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67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45475568 | |
005 | 20100807052842 | |
007 | ta | |
008 | 081002s2008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84774056 ▼g 94710 (v.1) | |
020 | ▼a 9788984774063 ▼g 94710 (v.2) | |
020 | ▼a 9788984774070 ▼g 94710 (v.3) | |
020 | 1 | ▼a 978898477404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10 ▼2 22 |
090 | ▼a 410 ▼b 2008z1 | |
245 | 0 0 | ▼a 언어유형론 / ▼d [송경안], ▼e [이기갑 외]. |
260 | ▼a 서울 : ▼b 월인 , ▼c 2008. | |
300 | ▼a 3 책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원필, 사희만, 신경구, 심을식, 안기섭, 양경모, 오윤자, 임흥수, 정규영, 조경숙, 조희무, 김선, 박선옥, 송진희, 이건환, 이숙현, 이충회, 조경화, 허성태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505 | 0 | ▼a 1 , 품사/문장유형/어순/기본문형. - 2, 격/부치사/재귀구문/접속표현. - 3, 시제와 상/ 양상/조동사/수동태 |
700 | 1 | ▼a 송경안 ▼0 AUTH(211009)78056 |
700 | 1 | ▼a 이기갑 ▼0 AUTH(211009)8494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08z1 1 | Accession No. 1114951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08z1 2 | Accession No. 1114951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 2008z1 3 | Accession No. 11149510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0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송경안(지은이)
<독일어의 새로운 이해>
이기갑(지은이)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1977)하고, 동 대학에서 문학 석사학위(1979) 및 박사학위(1986)를 받았다. 목포대학교 국문과 교수(1981~2020), UC Santa Barbara 방문교수(1991~1993), Indiana University 방문교수(2001~2003)를 역임하고, 현재 목포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전라남도의 언어지리(1986), 『방언학의 자료와 이론』(공저, 1990), 『호남의 언어와 문화』(공저, 1998), 『전남방언사전』(공편, 1998), 『국어방언문법』(2003), 『언어유형론』 1~3(공저, 2008), 『전라도의 말과 문화』(2013), 『전라도말 산책』(2015), 『국어담화문법』(2015), 『국어방언의 담화표지』(2018), 『서남방언의 문법』(2022) 등이 있고, 구술발화 자료집(표준어 대역과 주석 포함)으로 『전남 곡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2007), 『전남 진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2009), 『전남 영광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1), 『전남 영암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6), 『전남 보성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6), 『전남 광양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7), 『전남 신안(압해도) 지역의 언어와 생활』(2019)이 있다.

Table of Contents
[volume. vol.1]---------- 목차 품사의 유형론 / 송경안 = 9 한국어의 품사 / 이건환 ; 송경안 = 53 일본어의 품사 / 박선옥 ; 양경모 = 66 중국어의 품사 / 조희무 ; 안기섭 = 79 영어의 품사 / 김선 ; 신경구 = 91 독일어의 품사 / 조경화 ; 송경안 = 102 프랑스어의 품사 / 이숙현 ; 심을식 = 112 스페인어의 품사 / 이충회 ; 김원필 = 123 러시아어의 품사 / 허성태 ; 임흥수 = 134 아랍어의 품사 / 정규영 = 146 문장의 유형론 / 이기갑 = 159 한국어의 문장유형 / 이건환 = 191 일본어의 문장유형 / 박선옥 ; 양경모 = 203 중국어의 문장유형 / 송진희 ; 안기섭 = 214 영어의 문장유형 / 김선 ; 조경숙 = 226 독일어의 문장유형 / 조경화 ; 송경안 = 237 프랑스어의 문장유형 / 이숙현 ; 심을식 = 249 스페인어의 문장유형 / 이충희 ; 김원필 = 262 러시아어의 문장유형 / 허성태 ; 임흥수 = 273 아랍어의 문장유형 / 사희만 = 285 어순의 유형론 / 이기갑 = 299 한국어의 어순 / 이건환 = 336 일본어의 어순 / 박선옥 ; 양경모 = 347 중국어의 어순 / 조희무 ; 안기섭 = 358 영어의 어순 / 김선 ; 오윤자 = 370 독일어의 어순 / 조경화 ; 송경안 = 379 프랑스어의 어순 / 이숙현 ; 심을식 = 389 스페인어의 어순 / 이충회 ; 김원필 = 399 러시아어의 어순 / 허성태 ; 임흥수 = 411 아랍어의 어순 / 사희만 = 422 기본문형 / 송경안 = 435 한국어의 기본문형 / 이건환 = 472 일본어의 기본문형 / 박선옥 ; 양경모 = 485 중국어의 기본문형 / 송진희 ; 안기섭 = 498 영어의 기본문형 / 김선 ; 오윤자 = 510 독일어의 기본문형 / 조경화 ; 송경안 = 523 프랑스어의 기본문형 / 이숙현 ; 심을식 = 535 스페인어의 기본문형 / 이충회 ; 김원필 = 546 러시아어의 기본문형 / 허성태 ; 임흥수 = 558 아랍어의 기본문형 / 정규영 = 573 찾아보기 = 585 [volume. vol.2]---------- 목차 격의 유형론 / 송경안 = 9 한국어의 격 / 이건환 = 54 일본어의 격 / 박선옥 ; 양경모 = 65 중국어의 격 / 안기섭 ; 송진희 = 77 영어의 격 / 김선 ; 조경숙 = 90 독일어의 격 / 조경화 ; 송경안 = 102 프랑스어의 격 / 이숙현 ; 심을식 = 114 스페인어의 격 / 이충회 ; 김원필 = 127 러시아어의 격 / 허성태 ; 임흥수 = 139 아랍어의 격 / 사희만 = 152 부치사의 유형론 / 이기갑 = 165 한국어의 부치사 / 이건환 = 223 일본어의 부치사 / 박선옥 ; 양경모 = 234 중국어의 부치사 / 안기섭 ; 송진희 = 246 영어의 부치사 / 김선 ; 오윤자 = 258 독일어의 부치사 / 조경화 ; 송경안 = 269 프랑스어의 부치사 / 이숙현 ; 심을식 = 281 스페인어의 부치사 / 이충회 ; 김원필 = 293 러시아어의 부치사 / 허성태 ; 임흥수 = 306 아랍어의 부치사 / 사희만 = 317 재귀구문의 유형론 / 송경안 = 329 한국어의 재귀구문 / 이건환 = 373 일본어의 재귀구문 / 박선옥 ; 양경모 = 385 중국어의 재귀구문 / 안기섭 ; 송진희 = 396 영어의 재귀구문 / 김선 ; 조경숙 = 409 독일어의 재귀구문 / 조경화 ; 송경안 = 420 프랑스어의 재귀구문 / 이숙현 ; 심을식 = 432 스페인어의 재귀구문 / 이충회 ; 김원필 = 445 러시아어의 재귀구문 / 허성태 ; 임흥수 = 456 아랍어의 재귀구문 / 정규영 = 470 접속표현 / 송경안 = 483 한국어의 접속표현 / 이건환 = 571 일본어의 접속표현 / 박선옥 ; 양경모 = 582 중국어의 접속표현 / 안기섭 ; 송진희 = 594 영어의 접속표현 / 김선 ; 오윤자 = 606 독일어의 접속표현 / 조경화 ; 송경안 = 617 프랑스어의 접속표현 / 이숙현 ; 심을식 = 629 스페인어의 접속표현 / 이충회 ; 김원필 = 642 러시아어의 접속표현 / 허성태 ; 임흥수 = 653 아랍어의 접속표현 / 정규영 = 665 찾아보기 = 677 [volume. vol.3]---------- 목차 시제와 상의 유형론 / 송경안 = 9 한국어의 시제와 상 / 이건환 = 55 일본어의 시제와 상 / 박선옥 ; 양경모 = 66 중국어의 시제와 상 / 안기섭 ; 송진희 = 79 영어의 시제와 상 / 김선 ; 오윤자 = 91 독일어의 시제와 상 / 조경화 ; 송경안 = 103 프랑스어의 시제와 상 / 이숙현 ; 심을식 = 115 스페인어의 시제와 상 / 이충회 ; 김원필 = 128 러시아어의 시제와 상 / 허성태 ; 임흥수 = 140 아랍어의 시제와 상 / 정규영 = 152 양상의 유형론 / 이기갑 = 165 한국어의 양상 표현 / 이건환 = 201 일본어의 양상 표현 / 박선옥 ; 양경모 = 212 중국어의 양상 표현 / 안기섭 ; 송진희 = 225 영어의 양상 표현 / 김선 ; 조경숙 = 236 독일어의 양상 표현 / 조경화 ; 송경안 = 248 프랑스어의 양상 표현 / 이숙현 ; 심을식 = 260 스페인어의 양상 표현 / 이충회 ; 김원필 = 271 러시아어의 양상 표현 / 허성태 ; 임흥수 = 283 아랍어의 양상 표현 / 사희만 = 295 조동사의 유형론 / 이기갑 = 309 한국어의 보조동사 / 이건환 = 338 일본어의 보조동사 / 박선옥 ; 양경모 = 350 중국어의 보조동사 / 안기섭 ; 송진희 = 362 영어의 보조동사 / 김선 ; 조경숙 = 374 독일어의 보조동사 / 조경화 ; 송경안 = 387 프랑스어의 보조동사 / 이숙현 ; 심을식 = 398 스페인어의 보조동사 / 이충회 ; 김원필 = 410 러시아어의 보조동사 / 허성태 ; 임흥수 = 421 아랍어의 보조동사 / 사희만 = 432 태(voice) / 송경안 = 447 한국어의 수동태 / 이건환 = 498 일본어의 수동태 / 박선옥 ; 양경모 = 510 중국어의 수동태 / 안기섭 ; 송진희 = 522 영어의 수동태 / 김선 ; 오윤자 = 534 독일어의 수동태 / 조경화 ; 송경안 = 545 프랑스어의 수동태 / 이숙현 ; 심을식 = 557 스페인어 수동태 / 이충회 ; 김원필 = 568 러시아어의 수동태 / 허성태 ; 임흥수 = 579 아랍어의 수동태 / 정규영 = 590 찾아보기 =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