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데이터통신의 이해

데이터통신의 이해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진욱, 저 안성진, 저 김현철, 저 한정수, 저
Title Statement
데이터통신의 이해 = Data communications principles / 정진욱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생능출판사,   2008  
Physical Medium
605 p. : 삽화 ; 27 cm
ISBN
9788970505886
General Note
공저자: 안성진, 김현철, 한정수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470903
005 20170530152104
007 ta
008 080822s2008 ggka 001c kor
020 ▼a 9788970505886 ▼g 93560
035 ▼a (KERIS)BIB000011225938
040 ▼a 248003 ▼d 244002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04.6 ▼2 22
085 ▼a 004.6 ▼2 DDCK
090 ▼a 004.6 ▼b 2008z7
245 0 0 ▼a 데이터통신의 이해 = ▼x Data communications principles / ▼d 정진욱 [외]공저
260 ▼a 파주 : ▼b 생능출판사, ▼c 2008
300 ▼a 605 p. : ▼b 삽화 ; ▼c 27 cm
500 ▼a 공저자: 안성진, 김현철, 한정수
500 ▼a 색인수록
700 1 ▼a 정진욱, ▼e
700 1 ▼a 안성진, ▼e
700 1 ▼a 김현철, ▼e
700 1 ▼a 한정수,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004.6 2008z7 Accession No. 1512606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진욱(지은이)

1974년 성균관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79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공학과 졸업(공학석사)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졸업(이학박사) <주요경력> 1973~198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실장 1992~1993년 미국 Maryland 대학교 객원교수 1997~1998년 컴퓨터 침해사고 대응팀 협의회(CONCERT) 운영위원장 2002~2002년 한국정보처리학회 회장 1985~2011년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2007~2010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2009~2015년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회장 2011~현재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명예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장 데이터통신의 개요
 1.1 정의 = 16
  (1)데이터통신의 정의 = 16
  (2)데이터통신의 목표 = 20
  (3) 정보통신의 분류 = 21
 1.2 구성요소 = 25
 1.3 프로토콜 = 30
  (1)주요 요소 = 30
  (2)전송 방식 = 31
  (3)프로토콜의 기능 = 32
  (4)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류 = 34
 1.4 네트워크의 기본개념 = 37
  (1)네트워크의 정의 = 37
  (2)네트워크의 장점 및 이용분야 = 38
  (3)네트워크의 분류 = 40
 1.5 표준기구/표준안 = 40
  핵심요약 = 48
  연습문제 = 49
  참조사이트 = 51
  참고문헌 = 51
2장 데이터통신의 기본개념
 2.1 회선구성 = 54
  (1)점대점(point-to-point)방식 = 55
  (2)다중점 (Multi-point)방식 = 56
  (3)교환(Switching)방식 = 57
 2.2 전송기술의 종류와 특성 = 63
  (1)단방향과 양방향 전송 = 63
  (2)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송 = 65
  (3)직렬 및 병렬 전송 = 67
  (4)비동기식 및 동기식 전송 = 68
 2.3 토폴로지 = 71
  (1)버스(Bus)방식 = 72
  (2)링(Ring) 방식 = 73
  (3)스타(star)방식 = 74
  (4)트리(Tree)방식 = 75
  (5)메쉬(Mesh)방식 = 76 
 2.4 네트워크 = 777
  (1)네트워크 정의 = 77
  (2)네트워크 구성요소 = 78
  (3)네트워크 구성 방식 = 84
  (4)네트워크 분류 = 86
  (5)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 = 88
  핵심요약 = 90
  연습문제 = 91
  참조사이트 = 93
  참고문헌 = 93
3장 전화의 이해
 3.1 전화의 역사 = 97
 3.2 전화망의 구성 = 104
  (1)전화망의 진화단계 = 105
  (2)전화망에 사용되는 통신매체 = 107
