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民事訴訟法 : 理論과 事例 제2판

民事訴訟法 : 理論과 事例 제2판 (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홍기문
서명 / 저자사항
民事訴訟法 : 理論과 事例 / 홍기문 저.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大明出版社 ,   2008.  
형태사항
xvii, 788 p. ; 25 cm.
ISBN
978895774171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80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72715
005 20100807045123
007 ta
008 080922s2008 ulk 001c kor
020 ▼a 9788957741719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7.51905 ▼2 22
085 ▼a 347.5305 ▼2 DDCK
090 ▼a 347.5305 ▼b 2008z11
100 1 ▼a 홍기문 ▼0 AUTH(211009)111677
245 1 0 ▼a 民事訴訟法 : ▼b 理論과 事例 / ▼d 홍기문 저.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大明出版社 , ▼c 2008.
300 ▼a xvii, 788 p. ; ▼c 25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114950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114950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21177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114950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114950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7.5305 2008z11 등록번호 121177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홍기문(지은이)

전남대학교 법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수료(법학박사) 독일 Erlangen-Nurnberg 대학교 및 Regensburg 대학교 수학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및 행정대학원장 법무부 법무자문위원회 민사소송법개정특별분과위원회 위원 사법시험·군법무관시험·행정고시·변리사시험 출제위원 및 채점위원 대한민사법학회 회장 현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서 및 주요논문 증명책임론 민사소송법 민사소송법 기본판례 전자상거래와 법률문제(공저) 인터넷이용자의 법적 보호(공저) 재외한인의 법적 지위제한과 분쟁해결(공저) 재외한인권익보호단체와 활동가네트워크(공저) 전문가로서 변호사의 민사책임 변론종결후의 승계인 신민사소송법의 전망 변호사강제주의 변호과오 헌법과 민사소송 중국민사소송법의 법리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총론
 제1장 민사소송
  제1절 소송절차의 개관 = 3
  제2절 민사소송의 의의 = 8
   Ⅰ. 민사소송의 의의 = 8
   Ⅱ. 민사소송과 다른 소송제도 = 10
  제3절 소송외 분쟁해결제도(ADR) = 19
  제4절 민사소송제도의 목적 = 22
  제5절 민사소송의 이상 = 26
   Ⅰ. 서설 = 26
   Ⅱ. 내용 = 27
   Ⅲ. 구체적 실현과정 = 29
