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의학 탐사여행 :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9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영주 , 편저
서명 / 저자사항
한의학 탐사여행 :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 윤영주 편저.
발행사항
서울 :   u-북 ,   2008.  
형태사항
319 p. ; 23 cm.
ISBN
978899173814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13]-319.
000 00635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75632
005 20100807053021
007 ta
008 080904s2008 ulk b 000c kor
020 ▼a 9788991738140 ▼g 93510
035 ▼a (KERIS)BIB000011403858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610/.95 ▼2 22
085 ▼a 610.99 ▼2 DDCK
090 ▼a 610.99 ▼b 2008z5
245 0 0 ▼a 한의학 탐사여행 : ▼b 서울대 의대생, 한의학을 만나다 / ▼d 윤영주 편저.
260 ▼a 서울 : ▼b u-북 , ▼c 2008.
300 ▼a 31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3]-319.
700 1 ▼a 윤영주 , ▼e 편저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1149850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114985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512662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1149850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114985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99 2008z5 등록번호 1512662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책소개 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저자소개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목차
추천사 = 3
서문 = 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의학과 보완대체의학' 강좌의 내용과 진행과정 = 10
총론 : 한의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
 Ⅰ.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차이점 = 23
 Ⅱ. 한의학의 역사와 제도:한ㆍ중ㆍ일 비교 = 27
 Ⅲ. 과학으로서의 한의학:그 기본체계와 핵심개념 = 32
  1. 철학적 토대 = 32
  2. 생리학 = 34
  3. 병리학 = 37
  4. 진단학 = 38
  5. 치료의 원칙 = 39
 Ⅳ. 한방 의료의 실제 = 42
  1. 진찰 = 42
  2. 침과 뜸 = 42
  3. 한약 = 45
  4. 양생법(건강생활법) = 47
1부 한의학의 과학화 논쟁
 한의학의 과학화 논쟁 = 57
  '현대화', '과학화'는 한의학의 정체성을 위태롭게 만들지 않을까 = 57
  한의학에서 서양의학적 검사와 진단기계 도입이 왜 필요한가 = 63
  음양오행이론은 과학인가 철학인가 = 66
  오행 개념이 의학의 근본 개념이 될 수 있는가 = 72
  임상적 효용이 있다면 한의학 개념체계가 의학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 74
  장상론의 근거는 무엇인가 = 81
  한의학은 RCT같은 의학방법론을 부정하는가 = 82
  경험의학이라는 사실이 과학성을 보증해주는가 = 87
  '체질' 개념은 한의학의 과학적 취약점의 해결사인가 = 93
  한의학의 현대화는 현대 의학의 성과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수용하는 것은 아닌가 = 94
  한의학과 근거중심의학, 필요성과 어려움은 무엇인가 = 97
  한의학에서는 임상연구 설계를 어떻게 하는가 = 107
  한의학만의 독자적인 연구방법론은 무엇인가 = 109
  한의사들은 왜 처방의 차이가 큰가 = 110
  한의학에서는 정형화된 프로토콜이 개발되는가 = 112
  한의사와 한의대생들은 서양의학에 배타적인가 = 113
  한의사의 서양 의학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115
  한의학은 한의대 교육과정에서 주입된 신념체계가 아닌가 = 116
  한의학 용어를 영어로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 = 118
2부 한방 의료의 실제
 Ⅰ. 한방 의료? 실제 - 치료 영역과 방법 = 123
  한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 개인별 처치가 달라지는가 = 123
  한의학 내에서 사상의학의 위치는 어디인가 = 124
  열이 많은 체질, 냉한 체질이 따로 있는가 = 127
  서양인에게 한의학 치료를 할 때 달라지는 점이 있는가 = 129
  한의학이 서양의학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 131
  한의학의 치료는 근골격계 질환 외에도 유용한 영역이 있는가 = 134
  한방치료는 세밀하기보다는 두루뭉술하지 않은가 = 135
  한의학에서 면역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이 무엇인가 = 136
  한의학에서는 감염병을 어떻게 치료하는가 = 139
  한의학에서는 응급환자를 어떻게 치료하는가 = 140
  한의사들은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는가 = 141
  한방 치료의 교과서적 지침서는 존재하는가 = 143
  도대체 『동의보감』이 치료에 얼마나 유용한가 = 144
  한의학은 새롭게 발생한 질병을 어떻게 대처하는가 = 146
  한의사도 의료 사고시 책임을 져야 하는가 = 148
  간질환을 한방으로 치료할 수 있나 = 150
  당뇨병도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한가 = 153
  한방 성장ㆍ비만 클리닉의 치료방법은 무엇인가 = 158
  추간판 탈출증의 완치는 가능할까 = 160
  한의학에서는 암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가 = 163
  새로운 한의학적 암 치료법이 인정받고 있는가 = 165
  한의학에도 정신과 영역이 있는가 = 166
 Ⅱ. 한방 의료의 실제 - 진단 = 168
