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역발상, 이론을 뛰어넘는)84가지 문학 이야기

(역발상, 이론을 뛰어넘는)84가지 문학 이야기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양영길 梁瑩吉
서명 / 저자사항
(역발상, 이론을 뛰어넘는)84가지 문학 이야기 / 양영길 저.
발행사항
서울 :   책나무 ,   2007.  
형태사항
330 p. : 삽도 ; 23 cm.
ISBN
978899169930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30
000 00643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473676
005 20100807050148
007 ta
008 070402s2007 ulka b 000c kor
020 ▼a 9788991699303 ▼g 03810: ▼c \12,000
035 ▼a (KERIS)BIB000010854941
040 ▼a 225013 ▼c 225013 ▼d 244002
082 0 4 ▼a 801 ▼2 22
090 ▼a 801 ▼b 2007d3
100 1 ▼a 양영길 ▼g 梁瑩吉
245 2 0 ▼a (역발상, 이론을 뛰어넘는)84가지 문학 이야기 / ▼d 양영길 저.
260 ▼a 서울 : ▼b 책나무 , ▼c 2007.
300 ▼a 330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30
940 ▼a 역발상, 이론을 뛰어넘는 여든 네가지 문학이야기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 2007d3 등록번호 1512627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 어려운 것이 아니다 = 15
 일상인의 문학 세계가 따로 있다 = 19
 문학적 물음이란 무엇인가 = 21
 문학 이론의 두 얼굴 = 24
 문학 현실의 두 얼굴 = 26
 문학의 힘은 언어의 힘이다 = 28
 문학 속의 언어는 살아 있는 언어다 = 31
 '말맛'을 알아야 문학을 안다 = 35
 관용적 표현과 시적 표현 = 38
 협동의 원리 = 42
 문학은 작가의 정서적 전염 = 46
 작가는 싸움 붙이는 직업 = 49
 사회적 원리와 문학적 원리 = 53
 시와 소설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 56
 관찰과 사색의 글쓰기 = 60
 사진 찍기처럼 즐겁게 쓸 수 있다면 = 64
 글쓰기와 형식에 대한 고민 = 67
 '문학사론'이라는 것도 있다 = 71
제2부 문학과 정신
 문학 정신을 배우고 가르치자 = 77
 가슴으로 쓰는 문학과 머리로 쓰는 문학 = 80
 '왕따'를 당하면 어떻게 될까 = 85
 문학의 미(美)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89
 '보호 비평'이라는 것도 있다 = 92
 시간을 잘 읽어야 문학을 안다 = 96
 창조적 선택을 위한 고민 = 101
 패러디와 표절 = 105
 전쟁과 문학 정신 = 109
 발견 중심 글쓰기 = 114
 나는 누구인가 = 118
 별명과 풍자 = 122
 우리에게 '아리랑'이란 무엇인가? = 126
 결합과 용해의 미학 원리 = 130
 진실의 거울, 정영경(正映鏡) = 134
 제주민요 「자장가」가 「구지가」와 닮았다고? = 137
제3부 대중문화와 문학
 수수께끼의 원리와 문학적 표현 = 145
 노래가사도 문학이다 = 148
 문학과 음악은 연인 관계다 = 151
 스포츠도 드라마다? = 155
 연속극 재미없게 보는 방법 = 158
 짝짓기 연속극 vs 짝 찢기 연속극 = 160
 만화는 문학인가 = 163
 '오해'에도 기법이 있다 = 166
 '게임의 법칙'은 문학에도 있다 = 169
 게임에도 '문학의 법칙'이 있다 = 172
 후광효과와 초두효과 = 176
 날씨와 문학 = 179
 연상(聯想)의 원리와 광고 카피 = 183
 '내 개그는 만화책이지' 이런 유형의 시도 있다 = 188
 문학적 말하기와 시치미 떼기 = 192
 수다떨기의 미학 = 195
제4부 문학과 상상력
 '상상력'을 알면 문학이 보인다 = 201
 엉뚱한 상상력이 문학의 생명이다 = 205
 시인의 무기는 상상력이다 = 208
 문학 속의 미인은 나의 거울이다 = 212
 '가면 효과'를 알면 시(詩)가 보인다 = 215
 웃음의 원리는 '추(醜)의 미학'에 있다 = 218
 삶과 문학적 상상력 = 221
 훔쳐보기와 카메라의 눈 = 225
 소문 만들기의 미덕 = 229
 너희가 낭만을 아느냐? = 232
 일탈 행동과 문학 = 237
 제례(祭禮)와 문학 = 242
 시간 여행은 가능한 것인가 = 248
 '시간착오'란 무엇인가 = 253
 문학 속의 시간들 = 259
 불확실성과 나비 효과 = 262
 보름달 효과와 극장의 우상 = 266
 발상의 전환과 낯설게 하기 = 269
제5부 은유와 상징
 비유의 원리는 상상력에 있다 = 277
 은유적 표현과 연인 관계의 공통점 = 281
 은유와 은어의 공통점 = 285
 '악수'와 '비유'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 288
 생활 속의 상징 문화 = 291
 색(色)의 상징성 = 293
 '상징'에는 어떠한 힘이 있을까 = 296
 붉은악마 vs 레드카드 = 299
 '꽃'의 상징성 = 302
 '옷'의 상징성 = 307
 빨간 장미꽃 한 다발 = 310
 '욕'의 문학성 = 314
 생략과 여백의 미(美) = 317
 표현의 겉과 속 = 320
 은유의 숙성 방법 = 323
 문학성은 왜곡으로부터 = 3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