   Ⅳ. 민사소송과 신의칙 = 30
  제6절 민사소송절차의 종류 = 37
   Ⅰ. 총설 = 37
   Ⅱ. 통상소송절차 = 38
   Ⅲ. 부수절차 = 38
   Ⅳ. 특별소송절차 = 39
 제2장 민사소송법
  제1절 민사소송법의 개념과 성격 = 41
   Ⅰ. 개념 = 41
   Ⅱ. 성격 = 42
  제2절 민사소송법의 연혁과 과제 = 43
   Ⅰ. 민사소송법의 연혁 = 43
   Ⅱ. 민사소송법의 개정 = 44
   Ⅲ. 향후의 과제 = 45
  제3절 민사소송법규의 종류와 해석 = 47
   Ⅰ. 종류 = 47
   Ⅱ. 해석 = 49
  제4절 민사소송에 있어서 판례의 역할 = 49
   Ⅰ. 판례법형성의 필요 = 49
   Ⅱ. 판례법형성의 한계 = 50
  제5절 민사소송법의 효력의 한계 = 52
   Ⅰ. 시간적 한계 = 52
   Ⅱ. 지역적 한계 = 53
제2편 소송의 주체
 제1장 법원
  제1절 민사재판권 = 57
   Ⅰ. 재판권 = 57
   Ⅱ. 민사재판권 = 57
  제2절 법원 = 65
   Ⅰ. 법원의 개념과 종류 = 65
   Ⅱ. 법원의 구성 = 66
  제3절 법관의 제척ㆍ기피ㆍ회피 = 71
   Ⅰ. 개설 = 71
   Ⅱ. 법관의 제척 = 71
   Ⅲ. 법관의 기피 = 74
   Ⅳ. 법관의 회피 = 76
  제4절 관할 = 76
   제1관 총설 = 76
    Ⅰ. 관할의 의의 = 77
    Ⅱ. 관할의 종류 = 78
   제2관 법정관할 = 79
    제1항 직분관할 = 79
     Ⅰ. 의의 = 79
     Ⅱ. 내용 = 79
    제2항 사물관할 = 80
     Ⅰ. 의의 = 80
     Ⅱ. 합의부의 사물관할 = 81
     Ⅲ. 단독판사의 사물관할 = 82
     Ⅳ. 소송목적의 값(소가) = 83
    제3항 토지관할 = 84
     Ⅰ. 의의 = 84
     Ⅱ. 재판적의 종류 = 84
     Ⅲ. 보통재판적 = 85
     Ⅳ. 특별재판적 = 86
   제3관 당사자의 거동에 의한 관할 = 88
    제1항 합의관할 = 88
     Ⅰ. 의의 = 88
     Ⅱ. 법적 성질 = 89
     Ⅲ. 요건 = 90
     Ⅳ. 방식과 시기 = 92
     Ⅴ. 합의의 모습 = 92
     Ⅵ. 합의의 효력 = 94
    제2항 변론관할(응소관할) = 95
     Ⅰ. 의의 = 95
     Ⅱ. 요건 = 95
     Ⅲ. 효과 = 96
   제4관 재정관할(지정관할) = 96
    Ⅰ. 의의 = 96
    Ⅱ. 관할을 지정해야 할 경우 = 97
    Ⅲ. 관할지정의 절차 = 97
    Ⅳ. 지정의 효력 = 97
   제5관 관할권의 조사 = 98
   제6관 소송의 이송 = 99
    Ⅰ. 의의 = 99
    Ⅱ. 이송의 원인(이송요건) = 100
    Ⅲ. 이송절차 = 105
    Ⅳ. 이송재판의 효과 = 105
    Ⅴ. 이송사유를 간과한 판결의 효력 = 108
 제2장 당사자
  제1절 총설 = 109
   Ⅰ. 당사자의 개념 = 109
   Ⅱ. 당사자대립의 원칙 = 110
   Ⅲ. 당사자권(절차적기본권 또는 심문청구권) = 111
  제2절 당사자의 확정 = 113
   Ⅰ. 의의 = 114
   Ⅱ. 당사자확정의 기준 = 114
   Ⅲ. 개별적인 경우 = 116
   Ⅳ. 법인격부인과 당사자의 확정 = 125
  제3절 당사자능력 = 127
   Ⅰ. 개설 = 127
   Ⅱ. 당사자능력자 = 128
   Ⅲ. 당사자능력의 조사와 그 흠의 효과 = 133
  제4절 소송능력 = 135
   Ⅰ. 의의 = 135
   Ⅱ. 소송능력자 = 136
   Ⅲ. 소송무능력자 = 136
   Ⅳ. 소송능력 흠의 효과 = 137
  제5절 변론능력 = 139
   Ⅰ. 의의 = 139
   Ⅱ. 변론능력자 = 140
   Ⅲ. 변론능력 흠의 효과 = 140
  제6절 당사자적격 = 141
   Ⅰ. 개설 = 141