  서양의학의 여러 영상장비를 이용하려는 것은 한의학의 한계를 자인하는 것 아닌가 = 168
  한방치료의 비용 대비 효과를 측정할 도구가 있나 = 169
  한의사는 영상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가 = 170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갈등, 합리적 해법은 무엇인가 = 171
  한의학의 진단법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은 제한되어 있지 않나 = 177
  한의학의 '전체적 관점'은 진단에 어떻게 반영되나 = 178
  주증과 차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180
  한의학 상의 고유의 진단명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81
  한의사들은 감별진단 없이 치료부터 하는가 = 183
  진맥의 원리는 무엇인가 = 184
  진맥으로 임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나 = 188
  진맥을 통해 장기의 이상을 진단할 수 있나 = 189
  한의학적 진단도구가 얼마나 개발되었나 = 191
 Ⅲ. 한방 의료의 실제 - 경락과 침구 = 193
  경혈을 이용한 치료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 193
  경락에서 무엇을 진단하는가 = 194
  경락 경혈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 = 195
  침에 관한 임상연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 200
  침구시술 수준을 어느 정도까지 높일 수 있는가 = 204
  IMS(근육내 자극술)와 침술은 다른 것인가 = 206
  침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 207
  침술치료에서 원격 취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8
  침으로 안면신경마비의 완치가 가능한가 = 210
  경혈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 211
  체했을 때 손을 따는 것은 어떤 원리인가 = 213
  수지침과 경락 마사지는 침과 어떻게 다른가 = 216
  뜸의 원리는 무엇인가 = 216
  사혈과 자석요법의 원리는 무엇인가 = 218
 Ⅳ. 한방 의료의 실제 - 한약 = 220
  한약의 효과는 스테로이드 효과에 불과한가 = 220
  한의사들은 감초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있는가 = 222
  보약의 성분과 효과는 무엇인가 = 224
  한약은 간을 손상시키지 않는가 = 224
  한약 안전성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 = 228
  한약재는 독성과 잔류 농약 등에 관한 품질검사를 제대로 받고 있나 = 229
  한약 처방전도 공개해야 하지 않는가 = 231
  한약에도 정량 개념이 있는가 = 232
  양약과 비교할 때 한약의 장점은 무엇인가 = 234
  한약과 양약의 상호작용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가 = 235
  한약과 양약을 함께 복용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가 = 237
  한약의 제형 중에서 탕약이 가장 효과가 좋은가 = 239
  한약재 성분연구는 어느 정도 되어있는가 = 240
  한약 처방 내에서 약물 상호작용은 어떻게 파악하는가 = 242
  국내에서 한약 성분을 기초로 개발된 약이 있는가 = 243
  한약에 대해 약리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 = 244
  찬 음식과 따뜻한 음식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 = 246
3부 한국 의료제도 속의 한의학
 한국 의료제도 속의 한의학 = 253
  한방의약분업에 대해 한의계는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 = 253
  한약사 제도에 대한 한의사들의 입장은 무엇인가 = 255
  한약은 값이 너무 비싼 것 아닌가 = 257
  한방치료의 보험수가는 어떻게 정해지나 = 258
  환자를 직접 보지 않고 약을 처방해도 되는가 = 259
  한의원의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 260
  한방 개원가의 실정은 어떤가 = 262
  한국에서의 한의학 연구는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나 = 263
  한국 한의학이 중의학이나 일본 전통의학보다 우월한가 = 264
  중의사 면허자가 한국에서 진료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 265
  한의학에도 기초 전공자가 존재하는가 = 267
  한의대의 교육과정과 전문의 과정은 어떠한가 = 268
  한의학 교육제도의 개편 방안이 있는가 = 270
  보완대체의학도 포함하는 바람직한 진료체계는 무엇인가 = 271
  한의학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사용되는가 = 272
  정통의학-보완대체의학-한의학의 관계는 향후 어떻게 될까 = 275
  한의사들은 이른바 '의료일원화'를 어떻게 받아들이나 = 278
  동서의학의 접목을 위한 노력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나 = 281
  양한방 협진의 현황은 어떠한가 = 282
  동서의학 협진의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 = 284
  의사, 한의사 면허를 모두 취득한 사람들의 현실은 어떠한가 = 288
4부 한의학을 이해할 때 의사들이 얻을 수 있는 것
 한의학을 이해할 때 의사들이 얻을 수 있는 것 = 295
  한의학을 선택한 개인적 이유는 무엇인가 = 295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 = 296
  환자에게 해가 없다면 보완대체의학은 허용돼야 하는가 = 299
  두 의학의 소통을 늘리는 방법은 무엇인가 = 305
  서양의학도가 한의학을 공부해서 무엇을 얻을 수 있나 = 307
  서양의학 내부에서는 서양의학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 308
  한의학 관련 논문을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가 = 310
  보완대체의학 관련 학회나 교육은 어떤 것이 있나 = 311
  한의학 관련 참고 자료 소개 = 315

관련분야 신착자료

히든그레이스. 데이터분석팀 (2022)
이충열 (2023)
강연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