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15c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45475627 | |
005 | 20100807053010 | |
007 | ta | |
008 | 080916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91798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1428440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28/7 ▼2 22 |
090 | ▼a 150.287 ▼b 2008 | |
245 | 0 0 | ▼a 긍정심리평가 : ▼b 모델과 측정 / ▼d Shane J. Lopez , ▼e C. R. Snyder 편저 ; ▼e 이희경 [외]공역. |
246 | 1 9 | ▼a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8. | |
300 | ▼a 620 p. : ▼b 삽도 ; ▼c 27 cm. | |
500 | ▼a 공역자: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p. 611-620)수록. | |
650 | 0 | ▼a Psychological tests. |
700 | 1 | ▼a Lopez, Shane J. ▼0 AUTH(211009)84220 |
700 | 1 | ▼a Snyder, C. R. ▼0 AUTH(211009)64845 |
700 | 1 | ▼a 이희경 , ▼e 공역. ▼0 AUTH(211009)123715 |
700 | 1 | ▼a 이영호 , ▼e 공역. ▼0 AUTH(211009)127303 |
700 | 1 | ▼a 조성호 , ▼e 공역. ▼0 AUTH(211009)39439 |
700 | 1 | ▼a 남종호 , ▼e 공역. ▼0 AUTH(211009)130916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287 2008 | Accession No. 1114984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287 2008 | Accession No. 1114984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그동안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대한 이해에는 노력을 많이 기울인 반면, 인간의 강점과 자원에 관한 이해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 책은 다양한 긍정심리특성과 긍정적 정서 및 과정에 대한 고전적 연구에서부터 가장 최근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델과 측정도구들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긍정적인 성격특성들이 부정적인 성격특성들과 마찬가지로 쉽게 측정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긍정적 심리특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측정도구들이 많이 연구되고 개발될수록 긍정적 심리특성이 인간의 내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이해도 더 깊어질 것이다.
이 책은 여러분의 생각을 자극하며 여러분의 연구에서 긍정적인 것에 대한 측정을 통합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간행동의 보완적 관점─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모두 가치 있게 여기는 관점─을 통해 충만한 삶을 추구하는 인간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1장과 2장에서는 인간 강점의 특징과 잠재력을 강조하고 전통적인 평가와 진단적 모델의 대안을 제안함으로써 심리학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도모하고 있다. 3장에서는 긍정심리학과 이에 대한 측정을 다문화적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4장에서 28장까지는 강점과 건강한 과정, 안녕감 측정 등 연구와 실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각 장의 저자들은 심리적 모델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 심리측정적으로 견실한 측정도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29장에서는 긍정심리평가의 미래를 다루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셰인 J. 로페즈(지은이)
희망 심리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서 현재 캔자스 대학교의 경영학 교수이며, 통계조사 분야의 대표적 기업 갤럽Gallup의 상임 연구위원, 클리프턴 강점 연구소의 소장, 미국 심리학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등 분야를 넘나들며 눈부신 학문적 성취를 이어가고 있는 그는 희망과 강점 개벌, 전반적인 웰빙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전 세계 학자들과 협업하고 있다. 그는 10년간 교육학 교수로 일했을 만큼 특히 교육 문제에 관심이 많다. 이에 따라 미국의 공립학교 학생들이 희망과 참여, 웰빙 등의 주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어떠한 상황에 동기 부여가 된다고 느끼는지 파악하는 갤럽의 ‘학생 여론조사Gallup Student Poll’를 설계하기도 했다. 이 조사에는 지금까지 백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원래 ‘지능’이 그의 주요 연구 주제였으나, 권총자살을 앞둔 한 남성 환자를 만난 이후 자신의 연구 인생을 완전히 뒤바꾸게 된다. 지능지수가 얼마인지에 상관없이 희망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사람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음을 깨닫게 된 까닭에서였다. 이후 10여 년에 걸쳐 희망을 주제로 다양한 연구조사를 실시했으며, 《희망과 함께 가라》에 그 놀라운 결과를 담았다.