   Ⅱ. 당사자적격자(정당한 당사자) = 142
   Ⅲ. 당사자적격 흠의 효과 = 150
  제7절 소송상의 대리인 = 151
   제1관 총설 = 151
    Ⅰ. 대리인의 의의 = 151
    Ⅱ. 대리인의 종류 = 151
   제2관 법정대리인 = 153
    Ⅰ. 의의 = 153
    Ⅱ. 종류 = 153
    Ⅲ. 법정대리인의 권한 = 154
    Ⅳ. 법정대리인의 소송상 지위 - 임의대리인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 = 156
   제3관 법인 등의 대표자 = 159
   제4관 임의대리인(소송대리인) = 159
    Ⅰ. 의의 = 159
    Ⅱ. 종류 = 160
    Ⅲ. 변호사대리의 원칙 = 160
    Ⅳ. 소송대리권의 수여 = 162
    Ⅴ. 소송대리권의 범위 = 163
    Ⅵ. 소송대리인의 지위 = 164
    Ⅶ. 소송대리권의 소멸 = 166
   제5관 무권대리인 = 166
    Ⅰ. 의의 = 166
    Ⅱ. 소송상의 취급 = 167
    Ⅲ. 쌍방대리의 금지 = 167
    Ⅳ. 소송행위와 표현대리 = 169
제3편 제1심의 소송절차
 제1장 소송의 개시
  제1절 소의 의의와 종류 = 173
   Ⅰ. 소의 의의 = 173
   Ⅱ. 소의 종류 = 174
  제2절 소송개시의 절차 = 179
   Ⅰ. 소제기의 방식 = 179
   Ⅱ. 소장의 기재사항 = 181
   Ⅲ. 소제기에 대한 법원의 조치 = 184
  제3절 소송구조 = 187
   Ⅰ. 총설 = 187
   Ⅱ. 구조의 요건 = 187
   Ⅲ. 구조절차 = 188
   Ⅳ. 구조의 효과 = 189
  제3절 소제기의 효과 = 190
   제1관 총설 = 190
    Ⅰ. 소송계속의 의의 = 190
    Ⅱ. 소송계속의 발생시기 = 190
    Ⅲ. 소송계속의 효과 = 191
    Ⅳ. 소송계속의 종료 = 191
   제2관 소송법상의 효과 = 191
    Ⅰ. 의의 = 191
    Ⅱ. 중복소제기의 금지 = 192
   제3관 실체법상의 효과 = 201
    Ⅰ. 시효중단 = 201
    Ⅱ. 소제기기간준수 = 204
 제2장 심판의 대상
  제1절 소송요건 = 206
   제1관 총설 = 206
    Ⅰ. 의의 = 206
    Ⅱ. 소송요건의 내용 = 206
    Ⅲ. 소송요건의 종류 = 207
    Ⅳ. 소송요건의 조사 = 208
   제2관 소의 리익(권리보호요건) = 211
    제1항 소권론 = 212
     Ⅰ. 의의 = 212
     Ⅱ. 소권논쟁의 의의 = 214
     Ⅲ. 소권논쟁의 한계 = 215
    제2항 소의 리익 = 216
     Ⅰ. 의의 = 217
     Ⅱ. 권리보호의 자격 = 217
     Ⅲ. 권리보호의 이익 또는 필요 = 220
     Ⅳ. 소송상의 취급 = 229
  제2절 본안판결의 대상 = 229
   제1관 소송물논 = 230
    Ⅰ. 총설 = 231
    Ⅱ. 학설 = 232
    Ⅲ. 판례 = 235
    Ⅳ. 각 이론의 실제적 차이 = 236
    Ⅴ. 각 이론의 문제점 = 245
   제2관 처분권주의 = 248
    Ⅰ. 총설 = 249
    Ⅱ. 절차의 시작 = 249
    Ⅲ. 심판의 대상과 범위 = 250
    Ⅳ. 절차의 마감 = 254
    Ⅴ. 처분권주의 위반의 효과 = 255
 제3장 소송심리의 진행
  제1절 소송절차의 진행과 정지 = 256
   제1관 기일 = 257
    Ⅰ. 의의 = 257
    Ⅱ. 기일의 지정 = 257
    Ⅲ. 기일의 변경 = 258
    Ⅳ. 기일의 통지와 실시 = 258
   제2관 기간 = 259
    Ⅰ. 기간의 종류 = 259
    Ⅱ. 기간의 계산 = 260
    Ⅲ. 기간의 진행 = 261
    Ⅳ. 기간의 신축 = 261
    Ⅴ. 기간의 해태와 소송행위의 추후보완 = 262