  (3)전화망에 사용되는 시설 = 108
  (4)전화망의 계층 구성 = 115
 3.3 전화망의동작과 신호방식 = 120
  (1)전화망의 동작 = 120
  (2)다이얼링(dialing)방식 = 124
  (3)신호(signaling)방식 = 127
 핵심요약 = 137
 연습문제 = 139
 참조사이트 = 142
 참고문헌 = 143
4장 OSI 참조모델
 4.1 OSI 참조 모델 = 147
  (1)모델 = 147
  (2)계층 구조 = 148
  (3)피어-투-피어(Peer-To-Peer)간의 통신 = 150
  (4)상하 계층 간의 통신 = 151
  (5)계층 간 통신의 실례 = 154
 4.2 물리계층 = 156
  (1)특성 = 156
  (2)역할 = 156
 4.3 데이터링크 계층 = 159
  (1)특성 = 159
  (2)역할 = 160
  (3)데이터전송 = 161
 4.4 네트워크 계층 = 162
  (1)특성 = 162
  (2)역할 = 163
  (3)데이터 전송 = 164
 4.5 전송계층 = 166
  (1)특성 = 166
  (2)역할 = 167
 4.6 세션계층 = 168
  (1)특성 = 169
  (2)역할 = 169
 4.7 표현계층 = 170
  (1)특성 = 170
  (2)역할 = 171
 4.8 응용계층 = 172
  (1)특성 = 172
  (2)역할 = 173
  핵심요약 = 176
  연습문제 = 178
  참조사이트 = 183
  참고문헌 = 183
5장 5장 신호
 5.1 신호 = 187
  (1)신호의 종류 = 187
  (2)신호의 형태 = 189
 5.2 아날로그 신호 = 191
  (1)아날로그 신호의 특징 = 191
  (2)주파수 스펙트럼과 대역폭 = 196
 5.3 디지털 신호 = 203
  (1)디지털 신호의 특징 = 203
  (2)디지털 신호의 분해 = 205
 5.4 채널용량 = 206
  (1)채널용량 = 207
  (2)데시벨(Decibel) = 209
  핵심요약 = 214
  연습문제 = 215
  참조사이트 = 218
  참고문헌 = 218
6장 신호변환과 신호변환기
 6.1 디지털-디지털 부호화 = 221
  (1)단극형(Unipolar) = 222
  (2)극형(Polar) = 223
  (3)양극형(Bipolar) = 228
  (4)신호변환기(Signal Conversion Device) = 231
 6.2 디지털-아날로그 부호화 = 233
  (1)진폭편이변조(ASK) = 235
  (2)주파수편이변조(FSK) = 236
  (3)위상편이변조(PSK) = 237
  (4)구상진폭변조(QAM) = 238
  (5)신호변환기 = 240
 6.3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 = 252
  (1)펄스코드변조(PCM) = 252
  (2)신호변환기 = 258
 6.4 아날로그-아날로그 부호화 = 258
  (1)진폭변조(AM)방식 = 259
  (2)주파수변조(FM)방식 = 260
  (3)위상변조(PM)방식 = 260
  (4)신호변환기 = 261
  핵심요약 = 262
  연습문제 = 264
  참조사이트 = 268
  참고문헌 = 268
7장 기기 간의 접속규격
 7.1 DTE-DCE 인터페이스 = 270
  (1)DTE(Data Terminal Equipment) = 271
  (2)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 271
  (3)표준 = 272
  (4)EIA-232 인터페이스 = 274
  (5)Null 모뎀 = 278
 7.2 고속 인터페이스 = 280
  (1)EIA-449 = 280
  (2)EIA-530 = 285
  (3)X.21 = 285
  (4)V.35 = 288
  (5)HSSI(High-Speed Serial Interface) = 288
 7.3 기타 인터페이스 = 291
  (1)USB(Universal Serial Bus) = 292
  (2)IEEE 1394
  (3)HIPPI(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 = 299
  (4)RS 232/422/485 = 300
  핵심요약 = 307
  연습문제 = 309
  참조사이트 = 312
  참고문헌 = 312
8장 전송매체
 8.1 유선매체 = 314
  (1)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Twisted-Pair Cable) = 315
  (2)동축케이블(Coaxial Cable) = 320
  (3)과에이블(Optical-fiber Cable) = 322
  (4)유선매체의 비교 = 329
 8.2 무선매체 = 329
  (1)방송용 무선 라디오파(Radio Frequency Wave) = 330
  (2)특성 = 330
  (3)지상 마이트로파(Terrestrial Microwave) = 331
  (4)위성 마이크로파(Satellite Microwave) = 333
 8.3 전송경로 = 341
  (1)동적인 불완전성(Fortuitous Distortion) = 341
  (2)정적인 불완전성(Systematic Distortion) = 348
  (3)주파수편이(Frequency Offset) = 353
  (4)바이어스와 특성 왜곡 = 354
  핵심요약 = 356
  연습문제 = 356
  참조사이트 = 364
  참고문헌 = 364
9장 전송 효율화 기술
 9.1 개요 = 366
 9.2 다중화 기법 = 367
