10
총론 : 한의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
 Ⅰ.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 23
 Ⅱ. 한의학의 역사와 제도:한ㆍ중ㆍ일 비교 = 27
 Ⅲ. 과학으로서의 한의학:그 기본체계와 핵심개념 = 32
  1. 철학적 토대 = 32
  2. 생리학 = 34
  3. 병리학 = 37
  4. 진단학 = 38
  5. 치료의 원칙 = 39
 Ⅳ. 한방 의료의 실제 = 42
  1. 진찰 = 42
  2. 침과 뜸 = 42
  3. 한약 = 45
  4. 양생법(건강생활법) = 47
1부 한의학의 과학화 논쟁
 한의학의 과학화 논쟁 = 57
  '현대화', '과학화'는 한의학의 정체성을 위태롭게 만들지 않을까 = 57
  한의학에서 서양의학적 검사와 진단기계 도입이 왜 필요한가 = 63
  음양오행이론은 과학인가 철학인가 = 66
  오행 개념이 의학의 근본 개념이 될 수 있는가 = 72
  임상적 효용이 있다면 한의학 개념체계가 의학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 74
  장상론의 근거는 무엇인가 = 81
  한의학은 RCT같은 의학방법론을 부정하는가 = 82
  경험의학이라는 사실이 과학성을 보증해주는가 = 87
  '체질' 개념은 한의학의 과학적 취약점의 해결사인가 = 93
  한의학의 현대화는 현대 의학의 성과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수용하는 것은 아닌가 = 94
  한의학과 근거중심의학, 필요성과 어려움은 무엇인가 = 97
  한의학에서는 임상연구 설계를 어떻게 하는가 = 107
  한의학만의 독자적인 연구방법론은 무엇인가 = 109
  한의사들은 왜 처방의 차이가 큰가 = 110
  한의학에서는 정형화된 프로토콜이 개발되는가 = 112
  한의사와 한의대생들은 서양의학에 배타적인가 = 113
  한의사의 서양 의학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115
  한의학은 한의대 교육과정에서 주입된 신념체계가 아닌가 = 116
  한의학 용어를 영어로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 = 118
2부 한방 의료의 실제
 Ⅰ. 한방 의료? 실제 - 치료 영역과 방법 = 123
  한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 개인별 처치가 달라지는가 = 123
  한의학 내에서 사상의학의 위치는 어디인가 = 124
  열이 많은 체질, 냉한 체질이 따로 있는가 = 127
  서양인에게 한의학 치료를 할 때 달라지는 점이 있는가 = 129
  한의학이 서양의학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 131
  한의학의 치료는 근골격계 질환 외에도 유용한 영역이 있는가 = 134
  한방치료는 세밀하기보다는 두루뭉술하지 않은가 = 135
  한의학에서 면역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이 무엇인가 = 136
  한의학에서는 감염병을 어떻게 치료하는가 = 139
  한의학에서는 응급환자를 어떻게 치료하는가 = 140
  한의사들은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는가 = 141
  한방 치료의 교과서적 지침서는 존재하는가 = 143
  도대체 『동의보감』이 치료에 얼마나 유용한가 = 144
  한의학은 새롭게 발생한 질병을 어떻게 대처하는가 = 146
  한의사도 의료 사고시 책임을 져야 하는가 = 148
  간질환을 한방으로 치료할 수 있나 = 150
  당뇨병도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한가 = 153
  한방 성장ㆍ비만 클리닉의 치료방법은 무엇인가 = 158
  추간판 탈출증의 완치는 가능할까 = 160
  한의학에서는 암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가 = 163
  새로운 한의학적 암 치료법이 인정받고 있는가 = 165
  한의학에도 정신과 영역이 있는가 = 166
 Ⅱ. 한방 의료의 실제 - 진단 = 168
  서양의학의 여러 영상장비를 이용하려는 것은 한의학의 한계를 자인하는 것 아닌가 = 168
  한방치료의 비용 대비 효과를 측정할 도구가 있나 = 169
  한의사는 영상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가 = 170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갈등, 합리적 해법은 무엇인가 = 171
  한의학의 진단법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은 제한되어 있지 않나 = 177
  한의학의 '전체적 관점'은 진단에 어떻게 반영되나 = 178
  주증과 차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180
  한의학 상의 고유의 진단명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81
  한의사들은 감별진단 없이 치료부터 하는가 = 183
  진맥의 원리는 무엇인가 = 184
  진맥으로 임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나 = 188
  진맥을 통해 장기의 이상을 진단할 수 있나 = 189
  한의학적 진단도구가 얼마나 개발되었나 = 191
 Ⅲ. 한방 의료의 실제 - 경락과 침구 = 193
  경혈을 이용한 치료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 193
  경락에서 무엇을 진단하는가 = 194