   제3관 송달 = 265
    Ⅰ. 의의 = 265
    Ⅱ. 송달기관 = 265
    Ⅲ. 송달서류 = 266
    Ⅳ. 송달을 받을 사람 = 266
    Ⅴ. 송달실시의 방법 = 267
   제4관 소송절차의 정지 = 271
    Ⅰ. 총설 = 271
    Ⅱ. 소송절차의 정지 = 272
  제2절 절차의 진행에 있어서 소송주체의 역할 = 277
   Ⅰ. 총설 = 277
   Ⅱ. 절차진행에 관한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 277
   Ⅲ. 소송지휘권 = 278
   Ⅳ. 절차의 진행ㆍ심리의 정리에 관한 당사자의 지위 = 280
   Ⅴ.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 = 280
 제4장 당사자의 변론활동과 법원의 역할
  제1절 심리과정에 있어서 당사자의 행위 = 285
   Ⅰ. 소송에 관한 당사자의 행위 = 285
   Ⅱ. 재판의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 = 286
  제2절 변론활동을 지도하는 원칙 = 296
   제1관 변론주의 = 297
    Ⅰ. 총설 = 298
    Ⅱ. 내용 = 299
    Ⅲ. 변론주의의 한계와 보완 = 305
    Ⅳ. 예외 = 308
   제2관 석명권 - 사안해명을 위한 법원의 역할 = 311
    Ⅰ. 의의 = 311
    Ⅱ. 석명권의 범위 = 312
    Ⅲ. 석명권의 행사 = 317
    Ⅳ. 석명권의 불행사와 상고이유 = 318
    Ⅴ. 석명처분 = 321
   제3관 공격방어방법의 제출시기 = 321
    Ⅰ. 변론의 일체성 = 321
    Ⅱ. 적시제출주의 = 322
    Ⅲ. 적시제출주의와 집중심리주의의 상호관계 = 328
   제4관 기일의 해태(당사자의 결석) = 329
    Ⅰ. 의의 = 329
    Ⅱ. 한 쪽 당사자가 출석하지 아니한 경우 = 329
    Ⅲ. 양 쪽 당사자가 출석하지 아니한 경우 = 332
  제3절 변론절차 = 334
   제1관 심리의 방식 = 335
   제2관 심리의 원칙 = 337
    제1항 공개심리주의 = 337
    제2항 쌍방심리주의 = 338
    제3항 구술심리주의 = 339
    제4항 직접심리주의 = 340
    제5항 집중심리주의 = 342
   제3관 변론의 준비 = 344
    Ⅰ. 총설 = 344
    Ⅱ. 준비서면 = 345
    Ⅲ. 쟁점정리절차 = 348
   제4관 변론의 실시 = 350
    Ⅰ. 변론의 개시와 종결 = 350
    Ⅱ. 심리의 정리방법 = 350
    Ⅲ. 변론조서 = 352
 제5장 증명활동과 사실인정
  제1절 총설 = 355
   Ⅰ. 증거의 기능 = 355
   Ⅱ. 증거의 개념 = 356
   Ⅲ. 증거에 관한 당사자권 = 357
  제2절 증명활동의 목표 = 359
   제1관 증명의 의의 = 359
   제2관 증명의 대상 = 361
    Ⅰ. 사실 = 361
    Ⅱ. 경험칙 = 362
    Ⅲ. 법규 = 364
   제3관 불요증사실 = 364
    제1항 재판상 자백 = 365
     Ⅰ. 의의 = 365
     Ⅱ. 법적 성질 = 365
     Ⅲ. 요건 = 366
     Ⅳ. 효과 = 372
     Ⅴ. 자백간주(의제자백) = 374
    제2항 현저한 사실 = 376
     Ⅰ. 의의 = 376
     Ⅱ. 종류 = 376
     Ⅲ. 현저한 사실에 반한 자백의 구속력 = 377
  제3절 사실인정의 방법 = 378
   제1관 자유심증주의 = 378
    Ⅰ. 의의 = 378
    Ⅱ. 내용 = 379
   제2관 증명책임 = 389
    Ⅰ. 총설 = 390
    Ⅱ. 증명책임의 분배 = 391
    Ⅲ. 증명책임의 전환 = 394
    Ⅳ. 증명책임의 완화 = 395
