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1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473959 | |
005 | 20100807050423 | |
007 | ta | |
008 | 080724s2008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84999664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1362825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2 |
090 | ▼a 302.23 ▼b 2008z12 | |
245 | 0 0 | ▼a 교양인을 위한 미디어 세미나 / ▼d 박상현 [외]지음.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8. | |
300 | ▼a 183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KT문화재단 정보통신문화신서 ; ▼v 05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x CB ; ▼v 1222 |
500 | ▼a 공저자: 김기환, 박정은, 연승준, 정지선. | |
504 | ▼a 참고문헌: p. 178-183. | |
700 | 1 | ▼a 박상현 ▼0 AUTH(211009)61353 |
700 | 1 | ▼a 김기환 ▼0 AUTH(211009)137022 |
700 | 1 | ▼a 박정은 ▼0 AUTH(211009)110597 |
700 | 1 | ▼a 연승준 ▼0 AUTH(211009)133524 |
700 | 1 | ▼a 정지선 ▼0 AUTH(211009)127277 |
740 | ▼a 미디어 세미나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114961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114961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512634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114961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114961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 2008z12 | Accession No. 1512634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디어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최신 정보기술과 사회 변화의 흐름을 조망한다. 미디어의 진화가 가져온 변화를 살피면서 역기능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바람직한 태도를 모색한다. 미디어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감을 되찾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디어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감을 되찾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생산하고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미디어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 책은 미디어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최신 정보기술과 사회 변화의 흐름을 조망한다. 미디어의 진화가 가져온 변화를 살피면서 그 역기능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바람직한 태도를 모색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연승준(지은이)
충북대학교에서 경영정보학을 전공하여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4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정보통신기술전략 및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세계인명사전인 Marquis Who's Who in Science and Engineering에 등재되었다.
박상현(지은이)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충북대학교에서 경영정보학을 전공하여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연구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김기환(지은이)
2017년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행정학과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화정책, 전자정부, 환경정책 등이며, 주요 저서로 『빅데이터와 위험정보사회』(공저), 『스마트시대의 위험과 대응방안』(공저), 『스마트지능정보시대 혁신을 위한 정책』(공저) 등이 있다.
박정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 현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정지선(지은이)
호남대학교에서 정보통신공학 석사 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에서 정보보호정책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8년 현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ⅴ 1 미디어의 진화 미디어의 개념과 정의 = 1 미디어와 정보기술의 공진화 = 4 미디어 발자취 = 6 원시 오감 미디어의 시대 = 8 기호 미디어의 시대 = 9 인쇄 미디어의 시대 = 13 청각 미디어의 시대: 축음기와 라디오의 발명 = 20 시청각 커뮤니케이션의 시대: TV출현과 미디어 혁명 = 24 인터넷 미디어의 시대 = 28 2 미디어를 변화시키는 정보기술 테크놀로지로서의 미디어 = 31 미디어 테크놀로지 = 3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33 전자책 = 37 메신저 = 40 보이는 라디오 = 42 MP3 = 44 자동번역기술 = 45 IPTV = 49 DMB = 52 영상통화 = 54 웹2.0과 모바일 웹2.0 = 59 시맨틱 웹 = 65 오감 미디어 기술 = 66 미래 기술 방향 = 72 융합 = 72 이동 = 74 내재화 = 78 3 New 미디어, u-미디어 u-미디어의 진출 = 82 미디어 진화와 패러다임 전환 = 84 확장: 시청각 미디어에서 오감 미디어로 진화 = 84 참여: 매스미디어에서 마이크로미디어로 진화 = 86 융합: 멀티미디어에서 융합 미디어로 진화 = 87 u-미디어의 특징 = 89 미디어의 개인화 = 89 기존 미디어와 인터넷의 결합: 온라인 미디어 = 96 참여 웹과 UCC의 약진 = 99 4 u-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와 소비문화 = 113 소비의 양극화와 슈퍼 소비자 출현 = 113 롱테일 현상과 오픈마켓의 등장 = 116 미디어와 광고시장 = 120 미래 미디어의 활용 = 126 미디어와 정치 참여 = 127 전통적 미디어와 정치 참여 = 128 댓글을 통한 여론 형성과 표출 = 131 미디어 발전과 정치 참여 형태의 변화 = 132 웹2.0과 정치 참여 = 137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 142 미디어 컨버전스와 엔터테인먼트 = 146 오감 기반의 체험형 영화 = 150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잇는 엔터테인먼트 = 152 미디어와 교육 = 154 미래학교 = 156 u-러닝 = 158 웹2.0과 교육 = 159 미디어와 정부 = 161 웹2.0과 정부 = 165 가상세계와 정부 = 166 u-미디어의 역기능 = 167 개인화에 따른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우려 = 168 온라인 미디어의 익명성으로 인한 인격권 침해 가능성 = 169 참여 확산에 따른 포퓰리즘과 대중 선도 = 172 가상세계 확산에 따른 현실세계와의 혼돈 = 173 후기 = 176 참고문헌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