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Kuby) 면역학

(Kuby) 면역학 (Loan 12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indt, thomas J. Goldsby, Richard A., 저 Osborne, Barvar A., 저 강재승, 역 박영민, 편 서주영, 편 우소연, 편 이유철, 편 장원종, 편 조은경, 편 최명식, 편 최인홍, 한태희,
Corporate Author
대한미생물학회, 역
Title Statement
(Kuby) 면역학 / Thomas J. Kindt, Richard A. Goldsby, Barvar A. Osborne ; 대한미생물학회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E*Public,   2008  
Physical Medium
xviii, 693 p. : 천연색삽화 ; 29 cm
Varied Title
Kuby immunnology (6th ed.)
ISBN
9788962241730
General Note
대한미생물학회의 구성원은 '강재승 외 43인'임  
편집위원: 강재승, 박영민, 서주영, 우소연, 이유철, 장원종, 조은경, 최명식, 최인홍, 한태희  
부록: CD 항원, 사이토카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1378camcc2200433 c 4500
001 000045474617
005 20121213175016
007 ta
008 080909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62241730 ▼g 93510
035 ▼a (KERIS)BIB000011394739
040 ▼a 221016 ▼c 22101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079 ▼2 22
085 ▼a 616.079 ▼2 DDCK
090 ▼a 616.079 ▼b 2008
100 1 ▼a Kindt, thomas J.
245 2 0 ▼a (Kuby) 면역학 / ▼d Thomas J. Kindt, ▼e Richard A. Goldsby, ▼e Barvar A. Osborne ; ▼e 대한미생물학회 [옮김]
246 1 9 ▼a Kuby immunnology ▼g (6th ed.)
260 ▼a 서울 : ▼b E*Public, ▼c 2008
300 ▼a xviii, 693 p. : ▼b 천연색삽화 ; ▼c 29 cm
500 ▼a 대한미생물학회의 구성원은 '강재승 외 43인'임
500 ▼a 편집위원: 강재승, 박영민, 서주영, 우소연, 이유철, 장원종, 조은경, 최명식, 최인홍, 한태희
500 ▼a 부록: CD 항원, 사이토카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Goldsby, Richard A., ▼e
700 1 ▼a Osborne, Barvar A., ▼e
700 1 ▼a 강재승, ▼e
700 1 ▼a 박영민, ▼e
700 1 ▼a 서주영, ▼e
700 1 ▼a 우소연, ▼e
700 1 ▼a 이유철, ▼e
700 1 ▼a 장원종, ▼e
700 1 ▼a 조은경, ▼e
700 1 ▼a 최명식, ▼e
700 1 ▼a 최인홍,
700 1 ▼a 한태희,
710 ▼a 대한미생물학회,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6.079 2008 Accession No. 1310325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미생물학회에서 면역학교과서 간행사업으로 Kuby Immunology 6판의 번역을 마무리하여 출간하게 됨을 회원과 더불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또한 바쁘신 가운데 시간을 내어 번역과 교정에 참여하신 본 학회 집필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면역학을 강의하면서 강의에 적절한 교과서 또는 참고서를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면역학에 관련된 좋은 책들이 소개되어 왔지만 면역학은 그 분야가 광범위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학문 중 하나로 몇몇 저자가 좋은 책을 국내에 소개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로 판단이 됩니다. 이러한 때 본 학회에서 주관하여 본격적인 면역학 교과서를 번역·발간하게 됨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대한미생물학회에서는 20년 이상의학미생물학 교과서를 편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학회에서는 쉽사리 시도하기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Kuby Immunology는 면역학에 관련된 기초개념, 면역작용의 최신지견 및 임상에 이르기까지 면역학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쉽게 기술함으로써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이 면역학의 흐름과 전망을 파악하기 용이한 학습서입니다. 