찰스 릭. 스나이더(지은이)
저자는 긍정심리학의 전문가로서 캔자스 대학의 임상심리 분야에서 저명한 교수였으며 사회·임상심리학 학회지의 편집 책임자였다. 미국 텍사스 주 댈러스에 위치한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Southern Methodist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밴더빌트 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에서 임상심리 박사학위 과정을 거쳤으며 랭글리 포터 연구소(Langley Porter Institute)에서 연구자로서 훈련(postdoctoral training)을 받았다. 긍정심리학 분야를 발전시킨 한 사람으로서 첫 번째로 긍정심리학 분야의 교재를 저술했다. 희망과 용서에 대한 연구로 유명했으며 사람들이 개인적인 피드백, 독특성에 대한 인간의 욕구 그리고 변명과 죄를 용서하려는 동인에 어떻게 반응하지를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하였다. 희망에 대한 그의 이론은 어떤 개인이 경로의 힘 사고(바라는 목표로 향하는 길을 찾기 위한 인지적 능력)와 주도적 사고(바라는 목표를 향하기 위해 방법을 사용하려는 동기)를 사용하는 목표 지향적 사고를 강조하였다. 그는 동기를 부여하는 힘에 대한 분석 - 변명하기 그리고 용서 - 에서 개인들에게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을 단절하게 하고 그들 자신을 미래의 가능성 즉, 희망과 연결시켰다. 2000년에 그는 Good Morning America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자신의 이론을 증명해 보였다. 저서로 긍정심리학 핸드북(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학 측정과 평가(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독특성: 인간의 차별성 추구(Uniqueness: The Human Pursuit of Difference) 등이 있다. ‘희망의 상’이라고 알려진 KU의 탁월한 진취적 교육자상과 APA에서 수여하는 ‘Raymond Fowler 대학원 지도상’을 받았다.
남종호(옮긴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실험심리학 전공) 미국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MS, Ph.D., 인지심리학 전공)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박사후 연구원(PostDoc) 현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이희경(옮긴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을 전공하였으며, 상담심리 전문가로 한국상담심리학회 자격관리 부위원장과 발전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까지 희망, 낙관성, 공감 등 긍정심리학 분야에 대한 다수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긍정심리학적 상담모형 개발 및 개입 프로그램, 한국적 긍정심리 평가도구 개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카렌호나이의 정신분석> 가 있다.
조성호(옮긴이)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와 석사 학위를 마치고 미국 브라운(Brown) 대학교 대학원에서 실험 고체물리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물리학과 부교수,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물리학회 부회장,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학장, 한국자기공명학회 회장 등을 지냈고, 현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명예연구원 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로회원이다. 《고체자기공명》(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조성호 교수의 재미있는 물리돋보기》(2006) 등의 연구서와 교양서를 펴냈다.
