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임상심리학 제7판

임상심리학 제7판 (1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rull, Timothy J., 1960- 권정혜, 역 강연욱, 역 이훈진, 역 김은정, 역 정경미, 역
서명 / 저자사항
임상심리학 / Timothy J. Trull 지음 ; 권정혜 [외]옮김
판사항
제7판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8  
형태사항
668 p. : 삽화, 도표 ; 27 cm
총서사항
Psy series
원표제
Clinical Psychology (7td ed.)
ISBN
9788958324614
일반주기
색인수록  
역자: 권정혜, 강연욱, 이훈진, 김은정, 정경미  
일반주제명
Clinical psychology Psychotherapy
000 01068camcc2200373 c 4500
001 000045471770
005 20110826114425
007 ta
008 080731s2008 ulkad 001c kor
020 ▼a 9788958324614 ▼g 93180
035 ▼a (KERIS)BIB000011373783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89 ▼2 22
085 ▼a 616.89 ▼2 DDCK
090 ▼a 616.89 ▼b 2008a8
100 1 ▼a Trull, Timothy J., ▼d 1960- ▼0 AUTH(211009)137036
245 1 0 ▼a 임상심리학 / ▼d Timothy J. Trull 지음 ; ▼e 권정혜 [외]옮김
246 1 9 ▼a Clinical Psychology ▼g (7td ed.)
250 ▼a 제7판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08
300 ▼a 668 p. : ▼b 삽화, 도표 ; ▼c 27 cm
440 0 0 ▼a Psy series
500 ▼a 색인수록
500 ▼a 역자: 권정혜, 강연욱, 이훈진, 김은정, 정경미
650 0 ▼a Clinical psychology
650 0 ▼a Psychotherapy
700 1 ▼a 권정혜, ▼e▼0 AUTH(211009)88549
700 1 ▼a 강연욱, ▼e▼0 AUTH(211009)12269
700 1 ▼a 이훈진, ▼e▼0 AUTH(211009)131032
700 1 ▼a 김은정, ▼e
700 1 ▼a 정경미, ▼e▼0 AUTH(211009)114169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 2008a8 등록번호 1114932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 2008a8 등록번호 1114949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 2008a8 등록번호 1116385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7판은 최근의 동향을 반영하고 새로운 자료를 통해 임상심리학을 소개한다. 경험적으로 지지된 평가 방법과 치료법, 건강 관리 제도의 최근 동향, 문화, 성별, 인종적 고려점, 생물학적·유전적 관점의 영향, 임상심리학자로서 성공적으로 학생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진보적인 모델들을 탐색한다.

Clinical Psychology, 7/e

『임상심리학』 제7판은 최근의 동향을 반영하고 새로운 자료를 통해 임상심리학을 포괄적이면서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저명한 임상가, 연구자이자 교육자인 저자 Timothy J. Trull은 경험적으로 지지된 평가 방법과 치료법, 건강 관리 제도의 최근 동향, 문화, 성별 그리고 인종적 고려점, 생물학적·유전적 관점의 영향, 임상심리학자로서 성공적으로 학생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가장 진보적인 모델들을 탐색한다.

- 주제에 맞는 연구방법을 소개함으로써 독자에게 임상 실무에 대한 세부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단일피험자 관찰법으로 아동의 행동을 평가하고, 통제된 관찰법으로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패턴을 탐색한다.
- 임상심리학자들의 축어록과 프로파일을 포함한 많은 사례들을 제시함으로써 임상 현장에 있는 임상가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임상심리학 이해를 풍요롭게 한다.
- APA의 2002 심리학자의 윤리 행동 강령과 같은 전문적 윤리 지침을 소개하여 이 주제의 가장 최근 정보를 제공한다.
