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논의의 쟁점과 과제/변창흠=3,7,1
1. 들어가는 말=3,7,2
2. 수도권 정책의 변천과 규제의 한계=4,8,5
3. 신행정수도 건설에 대한 타당성 논의의 검토=8,12,4
4. 신행정수도 건설방안에 관한 주요쟁점의 검토=12,16,9
5.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서 신행정수도 건설의 한계와 과제=21,25,3
참고문헌=23,27,2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이동수=25,29,1
I. 서론=25,29,2
II. 행정수도이전에 관한 선행연구=26,30,2
III. 행정수도이전에 따른 경제적 효과=27,31,11
IV. 효율적 행정수도 이전을 위한 제언=37,41,3
V. 결론=39,43,1
참고자료=40,44,1
부록=41,45,2
김대중 정부 장관들의 리더십 특징:한국관료들은 장관의 현상유지적 리더십보다 전환가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선호하는가?/정광호;함성득;박동서=43,47,1
I. 서론=43,47,2
II. 선행문헌의 검토=44,48,6
III. 분석자료=49,53,1
IV. 본 연구의 분석모형=49,53,6
V. 분석결과=54,58,10
VI. 결론=64,68,3
참고문헌=66,70,3
미국 주정부 노사관계 연구:협력과 공존의 방안 모색/조경호=69,73,1
I. 서론:연구의 의의 및 체계=69,73,3
II. 노사관계의 협력이론:분석틀의 설정=71,75,5
III. 미국 주정부 단체 활동 수준 분석=75,79,6
IV. 인디아나폴리스시의 노사협력 사례=80,84,6
V. 결론 및 함의=85,89,3
참고문헌=88,92,3
차별보상정책과 미국 관료제의 여성 대표성:차별보상정책을 통한 대표관료제의 달성 수준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김혁=91,95,1
I. 서론=91,95,2
II. 대표관료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92,96,6
III. 대표관료제적 맥락에서의 여성 대표성:실상과 문제점=98,102,7
IV. 결론=104,108,2
참고문헌=106,110,5
블랙스버그 선언(Blacksburg Manifesto):행정의 정당성과 권력분립을 위한 행정가의 역할/김동원=111,115,1
I. 서론=111,115,1
II. 블랙스버그 선언의 역사적 배경=111,115,3
III. 블랙스버그 선언의 내용=113,117,7
IV. 논의의 종합=119,123,3
V. 비평과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121,125,5
VI. 결론=125,129,2
참고문헌=126,130,3
우리나라 공직자윤리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윤태범=129,133,1
I. 서론=129,133,1
II. 공직윤리와 공직자윤리법=129,133,7
III. 우리나라 공직자윤리법의 제정과 개정과정=135,139,5
IV. 현행 공직자윤리법의 문제점=140,144,4
V. 공직자윤리법의 개정방향=144,148,6
VI. 결론=150,154,1
참고문헌=150,154,3
한국 연금개혁의 주요 이슈와 제도개혁대안:명목확정기여방식을 중심으로/양재진=153,157,1
I. 서론=153,157,2
II. 연금개혁의 3대 모형=154,158,6
III. 한국 연금개혁의 주요 이슈와 대안=159,163,11
IV. 결론=169,173,2
참고문헌=170,174,5
지방정부에 대한 중앙정부의 재정통제:지방자치제 전ㆍ후를 중심으로/김상헌=175,179,1
I. 서론=175,179,1
II. 모형=176,180,4
III. 실증분석=179,183,5
IV. 결론=183,187,1
참고문헌=183,187,2
지식정부 구축을 위한 지식행정에 관한 개념적 연구:경험적 접근을 위한 준비/김구=185,189,1
I. 서론=185,189,2
II. 지식관리의 개념구조=186,190,10
III. 지식관리의 과정과 프레임워크=195,199,10
IV. 지식행정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도출=204,208,7
V. 결론=210,214,2
참고문헌=211,215,10
정보화시범마을의 운영평가와 정책적 과제:경상북도 시범지역을 중심으로/정우열=221,225,1
I. 서론=221,225,1
II. 이론적 배경 및 조사설계=222,226,3
III. 정보화마을의 도입 및 운영현황의 평가=224,228,7
IV. 정보화시범마을의 발전방안=231,235,4
V. 결론=234,238,2
참고문헌=235,239,2
사회복지서비스 지역전달네트워크의 실험적 설계:노인보건복지의 경우/강창현=237,241,1