    Ⅴ. 현대형소송에 있어서 증명책임 = 400
    Ⅵ. 증명책임이 없는 자의 사안해명의무 = 404
  제4절 증거조사절차 = 405
   제1항 총설 = 405
    Ⅰ. 증거조사의 개시 = 405
    Ⅱ. 증거조사의 실시 = 407
   제2항 각종 증거방법의 조사 = 409
    Ⅰ. 총설 = 409
    Ⅱ. 증인신문 = 410
    Ⅲ. 감정 = 413
    Ⅳ. 서증 = 414
    Ⅴ. 검증 = 425
    Ⅵ. 당사자신문 = 426
    Ⅶ. 그 밖의 증거 = 427
   제3항 증거보전 = 428
제4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총설
  제1절 개관 = 433
  제2절 소송종료선언 = 433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소송의 종료
  제1절 소의 취하 = 436
   Ⅰ. 총설 = 436
   Ⅱ. 요건 = 437
   Ⅲ. 방식 = 439
   Ⅳ. 효과 = 440
   Ⅴ. 소취하계약 = 446
   Ⅵ. 소취하간주 = 448
   Ⅶ. 소취하의 효력을 다투는 절차 = 448
  제2절 청구의 포기와 인락 = 449
   Ⅰ. 의의 = 450
   Ⅱ. 법적 성질 = 451
   Ⅲ. 요건 = 451
   Ⅳ. 절차 = 453
   Ⅴ. 효과 = 454
  제3절 재판상의 화해 = 455
   Ⅰ. 총설 = 455
   Ⅱ. 소송상 화해 = 455
   Ⅲ. 제소전의 화해 = 462
   Ⅳ. 화해권고결정 = 464
   Ⅴ. 화해간주 = 466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종료
  제1절 총설 = 467
   Ⅰ. 재판의 의의 = 467
   Ⅱ. 재판의 종류 = 467
  제2절 판결의 종류 = 469
   Ⅰ. 종국판결과 중간판결 = 469
   Ⅱ. 소송판결과 본안판결 = 473
  제3절 판결의 성립 = 474
   Ⅰ. 판결내용의 확정 = 474
   Ⅱ. 판결서(판결원본) = 474
   Ⅲ. 판결의 선고 = 477
   Ⅳ. 판결의 송달 = 478
  제4절 판결의 효력 = 478
   제1관 총설 = 478
   제2관 기속력 = 479
   제3관 형식적 확정력 = 483
   제4관 실체적 확정력(기판력) = 484
    Ⅰ. 총설 = 484
    Ⅱ. 기판력의 본질 = 485
    Ⅲ. 기판력의 작용 = 491
    Ⅳ. 기판력이 있는 판결 = 495
    Ⅴ. 기판력의 범위 = 497
   제5관 그 외의 효력 = 525
    Ⅰ. 집행력 = 525
    Ⅱ. 형성력 = 527
    Ⅲ. 법률요건적 효력 = 528
    Ⅳ. 반사적 효력 = 529
  제5절 종국판결의 부수적 재판 = 531
   제1관 가집행선고 = 531
    Ⅰ. 의의 = 531
    Ⅱ. 요건 = 531
    Ⅲ. 절차 = 533
    Ⅳ. 효과 = 534
    Ⅴ. 가집행선고의 실효 = 535
   제2관 소송비용의 재판 = 541
  제6절 판결의 흠 = 546
   Ⅰ. 개설 = 546
   Ⅱ. 판결의 부존재 = 546
   Ⅲ. 판결의 무효 = 547
   Ⅳ. 판결의 편취(사위판결) = 548
제5편 복잡한 소송형태
 제1장 소송물의 복수
  제1절 소의 객관적 병합(청구의 병합) = 558
   Ⅰ. 의의 = 558
   Ⅱ. 요건 = 559
   Ⅲ. 병합의 모습 = 561
   Ⅳ. 심판 = 565
  제2절 청구의 변경 = 570
   Ⅰ. 의의 = 570
   Ⅱ. 청구의 변경의 범위 = 571
   Ⅲ. 청구변경의 모습 = 574
   Ⅳ. 요건 = 575
   Ⅴ. 절차 = 579
   Ⅵ. 심판 = 580
  제3절 중간확인의 소 = 581
   Ⅰ. 의의 = 581
   Ⅱ. 요건 = 582
   Ⅲ. 절차와 심판 = 583
  제4절 반소 = 584