- 22명에 이르는 저명한 임상심리학자들의 프로필과 인터뷰 내용을 소개하여 이들의 업적과 비전을 생생하게 알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Timothy J. Trull(지은이)

2008년 현재 미주리-콜롬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의 교수로 이상심리학과 심리측정 등의 임상심리학 과목들을 가르치며, 대학원생들의 연구, 평가, 임상실습을 감독한다. 켄터키대학에서 임상심리학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적응적ㆍ비적응적 성격 특질을 평가하는 Structured Interview for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SIFFM)의 공저자이고 Psycho- logical Assessment의 부편집장이다.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Psychological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에 수많은 논문을 출판하였다. 2008년 현재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Research Foundation 등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아서, 경계선 성격장애의 원인 모델들을 평가하는 연구와 성격장애와 물질사용장애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 및 유전과 환경이 성격과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대학에서의 업무 이외에도 Midwest Alcoholism Research Center(MARC)의 교수를 겸임하며, 자신의 클리닉에서 환자를 진료한다. 2002년도에 켄터키대학교가 수여하는 Outstanding Alumnus상을 수상했고, 1993년에는 Robert S. Daniels Junior Faculty Teaching Award, 1992∼1993년에는 Psi Chi Professor of the Year를 받았다.

권정혜(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미국 UCLA대학 임상심리학 박사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회장 아시아인지행동치료학회 회장 세계인지행동치료학회 이사 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1급) 미국행동인지치료학회(ABCT) 정회원 미국 Acadmy of Cognitive Therapy 공인 슈퍼바이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임상심리학의 기초
 제1장 임상심리학 : 서론 = 3
  임상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4
  밀접하게 연관된 정신건강전문가 = 4
   정신과 의사 = 5
   상담심리학자 = 7
   기타 정신건강전문가 = 8
  임상심리학자 = 10
   임상심리학자의 활동 = 10
   취업 현장 = 16
   Karen C. 박사의 한 주간의 생활 = 16
   인구통계학적인 기록 = 18
   연구와 과학적 전통 = 18
   예술인가 과학인가? = 19
  수련: 임상적 정체성을 향하여 = 20
   개관 = 21
   임상 수련 프로그램 = 22
  대학원 프로그램 입학 = 25
   1단계: 프로그램 알기 = 25
   2단계: 지원 서류 = 28
   필수 자격요건 = 30
   변화하는 직업 = 31
   인구통계학적 특성 = 31
   수련 모델 = 31
   임상 활동 = 32
  모호함에 대한 인내와 새로운 지식에 대한 갈망 = 32
 제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개관 = 37
  역사적 뿌리 = 38
  진단과 평가 = 39
   초기(1850~1899년) = 39
   현대 시대의 도래(1900~1919년) = 40
   두 전쟁 사이(1920~1939년) = 40
   제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1940년~현재) = 42
  개입 = 45
   초기(1850~1899년) = 45
   현대 시대의 도래(1900~1919년) = 46
   두 전쟁 사이(1920~1939년) = 47
   제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1940년~현재) = 48
  연구 = 52
   초기(1850~1899년) = 52
   현대 시대의 도래(1900~1919년) = 52
   두 전쟁 사이(1920~1939년) = 52
