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ⅳ
제1부 아동문학 비평과 초등 문학교육 = 1
제1장 아동문학 교육의 현실과 방향 모색 = 3
제1절 아동문학 비평의 교육적 가능성 인식 = 3
제2절 아동문학 교육 논의의 과거와 현재 = 8
제3절 논의의 범주와 방법 모색 = 19
제2장 아동문학 비평과 문학 교육 = 27
제1절 아동문학 비평과 초등 문학교육의 접점 = 28
[1] 초등 문학교육의 원천으로서의 아동문학 = 28
[2] 아동문학 비평과 아동문학 교육의 관련성 = 33
제2절 아동문학 비평의 문학 교육적 함의 = 38
[1] 문학작품을 보는 시각과 방법 제공 = 38
[2] 문학 제재 선정의 조화와 균형 확보 = 42
제3장 아동문학 비평의 문학 교육적 작용 원리 = 49
제1절 아동 중심의 아동문학 담론 확립 = 50
[1] 문학 감상 주체로서의 아동관 형성 = 50
[2] 아동과 성인의 문학 교류 견인 = 56
제2절 사회, 문화적 맥락과의 교섭력 확보 = 62
[1] 아동의 현실에 밀착된 비평 정신 추구 = 62
[2] 아동의 능력을 배려한 창작 정신 제안 = 66
[3] 한국적 토양을 고려한 아동문학관 개진 = 73
제3절 건설적인 토론 문화의 창출 = 78
[1] 용인과 극복을 통한 기초적 시각 정립 : 방정환과 송완순의 경우 = 78
[2] 발전과 심화를 통한 현실 의식의 확대: 이원수와 이오덕의 경우 = 83
제4장 아동문학 비평의 문학 교육적 작용 기능 = 89
제1절 아동문학 교육의 내적 정체성 확립 = 90
[1] 아동 중심의 철학적 기반 제공 = 90
[2]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 증진 = 94
제2절 현실 조회를 통한 질 관리 체제 구축 = 100
[1] 문학 수용자로서의 아동 복원 = 100
[2] 아동문학사적 시각의 교재론 확충 = 105
제3절 문학 교육적 담론 문화의 형성 = 109
[1] 공론화를 통한 담론 문화의 창출 = 109
[2] 메타적 점검을 통한 소통 구조 마련 = 113
제5장 아동문학 교육의 지향과 과제 = 117
참고문헌 = 123
제2부 초등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5
제1장 아동문학 교육의 기초적 전제 = 157
제1절 아동문학 교육론을 위하여 = 157
제2절 아동문학과 문학성, 그리고 신비주의 = 158
제3절 아동문학과 아동의 내재적 본성 = 163
제4절 아동문학 교육의 실천과 문학 교실 = 167
제5절 아동문학 교육의 첫 번째 원리 = 174
제2장 초등 동화 교육과정의 비판과 보완 = 175
제1절 현실주의 동화 배제의 논리 = 175
제2절 현실주의 동화와 초등학교 문학교육 = 179
제3절 동화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 184
제4절 초등학교 동화 교육과정의 개선과 보완 = 189
제5절 결론 및 향후 과제 = 195
제3장 초등 문학 교사와 현실주의 동화 = 197
제1절 아동문학과 교육성 = 197
제2절 현실주의 동화의 리얼리즘 구현 양상 = 201
제3절 문학 교사들의 현실주의적 인식 = 206
제4절 현실주의 동화의 교육적 함의 = 213
제5절 현실주의 동화 교육의 과제 = 216
제4장 전래동화 교육의 논리와 구비문학 교육의 시각 = 219
제1절 문제제기 및 전래동화 교육 연구사 비판 = 219
제2절 전래동화 교육의 연원(淵源)과 현재성 = 223
제3절 전래동화의 본원적 특장(特長) 그리고 설화 = 229
제4절 아동 중심의 전래동화 교육을 위하여 = 235
제5절 결론 및 남은 문제들 = 241
제5장 초등학교 고전 문학 교육의 한 방법 = 243
제1절 초등 고전 문학 교육의 현실 = 243
제2절 〈장끼전〉의 문학교육적 의미 = 245
제3절 교과서 수록 양상 검토 = 247
[1] 제재 수록 양상 검토 = 247
[2] 지도 방안의 탐색 = 253
제4절 요약, 결론 및 제언 = 262
제6장 현실주의 아동극과 초등 교육연극의 실천 = 265
제1절 아동극 제재의 확충과 복원 = 265
제2절 현실주의 아동극의 문학 교육적 의미 = 269
제3절 교육연극 방법의 현실 체험 교육적 설계 = 274
제4절 현실 체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실천적 검토 = 281
제5절 결론 및 향후 과제 = 285
제7장 초등 국어 교과서와 아동문학 정전 = 287
제1절 문제제기 : 아동문학 정전 연구의 가능성 = 287
제2절 아동문학 정전 연구를 위한 전제와 맥락 = 291
제3절 국어 교과서 아동문학 정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95
제4절 요약, 결론 및 향후 과제 = 304
자료 및 참고문헌 = 307
부록 1. 현실주의 아동문학 비평 자로 목록 = 319
부록 2. 아동문학 관계 박사학위 논문 목록 = 326
부록 3. 아동문학 연구 관계 논저 목록 = 329
부록 4. 아동문학 비평 논저 목록 =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