이영호(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3년 수련.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역임. 현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Table of Contents
목차 01 긍정의 추구 제1장 필수적 균형 이루기: 긍정심리평가를 통한 인간의 약점과 강점에 대한 보완적 초점의 발달 = 23 인간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보완적인 초점을 향하여 = 24 개념적 및 실제적 논제 = 24 긍정심리평가: 연구의 보완적인 초점을 향하여 = 28 긍정심리평가: 실무에서의 보완적인 초점을 향하여 = 31 필수적 균형 추구 = 41 제2장 긍정과 부정의 측정과 명명 = 45 이름의 힘 = 46 측정의 영향력 = 48 인간에 대한 오측정 = 49 명명되는 것과 측정되는 것의 잠재적인 효과 = 51 명명과 측정 영향력의 교정 = 53 인간의 균형 잡힌 차원화 = 54 개념화와 개입의 연결 = 58 작은 변화를 만드는 일: DSM-IV 대안 = 59 일상적인 실무에서의 변화 = 61 강점 분류체계 = 62 긍정심리 측정의 효과 = 62 제3장 다양한 세계에서의 긍정심리평가 = 67 다양한 세계에서의 평가 = 68 문화적으로 다양한 집단에 대한 심리평가의 역사 = 68 긍정심리평가에서의 비교문화적 평가문제 = 70 비교문화적 긍정심리평가의 모델 = 75 다문화적 긍정심리평가의 적용 = 77 긍정심리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의 미래 = 80 02 인지적 모델과 측정도구 제4장 학습된 낙관주의: 설명양식의 측정 = 87 설명양식 이론들 = 88 설명양적의 측정 = 90 귀인양식척도 = 91 설명양식 측정에서 미래의 발전 = 103 결론 = 106 제5장 낙관주의 = 111 동기의 기대-가치 모델 = 112 개인차의 측정 = 114 대안적 개념화 = 118 구성개념 측정문제 = 119 측정에서 미래의 발전 = 124 미래의 적용 = 125 제6장 희망: 다양한 정의와 다양한 측정 = 131 희망의 개념화 = 132 희망, 인지 및 정서 = 134 희망의 자기보고 측정 = 137 희망 측정도구의 선택 = 142 다문화적 희망측정 = 144 희망의 측정과 평가의 문제 = 144 제7장 직업적 자기효능감 측정: 일에서 자신감과 행복의 증진 = 151 자기효능감: 이론의 전개 = 152 직업적 자기효능감: 다요인 구성개념과 다양한 측정 = 152 구성개념 측정의 문제 = 158 직업 관련 자기효능감의 측정을 위한 미래 방향 = 160 결론 = 161 제8장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 = 171 응용 문제해결의 역사 = 173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 = 174 문제해결의 대안적인 개념화 = 178 응용 문제해결 측정의 복잡성 = 181 구성개념 측정에서 미래의 발전 = 182 제9장 통제 소재: 기초로의 회귀 = 187 통제 소재의 개념: 정의와 해석의 곤란 = 188 통제 소재 구성개념의 차원 = 190 통제 소재 구성개념: 일반적 또는 특정적 = 191 통제 소재 척도: 다른 정의, 다른 체제 = 193 구성개념 측정에 대한 논제와 미래의 발전 = 197 마지막 생각들 = 199 제10장 연구와 실제에서의 창의성 측정 = 207 고려해야 할 측정에 관한 논제들 = 208 창의성의 측정도구 = 212 상담에서 창의성 검사의 활용 = 220 창의성 측정의 미래 방향 = 222 제11장 지혜로운 수행에 대한 평가 = 227 지혜에 대한 심리학적인 정의 = 228 지혜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의 두 가지 주된 접근법 = 230 지혜에 대한 개인차 측정도구 = 233 지혜에 대한 측정에서 미래의 발전 = 238 제12장 용기 = 245 용기의 여러 유형 = 246 용기란 무엇인가 조작적 정의를 향한 움직임 = 252 용기를 측정하기 위한 시도 = 255 개념적이고 측정적인 논제들 = 259 결 론 = 260 03 정서적 모델과 측정도구 제13장 긍정적 정서의 측정 = 265 긍정적 정서의 정의와 모델 = 266 평가의 방법 = 271 긍정적 정서 측정에서 미래의 발전 = 280 결론 = 281 제14장 자존감의 측정 = 289 자존감 구성개념의 이해 = 290 자존감의 개인차 측정 = 297 대안적인 