   제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1940년~현재) = 52
  전문직업 = 55
   초기(1850~1899년) = 55
   현대 시대의 도래(1900~1919년) = 56
   두 전쟁 사이(1920~1939년) = 58
   제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1940~1969년) = 58
   전문직업(1970년~현재) = 60
   1988년의 분열 = 61
 제3장 임상심리학의 최근 쟁점 = 67
  임상심리학의 훈련모델 = 68
   과학자-임상가 = 68
   심리학 박사학위 = 69
   전문대학원 = 70
   임상 과학자 모델 = 71
   통합 임상가-전문가 훈련 프로그램 = 72
   대학원 프로그램: 과거와 미래 = 73
  전문가 규정 = 73
  개업 = 77
  독립성과 경제력 = 78
  건강관리 개혁 = 79
  처방권 = 83
  문화적으로 민감한 정신건강 서비스 = 88
  윤리기준 = 89
   전문가적 유능성 = 90
   사생활 보호와 비밀 보장 = 90
   인간관계 = 93
 제4장 한국 임상심리학의 역사와 현황 = 97
  한국 임상심리학의 역사 = 98
   임상심리학의 개척기(1945~1972년) = 98
   임상심리학의 정착기(1973~1994년) = 99
   임상심리학의 확장기(1995년~현재) = 103
   임상심리전문가의 수적인 증가 = 104
  국내 임상심리학의 현황 = 108
   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 활동현황 = 108
   30대 임상심리학자 L씨의 한 주간의 일정 = 111
   임상심리전문가가 되기까지의 교육과 수련과정 = 114
   임상심리학회지에 나타난 연구동향 = 116
  한국 임상심리학이 나아갈 방향 = 116
 제5장 임상심리학의 연구 방법 = 121
  연구 목적 = 122
  연구 방법 = 113
   관찰 = 124
   역학 연구 = 128
   상관법 = 130
   횡단 대 종단 접근 = 134
   실험법 = 136
   단일 사례 설계 = 141
   혼합 설계 = 145
  통계적 유의성 대 임상적 유의성 = 145
  연구와 윤리 = 146
 제6장 심리적 문제의 진단과 분류 = 155
  이상행동이란 무엇인가? = 157
   규범에 대한 동조 : 통계적 희귀성 또는 사회적 규범 위반 = 157
   주관적 고통 = 162
   무능력 또는 역기능 = 164
   잠정적 결론 = 165
  정신질환 = 166
   진단의 중요성 = 166
   초기 분류체계 = 168
  DSM-Ⅳ-TR = 169
  분류의 제문제 = 171
  이상행동과 정신질환의 원인 = 177
  분류의 가치 = 178
제2부 임상평가
 제7장 평가면접 = 183
  임상심리학에서의 평가 = 184
   정의와 목적 = 184
   의뢰 = 186
   임상가가 의뢰 질문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른 영향 = 186
  면접 = 186
   면접의 일반적 특징 = 187
   면접의 본질과 기술 = 189
   라포 = 191
   의사소통 = 192
   환자의 참조 틀 = 196
   임상가의 참조 틀 = 196
  면접의 다양성 = 197
   초기면접 = 198
   개인병력면접 = 199
   정신상태검사면접 = 201
   위기면접 = 202
   진단적 면접 = 203
  면접의 신뢰도와 타당도 = 203
   신뢰도 = 206
   타당도 = 210
   신뢰도와 타당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안 = 212
  면접의 예술성과 과학성 = 213
 제8장 지능평가 = 217
  지능평가 : 어제와 오늘 = 218
  지능의 개념 = 219
   신뢰도와 타당도 = 220
   지능의 정의 = 222
   지능의 이론들 = 224
  IQ : 그 의미와 관련된 것들 = 227
   IQ = 227
   IQ와 관련된 것들 = 227
   IQ 점수의 유전성과 안정성 = 229
  지능의 임상적 평가 = 231
   Stanford-Binet 검사 = 231
   Wechsler 검사 = 234
   WAIS-Ⅲ = 235
   WISC-Ⅳ = 239
   지능검사의 임상적 이용 = 241
   마지막 관찰과 결론 = 243
 제9장 성격평가 = 247
  객관형 검사 = 249
   장점 = 249
   단점 = 250
   객관형 검사의 구성 방법 = 250
   MMPI와 MMPI-2 = 253
   MMPI와 MMPI-2에 대한 요약 평가 = 260
   개정판 NEO 성격검사 = 262
  투사 검사 = 265
   투사 검사의 본질 = 267
   측정과 표준화 = 268
   Rorschach = 268
   주제통각검사 = 274
   문장완성검사 = 278
  착각 상관 = 278
  증분 타당도와 유용성 = 279
