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750camcc2200565 c 4500 | |
001 | 000045475312 | |
005 | 20121213174004 | |
007 | ta | |
008 | 080929s2008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241495 ▼g 93510 | |
020 | ▼a 8962241498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1429885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64 ▼2 22 |
085 | ▼a 612.64 ▼2 DDCK | |
090 | ▼a 612.64 ▼b 2008 | |
100 | 1 | ▼a Moore, Keith L. |
245 | 1 0 | ▼a 인체발생학 / ▼d Keith L. Moore, ▼e T.V.N. Persaud 지음 ; ▼e 대한체질인류학회 옮김 |
246 | 1 9 | ▼a (The) developing human clinically oriented embryology ▼g (8th ed.) |
260 | ▼a 서울 : ▼b E*public, ▼c 2008 | |
300 | ▼a xiii, 528 p. : ▼b 삽화 ; ▼c 28 cm | |
500 | ▼a 편집위원: 길영기, 김대중, 김원식, 김재영, 김종중, 김홍태, 박경호, 박병건, 박선화, 배기원, 서제훈, 안희경, 오수자, 이무삼, 이원복, 정윤영, 정한성, 주성숙, 채옥희, 최인장, 허대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 |
650 | 0 | ▼a Embryology, Human |
650 | 0 | ▼a Abnormalities, Human |
700 | 1 | ▼a Persaud, T. V. N., ▼e 저 |
700 | 1 | ▼a 길영기, ▼e 역 |
700 | 1 | ▼a 길영기, ▼e 역 |
700 | 1 | ▼a 김대중, ▼e 역 |
700 | 1 | ▼a 김원식, ▼e 역 |
700 | 1 | ▼a 김재영, ▼e 역 |
700 | 1 | ▼a 김종중, ▼e 역 |
700 | 1 | ▼a 김홍태, ▼e 역 |
700 | 1 | ▼a 박경호, ▼e 역 |
700 | 1 | ▼a 박병건, ▼e 역 |
700 | 1 | ▼a 박선화, ▼e 역 |
700 | 1 | ▼a 배기원, ▼e 역 |
700 | 1 | ▼a 서제훈, ▼e 역 |
700 | 1 | ▼a 오수자, ▼e 역 |
700 | 1 | ▼a 이무삼, ▼e 역 |
700 | 1 | ▼a 이원복, ▼e 역 |
700 | 1 | ▼a 정윤영, ▼e 역 |
700 | 1 | ▼a 정한성, ▼e 역 |
700 | 1 | ▼a 주성숙, ▼e 역 |
700 | 1 | ▼a 채옥희, ▼e 역 |
700 | 1 | ▼a 최인장, ▼e 역 |
700 | 1 | ▼a 허대영, ▼e 역 |
710 | ▼a 대한체질인류학회,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2.64 2008 | 등록번호 1310350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64 2008 | 등록번호 1512661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2.64 2008 | 등록번호 1310350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64 2008 | 등록번호 1512661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체발생학은 사람의 생식자형성부터 출산에 이르는 발생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의학에서는 정상 배아형성 과정의 이해와 해부학의 변이, 기형학의 이해와 대책, 난치병의 치료 등에 관련되어 최근에 크나큰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인체발생학이 의학에서 기본이 되는 기초분야를 뛰어넘어 앞으로는 의학분야에서의 교육, 연구 및 의학치료 등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폭 넓은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의학도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새로운 교과목 중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현재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기초의학 교육시간이 점차 줄어들거나 통합교육의 일부분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어, 기초의학 교육시간은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양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용이 충분하면서도 간단명료하며 많은 사진과 그림, 이에 관련된 설명 등으로 구성하여 빠르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재가 있어야 한다.