  (1)주파수 분할 다중화(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 = 368
  (2)시분할 다중화(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방식 = 370
  (3)코드 분할 다중화(CDM:Code Division Multiplexing)방식 = 376
  (4)역다중화(Inverse Multiplexing) = 380
 9.3 다중화 응용(디지털 서비스의 계층구조) = 382
  (1)디지털 서비스 계층 구조 = 382
  (2)DSL(Digital Subscriber Line) = 387
  (3)SONET/SDH = 393
  (4)파장 분할 다중화(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399
 9.4 데이터 압축 = 404
  (1)압축 기법 분류방식 = 404
  (2)데이터 압축 기법 = 405
  (3)정지/동영상 압축 기법 = 410
  핵심요약 = 415
  연습문제 = 418
  참조사이트 = 421
  참고문헌 = 421
10장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10.1 오류 제어(Error Control) = 425
  (1)오류 검출(Error Detection) = 425
  (2)오류 복구(Error Recovery) = 442
  (3)전진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448
  (4)오류 복구 및 정정 기법의 응용 = 458
 10.2 흐름 제어(Flow Control) = 460
  (1)Xon/Xoff = 461
  (2)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 = 462
  (3)Sliding-window(연속적ARQ) = 463
  핵심요약 = 467
  연습문제 = 469
  참조사이트 = 472
  참고문헌 = 472
11장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11.1 회선제어방식= 474
  (1)회선경쟁선택(Contention)방식 = 475
  (2)폴링/셀렉션(Polling/Selection) = 477
 11.2 비동기식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 481
  (1)정의 = 481
  (2)특징 = 482
  (3)종류 = 482
 11.3 동기식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 484
  (1)정의 = 484
  (2)문자중심 데이터링크 프로토콜(Character-oriented Data Link Protocol) = 485
  (3)비트중심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Bit-oriented Data Link Protocol) = 489
 11.4 그 밖의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 = 506
  (1)HDLC응용 프로토콜 = 506
  (2)SLIP(Serial Line IP) = 507
  (3)PPP(Point to Point Protocol) = 510
  핵심요약 = 513
  연습문제 = 516
  참조사이트 = 519
  참고문헌 = 519
12장 무선랜과 무선통신의 기술
 12.1 무선랜과 무선통신 개요 = 522
  (1)정의 = 522
  (2)특징 = 524
 12.2 무선랜의 분류 = 524
  (1)전송매체별 분류 = 524
  (2)토폴로지별 분류 = 528
 12.3 무선랜 전송 기술 = 529
  (1)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 529
  (2)무선랜 매체 제어 방식;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ance) = 538
 12.4 IEEE802.11 = 552
  (1)IEEE 803.11구조 = 553
  (2)IEEE 802.11프레임 포맷 = 555
  (3)주소 메커니즘 = 560
  (4)IEEE 802.11 무선랜 종류 = 562
 12.5 무선랜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 = 565
  (1)AP = 565
  (2)무선랜 카드 = 567
  (3)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 무선 분산 시스템) = 569
 12.6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 = 571
  (1)Bluetooth = 572
  (2)UWB(Ultra WideBand) = 575
  (3)Zigbee = 580
 12.7 Wibro = 586
  (1)Wibro와 WiMax = 586
  (2)Wibro와 HSDPA = 589
 핵심요약 = 592
 연습문제 = 594
찾아보기 = 5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Culkin, John, (Software architect) (2023)
Nielsen, Michael A. (2022)
Dejonghe, Derek (2022)
Shrivastava, Saurabh (2022)
Qureshi, Hamid Mahmoo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