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79c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474754 | |
005 | 20100807051524 | |
007 | ta | |
008 | 080904s2008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55063653 ▼g 93740 | |
035 | ▼a (KERIS)BIB000011425739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a eng ▼h eng |
082 | 0 4 | ▼a 418.02 ▼2 22 |
090 | ▼a 418.02 ▼b 2008z5 | |
100 | 1 | ▼a Laviosa, Sara ▼0 AUTH(211009)123729 |
245 | 1 0 | ▼a 코퍼스기반 번역학 : ▼b 이론, 연구결과, 응용 / ▼d 저자 Sara Laviosa ; ▼e 역자 안동환. |
246 | 1 9 | ▼a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 theory, findings, applications. |
260 | ▼a 서울 : ▼b 동인 , ▼c 2008. | |
300 | ▼a 174 p. ; ▼c 24 cm. | |
440 | 0 0 | ▼a 번역학 총서 ; ▼v 01 |
504 | ▼a 참고문헌 : p. 157-174 | |
536 | ▼a 이 도서는 2단계 두뇌한국(BK)21 사업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 |
650 | 0 |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
650 | 0 | ▼a Translations ▼x History and criticism. |
700 | 1 | ▼a 안동환 ▼g 安東煥 , ▼e 역. ▼0 AUTH(211009)44793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8.02 2008z5 | Accession No. 1114945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8.02 2008z5 | Accession No. 1114945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최근에 코퍼스기반 번역학은 순수 및 응용 번역학 분야에서 상당한 양의 통일성 있는 연구들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발전들을 고려해 볼 때, 코퍼스기반 번역학의 현황을 평가하고 장래의 발전 방향의 특징을 결정할 주요 동향들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의 목적은 비교적 젊고 유망한 이 연구분야의 주요 개념, 분석방법, 연구결과 및 교육적 응용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분역 훈련생 및 교육자,전문번역가,번역학 분야의 신진 연구자 및 학자들은 코퍼스기반 연구의 원리,방법론,연구결과 및 실제 응용이 유용하고 고무적임을 발견할 것이다. 현장의 번역가들에게는 작업의 질과 효율성을 진정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와 기법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유용하며, 새롭고 일관성 있고 그리고 단단한 경험적 바탕에 근거하여 번역의 과정과 산물에 관한 사실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고무적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글판을 내면서 = 5 1. 서론 = 11 2. 역사적 개관 = 17 2.1 코퍼스언어학 = 17 2.2 기술번역학 = 24 2.3 코퍼스: 번역학의 새로운 방법론 = 33 2.4 코퍼스기반 접근법: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 = 37 3. 코퍼스기반 번역학: 이론 = 39 3.1 왜 코퍼스를 통해서 번역을 연구하는가? = 39 3.2 코퍼스를 통해서 무엇을 연구하는가? = 42 3.3 코퍼스를 통해서 어떻게 번역을 연구하는가? = 44 4. 코퍼스기반 번역학: 연구결과 = 51 4.1 번역학을 위한 코퍼스의 유형 = 52 4.2 경험적 연구결과 = 63 4.2.1 번역의 보편소: 코퍼스 출현 이전 = 63 4.2.1.1 단순화 = 64 4.2.1.2 명시화 = 74 4.2.1.3 규범화 = 77 4.2.2 번역의 보편소: 코퍼스 출현 이후 = 81 4.2.2.1 영어 비교코퍼스를 이용한 단순화 연구 = 81 4.2.2.2 번역 영어와 번역 노르웨이어 속의 명시화 = 89 4.2.2.3 문학 번역 속의 규범화 = 94 4.2.2.4 평준화와 합치: 새로운 보편성? = 97 4.2.2.5 더 많은 보편소기반 연구들 = 100 4.2.3 보편소: 더 이상 주장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 102 4.2.4 보편소 연구의 범위를 넘어 = 106 4.2.4.1 번역 전이 및 번역 규범 = 106 4.2.4.2 다의어의 중의성해소 = 110 4.2.4.3 문학 번역가들의 문체 = 113 4.2.4.4 번역 영어의 핵심어 = 115 4.2.4.5 언어간 번역의 유형론을 향하여 = 116 4.2.5 기술번역학과의 접합점에서: 대조분석 = 117 5. 코퍼스기반 번역학: 응용 = 133 5.1 이중어 비교코퍼스를 이용한 번역가 훈련 = 133 5.2 대조적 병렬기술 = 136 5.3 목표언어 단일어 코퍼스를 이용한 번역가 훈련 = 138 5.4 전문 번역가를 위한 자료로서의 코퍼스 = 141 5.5 응용번역학과의 접합점에서: 외국어 교육 = 143 6. 진행 중인 연구의 개관 = 147 6.1 코퍼스기반 기술번역학 = 148 6.2 더 많은 코퍼스와 더 발전된 검색도구 = 150 6.3 코퍼스 연구: 패러다임 속의 패러다임 = 153 참고문헌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