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인간과 언어
1.1 인간 언어의 특성 = 13
1.2 인간 언어의 기능 = 19
1.3 문법이론의 진화 = 21
1.3.1 전통문법 = 21
1.3.2 구조문법 = 22
1.3.3 생성문법 = 23
1.4 영어학과 영문법 = 25
제2장 음성학(Phonetics)
2.1 음성학의 정의 및 세부 영역 = 30
2.2 국제음성부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 31
2.3 발성기관(Speech Organ) = 38
2.4 말소리의 분류(Classification of Speech Sound) = 40
2.4.1 영어 자음의 분류(Classification of English Consonant) = 41
2.4.1.1 유무성(Voicing)에 따른 분류 = 41
2.4.1.2 조음위치(Place of Articulation)에 따른 분류 = 43
2.4.2 영어 모음의 분류(Classification of English Vowel) = 50
2.4.2.1 혀의 높낮이(Tongue Height)에 따른 분류 = 51
2.4.2.2 혀의 앞, 뒤 움직임(Tongue Backness)에 따른 분류 = 52
2.4.2.3 혀의 긴장도(Tenseness)에 따른 분류 = 52
2.4.2.4 원순성(Roundness)에 따른 분류 = 55
2.4.3 이중모음(Diphthong) = 56
2.4.4 기준모음(Cardinal Vowel) = 57
2.5 음성자질에 따른 분류 = 59
2.5.1 자질의 필요성 = 59
2.5.2 자질에 따른 분류 = 61
2.5.2.1 영어자음의 자질 = 61
2.5.3.2 영어모음의 자질 = 67
2.6 초분절음(Suprasegmental) = 71
2.6.1 강세(Stress) = 72
2.6.2 길이(Length) = 72
2.6.3 음절(Syllable) = 73
2.6.4 음조(Pitch) = 73
제3장 음운론 (Phonology)
3.1 음소(Phoneme) = 82
3.2 음소(Phoneme)와 이음(Allophone)의 구별 = 85
3.3 음운규칙(Phonological Rule) = 94
3.4 영어음운현상 = 96
3.4.1 기음(Aspiration) = 96
3.4.2 음운동화(Assimilation) = 100
3.4.2.1 조음위치동화(Place Assimilation) = 101
3.4.2.2 유무성동화(Voice Assimilation) = 102
3.4.2.3 비음화(Nasalization) = 105
3.4.2.4 원순동화(Lip Attitude Assimilation) = 106
3.4.2.5 상호동화(Reciprocal Assimilation) 또는 음운융합(Coalescence) = 106
3.4.3 모음 장음화(Vowel Lengthening) = 107
3.4.4 음운탈락(Elision) = 108
3.4.5 음운삽입(Insertion) = 109
3.5 음절(Syllable) 및 음소배열규칙(Phonotactics) = 110
3.5.1 음절(Syllable) = 110
3.5.1.1 음절의 구조 = 111
3.5.1.2 음절화(Syllabification) = 114
3.5.1.3 음절과 음운현상 = 116
3.5.2 음소배열규칙(Phonotactics) = 118
3.5.2.1 음절내의 음소 수 = 119
3.5.2.2 음절전부의 제약 = 120
3.5.2.3 음절후부의 제약 = 122
3.5.2.4 공명성(Sonority) = 124
3.6 초분절음(Suprasegmental) = 127
3.6.1 강세(Stress) = 127
3.6.2 억양(Intonation) = 130
3.6.2.1 하강억양(Falling Intonation) = 131
3.6.2.2 상승억양(Rising Intonation) = 132
제4장 형태론(Morphology)
4.1 형태소(Morpheme) 이형태(Allomorph) = 143
4.2 형태소의 종류(Types of Morphemes) = 146
4.2.1 파생형태소(Derivational Morpheme)와 굴절형태소(Inflectional Morpheme) = 146