  경락 경혈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 = 195
  침에 관한 임상연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 200
  침구시술 수준을 어느 정도까지 높일 수 있는가 = 204
  IMS(근육내 자극술)와 침술은 다른 것인가 = 206
  침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 207
  침술치료에서 원격 취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8
  침으로 안면신경마비의 완치가 가능한가 = 210
  경혈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 211
  체했을 때 손을 따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 = 213
  수지침과 경락 마사지는 침과 어떻게 다른가 = 216
  뜸의 원리는 무엇인가 = 216
  사혈과 자석요법의 원리는 무엇인가 = 218
 Ⅳ. 한방 의료의 실제 - 한약 = 220
  한약의 효과는 스테로이드 효과에 불과한가 = 220
  한의사들은 감초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있는가 = 222
  보약의 성분과 효과는 무엇인가 = 224
  한약은 간을 손상시키지 않는가 = 224
  한약 안전성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 = 228
  한약재는 독성과 잔류 농약 등에 관한 품질검사를 제대로 받고 있나 = 229
  한약 처방전도 공개해야 하지 않는가 = 231
  한약에도 정량 개념이 있는가 = 232
  양약과 비교할 때 한약의 장점은 무엇인가 = 234
  한약과 양약의 상호작용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가 = 235
  한약과 양약을 함께 복용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가 = 237
  한약의 제형 중에서 탕약이 가장 효과가 좋은가 = 239
  한약재 성분연구는 어느 정도 되어있는가 = 240
  한약 처방 내에서 약물 상호작용은 어떻게 파악하는가 = 242
  국내에서 한약 성분을 기초로 개발된 약이 있는가 = 243
  한약에 대해 약리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 = 244
  찬 음식과 따뜻한 음식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 = 246
3부 한국 의료제도 속의 한의학
 한국 의료제도 속의 한의학 = 253
  한방의약분업에 대해 한의계는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 = 253
  한약사 제도에 대한 한의사들의 입장은 무엇인가 = 255
  한약은 값이 너무 비싼 것 아닌가 = 257
  한방치료의 보험수가는 어떻게 정해지나 = 258
  환자를 직접 보지 않고 약을 처방해도 되는가 = 259
  한의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 260
  한방 개원가의 실정은 어떤가 = 262
  한국에서의 한의학 연구는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나 = 263
  한국 한의학이 중의학이나 일본 전통의학보다 우월한가 = 264
  중의사 면허자가 한국에서 진료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 265
  한의학에도 기초 전공자가 존재하는가 = 267
  한의대의 교육과정과 전문의 과정은 어떠한가 = 268
  한의학 교육제도의 개편 방안이 있는가 = 270
  보완대체의학도 포함하는 바람직한 진료체계는 무엇인가 = 271
  한의학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사용되는가 = 272
  정통의학-보완대체의학-한의학의 관계는 향후 어떻게 될까 = 275
  한의사들은 이른바 '의료일원화'를 어떻게 받아들이나 = 278
  동서의학의 접목을 위한 노력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나 = 281
  양한방 협진의 현황은 어떠한가 = 282
  동서의학 협진의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 = 284
  의사, 한의사 면허를 모두 취득한 사람들의 현실은 어떠한가 = 288
4부 한의학을 이해할 때 의사들이 얻을 수 있는 것
 한의학을 이해할 때 의사들이 얻을 수 있는 것 = 295
  한의학을 선택한 개인적 이유는 무엇인가 = 295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 = 296
  환자에게 해가 없다면 보완대체의학은 허용돼야 하는가 = 299
  두 의학의 소통을 늘리는 방법은 무엇인가 = 305
  서양의학도가 한의학을 공부해서 무엇을 얻을 수 있나 = 307
  서양의학 내부에서는 서양의학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 308
  한의학 관련 논문을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가 = 310
  보완대체의학 관련 학회나 교육은 어떤 것이 있나 = 311
  한의학 관련 참고 자료 소개 = 31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히든그레이스. 데이터분석팀 (2022)
이충열 (2023)
강연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