“The Developing Human”은 1973년 초판 발행 이후 현재까지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인체발생학 교재이다. 제8판(2008년)의 책에는 세포의 신호전달체계와 사람유전체 분석, 각종 최신 영상의학사진이나 애니메이션 세트 등이 추가되어 내용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요약 및 문제중심 학습으로 자가 점검이나 부족한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짜여져 있어 원저자의 많은 의도와 배려가 더욱 돋보이고 있다.대한해부학회의 <해부학용어>(다섯째판, 2005)와 대한의사협회의 <의학용어집>(다섯째판, 2008)을 새롭게 펴낸 것을 계기로 대한체질인류학회 평의원회에서 이 책을 우리말로 옮겨 펴내는 데 의견을 모을 수 있었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옳긴이 머리말 = ⅵ 지은이 머리말 = ⅶ 1 서론 발생시기 = 2 발생학 용어 = 2 발생학의 중요성 = 7 역사적 업적 = 8 발생학의 고대인 견해 = 8 중세기 발생학 = 8 문예부흥기 = 9 유전학과 사람발생 = 11 사람발생의 분자생물학 = 11 발생학에서 사용되는 용어 = 11 임상적응문제 = 13 2 인체발생의 시작: 제1주 생식자발생 = 15 감수분열 = 15 정자발생 = 15 난자발생 = 20 난모세포의 출생전 성숙 = 20 난모세포의 출생후 성숙 = 20 남성과 여성생식자의 비교 = 20 자궁과 자궁관, 난소 = 21 자궁 = 21 자궁관 = 21 난소 = 23 여성생식주기 = 23 난소주기 = 23 난포발생 = 23 배란 = 23 황색체 = 25 월경주기 = 27 월경주기의 구분 = 27 생식자의 수송 = 28 난모세포의 수송 = 28 정자수송 = 28 정자의 성숙 = 29 생식자의 생존력 = 31 수정 = 31 수정의 단계 = 31 수정의 결과 = 33 접합자의 분할 = 35 주머니배의 형성 = 36 요약: 배아나이 1주의 과정 = 39 임상적응문제 = 39 3 두겹배아원반의 형성: 배아나이 2주 착상의 완성과 연속된 배아발생 = 43 양막공간과 배아원반, 배꼽소포의 형성 = 44 융모막주머니의 발생 = 45 주머니배의 착상장소 = 45 요약: 주머니배의 착상과정 = 48 요약: 배아나이 2주의 과정 = 51 임상적응문제 = 53 4 종자층의 형성과 초기조직 및 장기의 분화: 배아나이 3주 창자배형성: 종자층의 형성 = 55 원시선 = 57 원시선의 운명 = 57 척삭돌기와 척삭 = 59 요막 = 62 신경배형성: 신경관의 형성 = 62 신경판과 신경관 = 62 신경능선의 형성 = 62 몸분절의 발생 = 65 배아속체강의 발생 = 65 심장혈관계통의 초기발생 = 65 맥관형성과 혈관발생 = 66 원시심장혈관계통 = 67 융모막융모의 후기발생 = 68 요약: 배아나이 3주의 과정 = 68 임상적응문제 = 70 5 기관발생기: 배아나이 4주~8주 발생의 단계 = 73 배아의 주름형성 = 73 정중면에서의 배아의 주름형성 = 73 수평면에서의 배아의 주름형성 = 73 배엽층 파생물 = 75 배아발생의 조절 = 75 배아나이 4~8주의 특이할 만한 발달과정 = 79 배아나이 4주 = 79 배아나이 5주 = 79 배아나이 6주 = 80 배아나이 7주 = 80 배아나이 8주 = 81 배아나이의 추정 = 86 요약: 배아나이 4주~8주의 과정 = 90 임상적응문제 = 91 6 태아기: 태아나이 9주에서 출생까지 태아나이의 산정 = 96 임신기의 구분 = 97 측정과 외형상의 특징 = 98 태아 발생의 주요 시기들 = 98 태아나이 9~12주 = 98 태아나이 13~16주 = 100 태아나이 17~20주 = 100 태아나이 21~25주 = 101 태아나이 20~29주 = 102 태아나이 30~34주 = 102 태아나이 35~38주 = 102 분만예정일 = 103 태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4 흡연 = 104 뭇임신 = 104 술과 불법약물 = 104 자궁태반 및 태아태반의 혈액순환부전 = 