또한 최신 논문자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유용한 웹사이트 주소 및 다양한 자율학습, 애니메이션 등의 쌍방향 학습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면역학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면역학은 학문의 내용과 용어의 의미가 생소하여 우리말로 번역한다는 것이 쉽지 않음은 면역학자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 책은 단순히 면역학 원서를 번역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학회를 중심으로 면역학 내용과 용어를 교육 수요자 입장에서 검토하고 공유함으로써 면역학에 관련된 교육과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데에 그 의미와 중요성이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Thomas J. Kint(지은이)

<Immunology (Paperback)>

대한미생물학회(옮긴이)

<의학미생물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ⅶ
제1부 면역학 소개
 제1장 면역계의 개관(Overview of the immune System) = 1
  면역학의 역사적 발전 = 2
  체액면역과 세포면역의 초기 연구 = 4
  이론적 도전 = 6
  감염과 면역 = 7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 9
  면역기능 장애 = 19
 제2장 면역계 세포 및 기관(Cells and Organs of the Immune System) = 25
  조혈 = 25
  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들 = 32
  면역기관 = 43
  면역세포 및 기관-진화론적 비교 = 50
 제3장 선천면역(Innate Immunity) = 55
  해부학적 방어체계 = 56
  선천면역계와 적응면역계의 연결 = 50
  염증반응 = 60
  수용성 분자들과 세포막 수용체 = 62
  Toll 유사 수용체 = 65
  선천면역계의 세포 종류 = 68
  신호전달경로 = 72
  선천면역계의 진화적 공유 = 74
제2부 B 림프구와 T 림프구 반응의 생성 = 81
 제4장 항원과항체(Antigens and Antibodies) = 81
  면역원성과 항원성 = 82
  항원결정기 = 86
  항체의 기본구조 = 89
  항체 결합부위 = 93
  항체가 매개하는 작동기능 = 99
  항체의 클래스와 생물학적 기능 = 100
  항체분자가 지닌 항원결정기 = 104
  B 림프구 수용체 = 106
  면역글로불린 슈퍼패밀리 = 106
  단클론항체 = 108
 5장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구성과 발현(Organization and Expression of Immunoglobulin Genes) = 115
  lg 구조를 설명하는 유전적 모델의 고안 = 116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다유전자 구성 = 119
  가변부위 유전자 재배열 = 120
  가변부위 DNA 재배열의 기전 = 122
  항체 다양성의 형성 = 127
  불변부위 유전자들 사이의 클래스 전환 = 132
  lg 유전자들의 발현 = 133
  면역글로불린의 합성, 조립 그리고 분비 = 137
  lg 유전자 전사의 조절 = 138
  항체 유전자들과 항체공학 = 140
 6장 항원-항체 결합: 원리 및 응용(Antigen-Antibody Interaction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 151
  항원-항체 결합의 강도 = 151
  교차반응 = 155
  표면플라스몬반향법 = 155
  침강반응 = 157
  응집반응 = 159
  방사면역측정법 = 161
  요소면역측정법 = 162
  웨스턴 블롯법 = 164
  면역침전 = 165
  면역형광법 = 166
  유세포 분석과 형광 = 168
  항원-항체반응의 대체법 = 170
  면역전자현미경법 = 170
 7장 보체계(The Complement System) = 175
  보체의 기능 = 175
  보체인자 = 176
  보체활성화 = 176
  보체계의 조절 = 184
  보체활성화의 생물학적 결과 = 187
  보체결핍증 = 192
 8장 주조직적합복합체와 항원전달(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and Antigen Presentation) = 197
  주조직적합복합체의 구성과 유전 = 198
  MHC 분자와 유전자 = 200
  MHC 유전자의 자세한 유전체 지도 = 210
  MHC 분자의 세포발현 = 212
  MHC 발현의 조절 = 213
  질병감수성과 MHC = 213
  MHC와 면역반응성 = 215
  T 림프구의 자기 MHC 제한 = 215
  항원전달세포의 역할 = 216
  항원처리 및 전달 경로가 하나가 아니라는 증거 = 218
  내인성 항원: 세포질 경로 = 219
  외인성 항원: 세포내이입 경로 = 223
  외인성 항원의 교차 전달 = 226
  비펩티드성 항원의 전달 = 226
 9장 T림프구 수용체(T-Cell Receptor) = 233
  T 림프구 수용체에 대한 초기 연구 = 233
  αβ 및 γδ T 림프구 수용체 : 구조와 역할 = 236
  TCR 유전자의 구성과 재배열 = 238
  T 림프구 수용체 복합체: TCR-CD3 = 244
  T 림프구 부속막 분자 = 247