  검사의 사용과 남용 = 280
 제10장 행동평가 = 287
  행동적 전통 = 288
   표본 대 징후 = 288
   기능 분석 = 288
   진행과정으로서의 행동평가 = 290
  행동면접 = 293
  관찰법 = 294
   자연 관찰 = 294
   자연 관찰의 사례 = 295
   통제된 관찰 = 298
   통제된 수행 기술 = 299
   자기 감찰 = 301
   관찰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 303
   관찰의 타당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 305
   관찰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 = 307
   자료 습득에서의 현대적 추세 = 307
  역할-놀이 = 309
 척도와 체크리스트 = 310
 인지행동 평가 = 310
 행동평가의 강점과 약점 = 312
 제11장 임상적 판단 = 317
  임상적 판단의 절차와 정확성 = 318
   해석 = 318
   이론과 해석 = 321
   수량적 접근과 주관적 접근 = 322
   통계적 접근의 장점 = 324
   임상적 접근의 장점 = 326
   임상적 접근과 자료통계적 접근의 비교 = 327
   결론 = 334
  임상적 판단과 해석을 향상시키기 = 335
   정보처리 = 335
   과잉해석 경향 = 335
   타당화와 기록 남기기 = 335
   모호한 보고서, 개념, 그리고 준거 = 336
   예측의 효과 = 336
   모르는 상황에 대한 예측 = 336
   오류가 있는 예측 원리 = 337
   전형화된 신념의 영향 = 337
   "내가 사례 회의에 참가하지 않는 이유" = 337
  의사소통: 임상 보고서 = 338
   의뢰 경위 = 339
   의사소통 돕기 = 339
제3부 임상적 개입
 제12장 심리적 개입 = 349
  개입의 정의 = 350
  심리치료는 도움이 되는가? = 351
  변화 가능한 문제는 무엇인가? = 352
  많은 치료에 존재하는 공통요인 = 353
  특수 치료요인들의 특징 = 359
   환자 혹은 내담자 = 359
   치료자 = 364
  임상적 개입의 과정 = 368
   초기면접 = 369
   평가 = 370
   치료의 목표 설정 = 370
   치료의 이행 = 371
   종결, 평가 및 추수 회기 = 371
  변화의 단계 = 374
  심리치료 연구 = 376
   심리치료 연구에서의 쟁점 = 377
   비교 연구 = 378
   치료과정 연구 = 381
   최신 경향 = 382
  일반적 결론 = 385
 제13장 심리치료 : 정신역동적 접근 = 391
  정신분석 : 서론 = 392
   Anna O. = 392
   Freud 학파의 시각 : 간략한 개요 = 394
   이론에서 적용까지 = 397
   통찰의 역할 = 398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의 기법 = 399
   자유연상 = 399
   꿈의 분석 = 399
   일상의 정신병리 = 400
   저항 = 401
   전이 = 403
   해석 = 404
  정신분석의 대안들 = 406
   자아 분석 = 407
   현대의 다른 발전들 = 407
   단기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 407
   대인관계 심리치료 : 경험적으로 지지되는 치료 = 410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의 평가 요약 = 410
   정신역동적 심리치료가 효과가 있는가? = 410
   해석과 통찰 = 412
   치료요인 = 414
   행동에 대한 강조 부족 = 414
   심리치료의 경제성 = 415
 제14장 심리치료 : 현상학적, 인본주의ㆍ실존주의적 접근 = 419
  내담자중심치료 = 420
   기원 = 420
   현상학적 세계 = 420
   이론적 명제 = 421
   핵심 특징 = 423
   치료과정 = 425
   진단 = 426
   기타 적용 = 428
   맺음말 = 428
  인본주의ㆍ실존주의 운동 = 431
   인본주의 = 431
   실존치료 = 431
   의미치료 = 434
   게슈탈트치료 = 435
  과정ㆍ체험적 치료 = 439
  현상학적 치료 및 인본주의ㆍ실존주의 치료에 대한 요약 평가 = 440
   강점 = 440
   비판 = 441
 제15장 심리치료 : 행동적 접근과 인지행동적 접근 = 447
  행동치료의 기원 = 448
   정의 = 448
   간단한 역사 = 448
  행동치료의 전통적 기법 = 450
   치료관계 = 450
   다양한 치료 스펙트럼 = 450
   체계적 둔감법 = 452
   노출치료 = 456
   행동 시연 = 457
   유관성 관리 = 460
   혐오치료 = 461
  인지행동치료 = 463
   배경 = 463
   모델링 = 465