104 유전요인과 성장지체 = 104 태아의 상태를 진단하는 여러 가지 방법 = 104 초음파촬영술 = 105 진단적 양수천자법 = 105 알파태아단백질분석 = 105 분광계검사 = 105 융모막융모시료채취 = 106 성염색질 패턴 = 106 세포배양과 염색체분석 = 106 태아수혈 = 107 태아관찰경검사 = 107 피부경유탯줄혈액채취법 = 107 전산화단층촬영술 및 자기공명영상 = 107 태아감시 = 107 요약: 태아기의 과정 = 107 임상적응문제 = 108 7 태반과 태아막 태반 = 111 탈락막 = 111 태반의 발생 = 111 태반순환 = 117 태반막 = 118 태반의 기능 = 118 태반의 대사 = 118 침습적인 종양과 같은 구조로서의 태반 = 122 임신중 자궁의 성장 = 122 분만(출산) = 123 출생 후의 태반, 탯줄 및 태아막 = 123 탯줄 = 125 배꼽소포(난황주머니) = 133 배꼽소포의 의의 = 134 배꼽소포의 운명 = 134 요막 = 134 뭇임신 = 134 쌍둥이와 태아막 = 134 이란성쌍둥이 = 137 일란성쌍둥이 = 137 다태아 출생의 다른 유형 = 140 요약: 태반과 태아막 = 140 임상적응문제 = 143 8 체강, 원시창자간막 및 가로막 배아체강 = 146 창자간막 = 146 배아체강의 분할 = 146 가로막의 발생 = 150 가로중격 = 150 가슴막복막막 = 151 식도의 등쪽창자간막 = 151 가쪽몸통벽으로부터 자라나온 근육 = 152 가로막의 위치 변화와 신경지배 = 153 요약: 체강의 발달 = 157 임상적응문제 = 157 9 인두기관 인두굽이 = 160 인두굽이의 구성요소 = 160 인두주머니 = 166 인두주머니의 파생물 = 166 인두고랑 = 169 인두막 = 169 갑상샘의 발생 = 173 갑상샘의 조직발생 = 173 혀의 발생 = 176 혀유두와 맛봉오리 = 176 혀의 신경분포 = 177 침샘의 발생 = 179 얼굴의 발생 = 179 얼굴발생의 요약 = 182 코안의 발생 = 182 코곁굴 = 184 입천장의 발생 = 185 일차입천장 = 185 이차입천장 = 186 요약: 인두기관 = 195 임상적응문제 = 195 10 호흡계통 호흡원기 = 198 후두의 발생 = 198 기관의 발생 = 198 기관지 및 허파의 발생 = 202 허파의 성숙 = 203 요약: 호흡계통 = 208 임상적응문제 = 209 11 소화계통 앞창자 = 212 식도의 발생 = 212 위의 발생 = 213 그물막주머니 = 216 샘창자의 발생 = 216 간과 쓸개관계통의 발생 = 218 이자의 발생 = 221 지라의 발생 = 223 중간창자 = 224 중간창자고리회전 = 224 막창자와 막창자꼬리 = 227 뒤창자 = 235 배설강 = 235 항문관 = 236 요약: 소화계통 = 241 임상적응문제 = 241 12 비뇨생식계통 비뇨계통의 발생 = 244 콩팥과 요관의 발생 = 244 방광의 발생 = 256 요도의 발생 = 260 부신의 발생 = 260 생식계통의 발생 = 262 생식샘의 발달 = 263 생식관의 발생 = 265 남성 생식관 및 생식샘의 발생 = 265 여성 생식관 및 생식샘의 발생 = 269 자궁과 질의 발생 = 269 바깥생식기관의 발생 = 271 남성 바깥생식기관의 발생 = 271 여성 바깥생식기관의 발생 = 273 샅굴의 발생 = 277 고환 및 난소의 재위치 = 279 고환의 내림 = 279 난소의 내림 = 281 요약: 비뇨생식계통 = 282 임상적응문제 = 283 13 심장혈관계통 심장과 혈관의 초기발생 = 286 심장에 연결되는 정맥들의 발생 = 286 난황동맥과 배꼽동맥의 운명 = 292 심장의 출생전 발달 = 292 원시심장을 통한 순환 = 292 원시심장의 분할 = 293 정맥굴에서 일어나는 변화들 = 297 심장전도계통의 발생 = 308 심장과 큰혈관들의 기형 = 309 인두굽이동맥들의 파생물 = 317 첫째인두굽이동맥 쌍의 파생물 = 318 둘째인두굽이동맥 쌍의 파생물 = 318 셋째인두굽이동맥 쌍의 파생물 = 318 넷째인두굽이동맥 쌍의 파생물 = 319 다섯째인두굽이동맥 쌍의 운명 = 319 여섯째인두굽이동맥 쌍의 파생물 = 319 인두굽이동맥들의 기형 = 319 태아와 신생아의 