   Ⅰ. 총설 = 585
   Ⅱ. 모습 = 587
   Ⅲ. 요건 = 588
   Ⅳ. 절차와 심판 = 591
 제2장 다수당사자소송
  제1절 공동소송 = 593
   제1관 개설 = 594
   제2관 통상공동소송 = 595
    Ⅰ. 의의 = 595
    Ⅱ. 요건 = 596
    Ⅲ. 심판 - 공동소송인독립의 원칙 = 597
   제3관 필수적 공동소송 = 603
    Ⅰ. 의의 = 604
    Ⅱ. 종류 = 604
    Ⅲ. 심판 = 608
    Ⅳ. 이론상 합일확정소송 = 610
   제4관 공동소송의 특수형태 = 612
    Ⅰ. 예비적ㆍ선택적 공동소송(소의 주관적ㆍ예비적 공동소송) = 612
    Ⅱ. 소의 주관적ㆍ추가적 병합(추가적 동동소송) = 616
  제2절 선정당사자 = 618
   Ⅰ. 의의 = 618
   Ⅱ. 선정의 요건 = 619
   Ⅲ. 선정의 성질 = 620
   Ⅳ. 선정방법과 시기 = 620
   Ⅴ. 선정의 효과 = 622
   Ⅵ. 선정의 위법 또는 무효의 효과 = 624
   Ⅶ. 선정당사자제도의 보완 - 집단분쟁의 처리를 위한 제도 = 624
  제3절 제3자의 소송참가 = 629
   제1관 총설 = 630
   제2관 보조참가 = 631
    Ⅰ. 의의 = 631
    Ⅱ. 요건 = 632
    Ⅲ. 절차 = 635
    Ⅳ. 보조참가인의 소송상의 지위 = 637
    Ⅴ. 참가인에 대한 판결의 효력 = 640
   제3관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 645
   제4관 독립당사자참가 = 649
    Ⅰ. 의의 = 649
    Ⅱ. 소송의 구조 = 650
    Ⅲ. 요건 = 652
    Ⅳ. 절차 = 658
    Ⅴ. 심판 = 659
    Ⅵ. 단일소송 또는 공동소송으로 환원 = 664
   제5관 공동소송참가 = 668
    Ⅰ. 의의 = 668
    Ⅱ. 요건 = 669
    Ⅲ. 참가절차 = 671
    Ⅳ. 효력 = 672
   제6관 소송고지 = 672
    Ⅰ. 의의 = 672
    Ⅱ. 요건 = 673
    Ⅲ. 절차 = 674
    Ⅳ. 효과 = 675
  제4절 당사자의 변경 = 676
   Ⅰ. 의의 = 676
   Ⅱ. 임의적 당사자변경 = 677
   Ⅲ. 소송승계 = 682
   Ⅳ. 제3자의 소송인입이른 = 692
제6편 상소심 소송절차
 제1장 총설
  Ⅰ. 상소의 의의 = 701
  Ⅱ. 상소제도의 목적 = 701
  Ⅲ. 상소의 종류 = 102
  Ⅳ. 상소의 요건 = 703
  Ⅴ. 상소의 효력 = 709
  Ⅵ. 상소의 제한 = 711
 제2장 항소
  제1절 총설 = 712
   Ⅰ. 의의 = 712
   Ⅱ. 항소심의 구조 = 713
   Ⅲ. 항소의 요건 = 714
  제2절 항소의 제기 = 714
   Ⅰ. 항소제기의 방식 = 714
   Ⅱ. 재판장의 항소장심사권 = 715
   Ⅲ. 항소제기의 효력 = 716
   Ⅳ. 항소의 취하 = 717
   Ⅴ. 부대항소 = 720
  제3절 항소심의 심리 = 722
  제4절 항소심의 종국재판 = 724
   Ⅰ. 항소각하 = 724
   Ⅱ. 항소기각 = 725
   Ⅲ. 항소인용 = 725
 제3장 상고
  Ⅰ. 총설 = 731
  Ⅱ. 상고이유 = 733
  Ⅲ. 상고심절차 = 736
  Ⅳ. 상고심의 심리 = 738
  Ⅴ. 상고심의 종국판결 = 743
 제4장 항고
  Ⅰ. 의의 = 749
  Ⅱ. 종류 = 749
  Ⅲ. 적용범위 = 751
  Ⅳ. 절차 = 751
  Ⅴ. 재항고 = 753
  Ⅵ. 특별항고 = 755
제7편 재심
 Ⅰ. 의의 = 761
 Ⅱ. 재심소송의 소송물 = 761
 Ⅲ. 적법요건 = 762
 Ⅳ. 재심사유 = 764
 Ⅴ. 절차 = 767
 Ⅵ. 준재심 = 768
찾아보기 = 7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