4.2.2 자립형태소(Free Morpheme)와 의존형태소(Bound Morpheme) = 150
4.2.3 어근(Root), 어기(Base), 어간(Stem)과 접사(Affix) = 151
4.3 형태소 결합 순서와 단어 구조 = 153
4.4 형태소 분류의 문제점 = 158
4.5 형태론(Morphology)과 음운론(Phonology) 관계 = 161
4.6 어휘형성방법 = 165
4.6.1 파생(Derivation) = 165
4.6.2 품사전환(Category Extension) 또는 영파생(Zero Derivation) = 166
4.6.3 복합어(Compound) = 168
4.6.4 두문자어(Acronym) = 169
4.6.5 절단어(Clipping 또는 Clipped Form) = 170
4.6.6 혼합어(Blending) = 170
4.6.7 역형성어(Back Formation) = 171
4.6.8 근원생성(Root Creation) = 172
4.7 상식과 논리가 통하지 않는 영어 단어 = 172
제5장 어휘론: 단어의 형태와 의미 기능
5.1 사전과 어소 = 179
5.2 단어와 문법 범주 = 181
5.2.1 단어의 개념 = 181
5.2.2 품사의 범주와 특성 = 183
5.2.2.1 명사 = 183
5.2.2.2 동사 = 188
5.2.2.3 형용사 = 192
5.2.2.4 부사 = 197
5.2.2.5 전치사 = 201
5.2.2.6 대명사 = 204
5.2.2.7 한정사 = 209
5.3 어휘의미론: 단어의 의미 = 213
5.3.1 동의어와 동음이의어 = 213
5.3.2 반의어 = 215
5.3.3 단어의 의미의 구성성분 = 217
5.3.4 단어의 비유적 의미 = 219
5.3.5 단어의 의미와 문맥 = 220
5.3.6 지시적 의미 = 221
5.3.7 연상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 222
5.4 어휘의 확장 = 222
5.4.1 어휘의 차용 = 222
5.4.2 혼합어와 두문자어 = 223
5.4.3 신조어 = 224
5.4.4 시간 속의 단어 변화 = 224
5.4.5 방언 = 226
제6장 통사론(Ⅰ): 단문의 구조
6.1 단일구 = 229
6.1.1 구의 세 가지 식별법 = 229
6.1.2 머리어와 수식어 = 231
6.1.3 명사구와 대명사 = 235
6.1.4 형용사구 = 240
6.1.5 부사구 = 242
6.1.6 전치사구 = 243
6.1.7 동사구 = 246
6.2 문장 구성성분의 기능 = 256
6.2.1 주어 = 256
6.2.2 술어와 동사 = 257
6.2.3 목적어 = 258
6.2.4 자동사의 보어 = 260
6.2.5 타동사의 보어 = 260
6.3 몇 가지 핵심적인 통사적 주제들 = 261
6.3.1 동사의 의미구조와 의미역 = 261
6.3.1.1 주어의 의미역 = 262
6.3.1.2 목적어의 의미역 = 264
6.3.2 능동문과 수동문 = 265
6.3.2.1 수동문의 일반 구조 = 265
6.3.2.2 get-수동문 = 268
6.3.2.3 have-수동문 = 269
6.3.2.4 수동문과 심리 동사 = 269
6.3.2.5 수동문과 상태동사 = 270
6.3.2.6 수동문과 소유동사 = 270
6.3.2.7 수동분사와 형용사 = 271
6.3.2.8 유사 수동문 = 271
6.3.2.9 수동문과 담화기능 = 272
6.3.2.10 비정형문의 수동문 = 273
6.3.3 There-구문 = 274
제7장 통사론(Ⅱ): 복문의 구조
7.1 복합구와 복합절 = 279
7.1.1 복합구 = 279
7.1.2 복합절 = 281
7.1.3 관계절 = 284
7.1.4 등위구조 = 286
7.1.5 비정형구문 = 288
7.2 구성성분의 이동과 통사적 관련성 = 291
7.2.1 평서문과 의문문 = 291
7.2.2 평서문과 부정문 = 294
7.2.3 공범주와 통사적 관련성 = 296
7.2.4 it-강조구문 = 297
7.2.5 what-강조구문 = 298
7.2.6 외치구문과 it-후조응사 = 299
7.2.7 도치구문의 유형 = 300
참고문헌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