I. 서론=237,241,1
II. 사회복지서비스 전달네트워크의 의의=237,241,9
III. 지역사회적 맥락과 서비스 전달네트워크의 설계:시범사업=245,249,7
IV. 결론=252,256,1
참고문헌=252,256,3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에 의한 실업자 직업훈련 사업의 효과성 평가/이석원=255,259,1
I. 서론=255,259,2
II. 실업자 직업훈련 사업의 효과성 평가의 문제=256,260,7
III.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262,266,5
IV. 분석방법=266,270,6
V. 분석결과=272,276,7
VI. 결론=278,282,2
참고문헌=279,283,5
부록:(표 A1) 분석표본의 주요변수들에 관한 특성=284,288,1
서울시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정책방향/봉민근=285,289,1
I. 서론=285,289,2
II. 서울시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현황분석=286,290,14
III. 장애인복지의 증진을 위한 서울시의 정책방향=299,303,5
참고문헌=303,307,2
신자유주의 정부혁신의 평가와 전망/허철행=305,309,1
I. 문제의 제기=305,309,2
II. 신자유주의 정부혁신의 성립배경=306,310,4
III. 신자유주의 정부혁신의 적실성에 대한 비판적 평가=310,314,4
IV. 신정부의 정부혁신 전망=313,317,5
V. 결론=317,321,2
참고문헌=318,322,3
재정분권화의 현실과 개혁방안/배인명=321,325,1
I. 머리말=321,325,2
II. 지방자치와 재정분권화의 원칙=322,326,4
III. 재정분권화의 현실=325,329,6
IV. 개혁방안=330,334,7
V. 맺음말=336,340,2
참고문헌=337,341,2
분권주의 시각을 통한 중앙-지방간 사무배분 연구:문화관광부 사무배분을 중심으로/김용철=339,343,1
I. 서론=339,343,2
II. 사무배분에 관한 이론적 논의=340,344,5
III. 우리나라의 사무배분실태와 추진현황=344,348,4
IV. 문화관광부 사무배분 개편안=348,352,12
V. 우리나라 중앙ㆍ지방 사무배분체계의 문제점=359,363,3
VI. 결론=361,365,1
참고문헌=361,365,2
동북아 경제 중심정책에 있어서의 정부간의 역할분담:경기도를 중심으로/김주환=363,367,1
I. 서론=363,367,2
II. 물류부문에 대한 정부 역할=364,368,3
III. 동북아 경제중심지정책을 위한 역할분담=366,370,7
IV.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을 위한 경기도의 역할과 과제=372,376,12
V. 결론=383,387,2
참고문헌=384,388,3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입지특성과 지역연계 실태분석/차미숙;정윤희=387,391,1
I. 연구의 배경과 목적=387,391,2
II. 국내외 선행연구의 검토=388,392,3
III.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입지분포 및 행태특성=390,394,9
IV.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지역산업연계 및 지역화 실태분석[원본불량;p.403]=398,402,6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404,408,1
참고문헌=405,409,2
미국의 주민참여제도의 유형별 분석:근린참여(neighborhood participation) 제도를 중심으로/한상일=407,411,1
I. 문제의 제기=407,411,2
II. 미국의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정치이념에 따른 연구대상의 유형화=408,412,6
III. 근린의회의 태동과정=413,417,5
IV. 결론=417,421,2
참고문헌=418,422,3
OECD 국가들에 있어서 인적자본(human capital)이 시민활동(civic activities)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광호=421,425,1
요약문=421,425,1
I. 서론=421,425,3
II. 선행연구의 검토:지역공동체의 시민활동(Civic activities)에 대한 교육의 영향=423,427,7
III. 분석자료=429,433,2
IV. 분석결과=430,434,9
V. 결론=439,443,2
참고문헌=441,445,4
전자정부 구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단계별 정책변동을 중심으로/방민석=445,449,1