   합리적 재구조화 = 466
   스트레스 면역 훈련 = 467
   Beck의 인지치료 = 468
   변증법적 행동치료 = 469
  행동치료의 평가 = 471
   장점 = 471
   비판 = 476
   미래 = 481
 제16장 집단치료, 가족치료, 부부치료 = 485
  집단치료 = 486
   역사적 관점 = 486
   집단치료에 대한 접근 = 487
   준비와 구성 = 492
   치료 요소 = 495
   집단치료는 효과적인가? = 496
   집단치료의 미래 = 496
  가족치료와 부부치료 = 497
   가족치료의 발전 = 497
   의사소통의 개념 = 498
   형태와 방법 = 498
   합동 가족치료 = 500
   다른 가족치료들 = 501
   언제 가족치료를 하나? = 502
   부부치료 = 503
   가족치료와 부부치료는 효과적인가? = 505
   특수한 문제들 = 507
제4부 임상심리학의 전문 영역
 제17장 지역사회심리학 = 513
  관점과 역사 = 514
   지역사회심리학 관점 = 515
   연대기와 촉진적 사건들 = 515
  핵심 개념 = 518
   생태학적 분석 수준 = 518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개념 = 520
   예방의 개념 = 521
   능력부여 = 525
   다양성 = 527
   사회적 개입의 개념 = 527
  개입과 변화의 방법 = 528
   자문 = 528
   입원에 대한 지역사회 대안 = 530
   초기 아동기 개입 = 530
   자조 = 531
   준전문가 = 533
  맺음말 = 534
   효과에 대한 의문 = 534
   가치, 권력, 그리고 시민권 = 535
   지역사회심리학자 훈련 = 535
   관리의료의 시대 = 536
   예방의 미래 = 537
 제18장 건강심리학과 행동의학 = 541
  역사와 조망 = 542
   정의 = 542
   역사 = 543
   스트레스, 생활양식과 행동, 성격,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련성 = 545
   적용 범위 = 551
  개입 방법 = 551
   반응적 방법 = 551
   조작적 방법 = 553
   인지행동적 방법 = 154
   바이오피드백 = 556
  건강 문제의 예방 = 557
   흡연 = 557
   알코올 남용과 의존 = 558
   비만 = 559
  기타 적용 = 562
   의학적 절차에 대처하기 = 562
   처방에 따르는 순응 = 563
  건강심리학 : 미래에 대한 전망 = 566
   건강관리 추세 = 566
   훈련 쟁점 = 566
   다른 도전들 = 567
 제19장 신경심리학 = 573
  조망과 역사 = 574
   정의 = 574
   신경심리학자의 역할 = 574
   신경심리학의 역사 = 575
  뇌: 구조, 기능과 손상 = 578
   구조와 기능 = 578
   두뇌 손상의 선행사건과 원인 = 579
   신경학적 손상의 결과와 증상 = 581
   뇌ㆍ행동 관계 = 582
  신경심리학적 평가 방법 = 584
   주요 접근방법 = 584
   신경심리학적 검사 결과의 해석 = 584
   신경진단적 절차 = 585
   인지기능의 검사영역 = 586
   검사 배터리 = 589
   신경심리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591
  개입과 재활 = 592
  결론짓는 말 = 593
   훈련 = 593
   미래 = 594
 제20장 법정심리학 = 599
  조망과 역사 = 600
   정의 = 600
   역사 = 600
   전문적 쟁점 = 602
  법정심리학자들의 주요한 활동 = 604
   전문가 증인 = 604
   형사사건 = 607
   민사사건 = 609
   환자들의 권리 = 611
   위험성 예측 = 612
   심리치료 = 614
   자문 = 615
   연구와 법정심리학 = 616
 제21장 소아심리학과 아동임상심리학 = 621
  정의, 역사, 관점 = 622
   정의 = 622
   역사 = 623
   발달적 관점 = 625
   탄력성 = 625
  주요 활동 = 626
   일반적인 문제들 = 626
   평가 = 629
   개입 = 637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심리적 개입이 효과적인가? = 641
   정신약리학적 치료 = 642
   예방 = 644
   자문 = 645
   수련 = 648
  아동임상심리학과 소아심리학의 미래 = 649
찾아보기 = 653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3)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23)
대한일차의학회 (2022)
대한당뇨병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