개념화: 내재적 자존감 = 299 미래의 발전 = 300 제15장 낭만적 사랑: 큐피트의 화살에 대한 측정 = 309 역사적 배경 = 310 사랑의 모습들 = 311 사랑에 대한 측정 = 314 측정에 대한 논제들 = 320 미래의 방향 = 321 제16장 정서 지능의 측정 = 329 정서 지능 모형 = 330 개인차로서의 정서 지능의 측정: Mayer-Salovey-Caruso 정서지능검사 = 332 정서 지능 측정의 다른 접근들 = 339 미래의 방향 = 341 결론 = 343 04 인간관계 모델과 측정도구 제17장 공감과 그 측정 = 351 공감 관련 반응의 자기보고 = 353 공감 관련 반응의 제3자 측정 = 358 공감 관련 반응의 안면, 자세 및 음성 지표 = 359 공감 관련 반응의 생리적 측정 = 361 결론 = 364 제18장 성인 애착 안전성의 평가 = 373 성인 애착 안전성 개념의 기원과 발전 = 374 성인 애착 안정성: 두 가지 평가 전통의 등장 = 376 성인 애착 안전성 평가의 이슈들 = 378 성인 애착 안전성 평가의 새로운 지향과 발달 = 386 결론 = 387 제19장 용서의 측정 = 393 용서측정의 주요 이슈들 = 394 주요 연구자들의 용서의 정의 및 척도 = 394 Heartland 용서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402 연애관계에서의 HFS의 예언타당도 = 404 결론 = 404 제20장 유머 감각 = 409 유머 개념의 발달 = 410 유머의 현대적 의미 = 411 대처 및 관계 향상 방식으로서의 유머 = 413 유머 감각의 측정 = 414 유머측정의 이슈들 = 420 유머 감각 측정의 최근 발달 = 422 결론 = 425 제21장 감사의 평가 = 429 이론적 배경 = 430 현대적 접근 = 432 감사를 바라보는 네 가지 시각 = 433 감사 성향의 몇 가지 국면들 = 434 감사의 차원과 국면의 연결 = 435 감사 및 그 평가에 관한 연구의 개관 = 436 미래의 방향 = 444 결론 = 446 05 종교 및 철학적 모델과 측정도구 제22장 종교적 개념의 측정: 개념 조직화 및 척도 선택에 대한 위계적 접근 = 453 종교와 영성: 정의 = 455 일반적인 측정상의 이슈들 = 457 측정도구 선택 전략 = 458 성향적 수준에서의 종교성 측정 = 460 조작적 수준에서의 종교성 측정 = 462 결론 = 469 제23장 도덕 판단 성숙성: 임상적 및 표준적 측정도구들 = 477 역사: 임상적 및 표준적 측정도구들 = 478 구성타당도 이슈들 = 485 결론 = 488 06 긍정적 과정, 결과 및 환경의 모델과 측정도구 제24장 직업심리학 평가: 긍정적 근로 성과로 이끄는 긍정적 인간 특성 = 497 이론적 배경 = 499 구성개념 측정 = 503 측정의 문제 및 미래의 발달 = 512 제25장 긍정적 대처: 요구 숙달과 의미 탐색 = 517 도전적인 요구의 숙달: 순행적 대처이론 = 518 의미의 탐색 = 522 긍정적 대처의 평가 = 528 측정 논제 = 530 미래의 방향 = 532 제26장 성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측정과 유용성 = 539 정서적 안녕감 = 540 측정 = 541 긍정적 기능 = 542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와 측정 = 545 주관적 안녕감의 유용성 = 548 결론 = 551 제27장 삶의 질 = 559 삶의 질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 560 삶의 질 측정 = 562 WHOQOL = 564 WHOQOL 측면들 = 564 WHOQOL-BREF = 569 논의 = 571 미래의 방향 = 572 결론 = 573 제28장 환경평가: 최적의 인간 기능에 주는 영향에 대한 조사 = 579 환경평가의 변하는 초점 = 580 분석의 수준 = 581 환경평가에 대한 모형과 접근 = 581 가정환경의 평가 = 584 작업장 환경의 평가 = 588 학교환경의 평가 = 590 환경의 역학에 대한 조사 = 593 결론 = 595 07 전망 제29장 긍정심리평가의 미래: 변화를 가져오기 = 601 우리 안의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 602 긍정적인 특성, 긍정적인 삶: 건강한 심리적 성장모형을 향하여 = 603 다목적 가설: 긍정심리학적 평가는 변화를 가져온다 = 606 결론 = 609 찾아보기 = 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