1. 서론=445,449,2
2. 기존연구의 검토 및 이론적 배경[파오손면;p.447~448]=446,450,4
3. 분석의 틀=449,453,2
4. 각 단계별 분석요인의 비교분석[파오손면;p.451~452]=450,454,6
5. 결론=455,459,3
참고문헌=457,461,2
전자정부 웹사이트(Website)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김종무=459,463,1
I. 서론=459,463,2
II. 선행연구의 고찰=460,464,6
III. 연구설계=465,469,6
IV. 분석결과=470,474,7
V. 결론=476,480,1
참고문헌=477,481,4
유비쿼터스정부(u-Government) 서비스의 도입가능성 탐색:서울시 정보화정책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김선경=481,485,1
I. 서론=481,485,3
II. 이론적 배경=483,487,6
III. u-Government서비스의 도입가능성 분석=489,493,5
IV. 분석의 종합 및 결론=494,498,1
참고문헌=494,498,3
선거공약을 통해서 본 여성정책과제/김복규=497,501,1
1. 선거/공약/정책과제=497,501,1
2. 여성정책 의제발굴=497,501,5
3. 정당/후보의 공약=502,506,4
4. 공약을 통해서 본 정책의 성향=505,509,1
5. 공약과 정책의 연결=506,510,1
6. 여성정책기본계획/공약/여성부의 정책과제=506,510,6
7. 선거공약을 통해서 본 여성정책의 과제=511,515,2
참고문헌 및 자료=512,516,3
여성농업인의 현실과 앞으로의 정책과제/김경미;유소이;최윤지;조현숙;이한기=515,519,1
1. 들어가는 말=515,519,1
2. 정책대상으로서 여성농업인의 정의=515,519,9
3. 여성농업인의 현실과 문제=523,527,6
4. 여성농업인 정책의 동향과 과제=529,533,3
5. 맺음말=531,535,3
참고문헌=533,537,2
DJ 정부하의 분야별 관계장관회의에 대한 분석과 평가/이송호=535,539,1
I. 서론=535,539,2
II. 관계장관회의 분석의 틀=536,540,4
III. DJ정부의 분야별 관계장관회의 운영 실태=539,543,8
IV. 관계장관회의에 대한 평가 및 분석=546,550,9
V. 향후 개선방안=554,558,5
VI. 맺은 말=558,562,2
참고문헌=559,563,2
자활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신동면=561,565,1
I. 서론=561,565,2
II. 자활사업의 두 가지 모델:인적자원개발모델과 근로연결모델=562,566,3
III. 우리 나라 자활사업의 현황과 성과=564,568,10
IV. 자활사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573,577,6
V. 요약 및 결론=578,582,1
참고문헌=579,583,2
미국공적부조사업의 성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이영범=581,585,1
1. 들어가며=581,585,2
2. 공적부조프로그램의 성공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 고찰=582,586,4
3. 분석방법:다단계 또는 계층 선형분석 (Multilevel or Hierarchical Linear Analysis)=585,589,3
4. 과거 복지수혜자(welfare leavers)의 경제적 자립에 대한 실증 분석=587,591,8
5. 결론=594,598,2
참고문헌=595,599,3
부록1 요인 분석 결과=598,602,1
정부조직 개편의 방향과 전략:지방교육관련 정부조직을 중심으로/김태수=599,603,1
I. 정부조직 개편을 위한 정부조직 구조의 이해:우리나라 정부조직 일반의 편제구조=599,603,4
II. 우리나라 지방교육관련 정부조직의 위상=602,606,4
III. 우리나라 교육관련 지방정부조직의 위상과 개편방안:지방 교육자치단체와 관련=606,610,3
참고문헌=609,613,2
참여정부의 인사시스템 개혁방안/서원석=611,615,1
1. 서=611,615,2
2. 참여정부 인사개혁의 방향=612,616,2
3. 참여정부 인사개혁의 Agenda=613,617,9
4. 인사개혁의 실천방안=621,625,3
5. 인사개혁의 변화관리 전략=623,627,2
6. 참여정부의 인사개혁 특성=624,628,1
노무현 정부의 경찰 개혁과제와 실천전략/임재강=625,629,1
I. 서론=625,629,2
II. 노무현 정부의 신경찰정책=626,630,7
III. 노무현 정부의 중요 경찰개혁과제=632,636,5
IV. 경찰개혁을 위한 실천전략=636,640,4
V. 결론=639,643,2
참고문헌=640,6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