  TCR-항원 펩티드-MHC 결합체의 삼차원 구조 = 249
  T 림프구의 동종이형반응성 = 251
 10장 T 림프구 성숙, 활성화 및 분화(T-Cell Matration,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 257
  T 림프구 성숙과 가슴샘 = 257
  T 림프구의 가슴샘 선택 = 259
  T 림프구 활성화 = 265
  T 림프구 분화 = 272
  세포 죽음과 T 림프구 = 274
 11장 B 림프구 생성, 활성화 및 분화(B-Cell Generation,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 281
  B 림프구 성숙 = 281
  B 림프구 활성화와 증식 = 287
  체액성 면역반응 = 300
  체액성 면역반응이 유도되는 생체내 위치 = 303
  배중심과 항원에 의한 B 림프구 분화 유도 = 304
  면역 작동 반응의 조절 = 308
제3부 면역작동기전
 12장 사이토카인(Cytokines) = 315
  사이토카인의 특성 = 315
  사이토카인 수용체 = 321
  사이토카인 길항제 = 327
  $$T_H$$1과 $$T_H$$2 아집단에 의한 사이토카인의 분비 = 328
  사이토카인과 관련된 질병들 = 332
  사이토카인에 기초한 치료들 = 334
  조혈작용에서의 사이토카인 = 335
 13장 백혈구 활성과 이동(Leukocyte Activation and Migration) = 341
  세포부착분자 = 341
  케모카인 = 343
  백혈구의 혈관 밖 유출-다단계 패러다임 = 346
  림프구 재순환 = 348
  림프구의 혈관 밖 유출 = 349
  기타 염증매개물질 = 352
  염증 과정 = 355
  항염증제(소염제) = 362
 제14장 세포매개 세포독성 반응(Cell-Mediated Cytotoxic Responses) = 367
  작동기 반응 = 367
  작동 T 림프구의 일반적 특성 = 368
  세포독성 T 림프구 = 369
  NK 세포 = 376
  NKT 세포 = 380
  항체의존적 세포매개 세포독성 = 382
  세포매개 세포독성의 실험적 평가 = 382
 15장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s) = 389
  젤(Gell)과 쿰즈(Coombs)의 분류 = 389
  lgE 매개성(Ⅰ형) 과민반응 = 390
  항체-매개 세포독성(Ⅱ형) 과민반응 = 407
  면역복합체매개(Ⅲ형) 과민반응 = 410
  Ⅳ형 혹은 지연형 과민반응(DTH) = 412
제4부 건강과 질환속의 면역계
 16장 면역관용과 자가면역(Tolerance and Autoimmunity) = 421
  면역관용의 형성과 유지 = 422
  장기 특이 자가면역 질환 = 428
  전신 자가면역 질환 = 430
  자가면역 질환 실험동물 모델 = 432
  자가면역에 연관된 CD4양성 T 림프구, MHC, T 림프구 수용체에 대한 증거 = 434
  자가면역 유도기전들 = 435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 439
 17장 이식면역학(Transplantation Immunology) = 445
  이식편 거부반응의 면역학적 기초 = 446
  이식편 거부반응의 임상소견 = 452
  일반적인 면역억제 요법 = 455
  특이적 면역억제 요법 = 457
  동종이형이식편에 대한 면역관용 = 459
  임상 이식 = 460
 18장 감염 질환에 대한 면역반응(Immun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 469
  바이러스감염 = 470
  세균감염 = 476
  기생충 질환 = 480
  진군감염증 = 484
  신종 감염 질환 = 487
 19장 백신(Vaccines) = 495
  능동면역과 수동면역 = 497
  능동면역을 위한 백신설계 = 501
  생백신, 약독화백신 = 502
  불할성화 백신, 사백신 = 504
  아단위백신 = 505
  접합백신 = 507
  DNA백신 = 508
  재조합 벡터백신 = 511
 제20장 에이즈와 기타 면역결핍증(AIDS and Other Immunodeficiencies) = 515
  일차 면역결핍 = 515
  에이즈와 기타 후천성 또는 이차 면역결핍증 = 526
 21장 종양과 면역계(Cancer and the Immune System) = 547
  암: 기원과 관련 용어 = 547
  세포의 악성 형질전환 = 548
  종양유전자와 암 유도 = 549
  면역계의 종양 = 552
  종양항원 = 553
  종양의 면역계 회피 = 560
  종양 면역치료 = 562
 22장 면역학 연구기법(Experimental Systems) = 569
  실험동물모델 = 569
  세포 배양 = 572
  단백 생화학 = 574
  재조합 DNA 기술 = 579
  DNA 조절 서열의 분석 = 584
  포유류세포에 유전자 주입 = 585
  마이크로어레이-유전자발현 양상에 대한 분석 기술 = 590
  면역계의 생체 촬영을 위한 이중광자 현미경 = 592
  형광기술의 발달 = 594
부록 1: CD항원 = 599
부록 2: 사이토카인 = 621
용어해설 1 = 625
용어해설 2 = 642
연습문제 해답 = 651
찾아보기 = 6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수면학회 (2022)
대한비과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Razzaque, Russell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