혈액순환 = 325 태아의 혈액순환 = 325 신생아 혈액순환의 변화 = 327 태아혈관구조물들의 파생물 = 330 림프계통의 발생 = 333 림프주머니와 림프관의 발생 = 333 가슴림프관 = 333 림프절의 발생 = 333 림프구의 발생 = 333 지라와 편도의 발생 = 334 요약: 심장혈관계통 = 335 임상적응문제 = 336 14 뼈대계통 뼈와 연골의 발생 = 339 연골의 조직발생 = 339 뼈의 조직발생 = 339 막속뼈되기 = 339 연골속뼈되기 = 339 관절의 발생 = 342 섬유관절 = 344 연골관절 = 344 윤활관절 = 344 몸통뼈대의 발생 = 344 척주의 발생 = 344 갈비뼈의 발생 = 346 복장뼈의 발생 = 347 머리뼈의 발생 = 347 신생아 머리뼈 = 347 머리뼈의 출생 이후 성장 = 348 팔다리뼈대 = 353 요약: 뼈대계통 = 355 임상적응문제 = 356 15 근육계통 뼈대근육의 발생 = 358 근육분절 = 358 인두굽이의 근육 = 358 눈의 근육 = 358 혀의 근육 = 359 팔다리근육 = 359 민무늬근육의 발생 = 360 심장근육의 발생 = 360 요약: 근육계통 = 362 임상적응문제 = 363 16 팔다리 팔다리발생의 초기단계 = 365 팔다리발생의 최종단계 = 366 팔다리의 피부신경분포 = 368 팔다리의 혈관분포 = 371 팔다리의 기형 = 372 요약: 팔다리발생 = 377 임상적응문제 = 379 17 신경계통 신경계통의 기원 = 381 척수의 발생 = 381 척수신경절의 발생 = 383 척수막의 발생 = 384 척수의 위치 변화 = 384 신경섬유의 말이집형성 = 386 척수의 선천기형 = 386 뇌의 발생 = 392 뇌굽이 = 392 마름뇌 = 393 맥락얼기와 뇌척수액 = 398 중간뇌 = 398 앞뇌 = 399 뇌의 선천기형 = 404 말초신경계통의 발생 = 413 척수신경 = 414 뇌신경 = 414 자율신경계통의 발생 = 416 교감신경계통 = 416 부교감신경계통 = 416 요약: 신경계통 = 416 임상적응문제 = 417 18 눈과 귀 눈과 관련된 구조물의 발생 = 420 망막의 발생 = 420 섬모체의 발생 = 425 홍채의 발생 = 425 수정체의 발생 = 427 안구방의 발생 = 428 각막의 발생 = 429 맥락막과 공막의 발생 = 429 눈꺼풀의 발생 = 429 눈물샘의 발생 = 430 귀의 발생 = 430 속귀의 발생 = 431 가운데귀의 발생 = 433 바깥귀의 발생 = 433 요약: 눈 발생 = 437 요약: 귀 발생 = 437 임상적응문제 = 437 19 외피계통 피부와 피부부속기관의 발생 = 440 표피 = 440 진피 = 441 피부의 샘 = 441 털의 발생 = 447 손발톱의 발생 = 448 치아의 발생 = 448 요약: 외피계통 = 455 임상적응문제 = 456 20 선천해부이상 또는 사람의 출생결함 출생결함의 분류 = 458 기형: 비정상적 발생을 연구하는 분야 = 458 유전요인에 의한 이상 = 459 염색체 수의 이상 = 459 염색체 구조의 이상 = 466 돌연변이 유전자들에 의한 이상 = 469 발달신호전달계 = 471 환경요인에 의한 이상 = 471 기형발생의 원칙 = 474 사람의 기형유발물질 = 475 뭇인자유전에 의한 이상 = 484 요약: 선천해부이상 또는 사람의 출생결함 = 484 임상적응문제 = 484 21 발생단계 동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호전달체계 형태형성인자 = 488 레티노산 = 488 전환성장인자-베타/뼈형태형성단백질 = 489 헤지호그 = 489 윈트/베타-카테닌 신호전달체계 = 490 노치-델타 신호전달체계 = 491 전사조절인자 = 491 혹스/호메오박스 단백질 = 492 팩스 유전자 = 493 베이직 나선-고리-나선전사조절인자 = 493 수용체티로신키나아제 = 493 일반적 특성 = 493 수용체티로신키나아제에 의한 혈관신생의 조절 = 494 요약: 발생단계의 일반적 신호전달체계 = 494 부록: 임상적응문제 해설 = 496 한글 찾아보기 = 507 영어 찾아보기 =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