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제4판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제4판 (6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선영, 편
서명 / 저자사항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 이선영 엮음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서울 :   三知院,   2001   (2011)  
형태사항
488 p. ; 23 cm
ISBN
8974908042 9788974908041 9788974908041
000 00683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468599
005 20120423134731
007 ta
008 011231s2001 ulk 000c kor
020 ▼a 8974908042 ▼g 93800
020 ▼a 9788974908041 ▼g 93800
020 ▼a 9788974908041
035 ▼a (KERIS)BIB000005631713
040 ▼a 225002 ▼c 225002 ▼d 21106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801.95 ▼2 22
085 ▼a 801.95 ▼2 DDCK
090 ▼a 801.95 ▼b 2001i1
245 0 0 ▼a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 ▼d 이선영 엮음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三知院, ▼c 2001 ▼g (2011)
300 ▼a 488 p. ; ▼c 23 cm
700 1 ▼a 이선영, ▼e▼0 AUTH(211009)122967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i1 등록번호 1116641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1i1 등록번호 151261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1i1 등록번호 1116641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1i1 등록번호 151261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선영(지은이)

연세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 문과대 교수, 한국문학연구회 초대회장, 민족문학작가회 이사 등을 지냈다. 2001년 현재 민족문학작가회의 고문이자 연세대 명예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역사·전기비평

 1. 역사·전기비평 서설 = 15

  1. 원전 = 18

  2. 언어 = 19

  3. 전기 = 21

  4. 명성과 영향 = 23

  5. 문화 = 24

  6. 관례 = 25

 2. 역사주의비평의 방법 = 31

  1. 원본(text)의 확정 = 36

  2. 언어의 역사성 = 41

  3. 작가연구 = 46

  4. 작가의 영향 = 50

  5. 문학사의 문제 = 54

  6. 문학 특유의 관습 = 60

제2장 사회·문화적 비평

 1. 사회·문화적 비평 서설 = 67

 2. 역사적 인간과 시(詩)적 인간 - 민족문화론의 창조적 지평 = 85

  1. 서론 : 민족문학론의 현황 = 85

  2. 현실과 작품 : 형식과 내용의 문제 재론 = 87

  3. 역사적인 것과 거룩한 것 = 99

  4. 참여시와 민족문제 = 110

제3장 형식주의비평

 1. 형식주의비평 서설 = 121

 2. 서구소설과 한국소설의 기법 = 139

  1. 서언 = 139

  2. 소설비평은 어디까지 갔나 - (생략) = 142

  3. 몇 개의 케이스스터디 = 142

  4. 결어 = 174

제4장 구조주의비평

 1. 구조주의비평 서설 = 181

  1. 머리말 = 181

  2. 언어학적 배경 = 182

  3. 구조주의 서술학 = 187

  4. 은유와 환유 = 194

  5. 구조주의 시학 : 조나산 컬러 = 197

  6. 맺음말 = 199

 2. 〈적도(赤道)〉의 작품구조와 사회의식 = 203

  1. 머리말 = 203

  2. (적도)를 다룰 만한 이유 = 205

  3. 삼각관계의 연속 = 210

  4. 허위에서 진실로 = 214

  5. 두 세력의 대립 = 223

  6. 항거의 변증법 = 227

  7. 마무리 = 232

제5장 탈구조주의비평

 1. 탈구조주의비평 서설 = 239

  1. 다원적 텍스트 / 롤랑 바르트 = 241

  2. 언어와 혁명 / 줄리아 크리스테바 = 248

  3. 언어와 무의식 / 자크 라캉 = 250

  4. 해체이론 / 자크 데리다 = 254

  5. 미국의 해체이론 = 261

  6. 언술과 권력 / 미셀 푸코 ; 에드워드 사이드 = 272

 2. 해체론과 토머스 핀천의 《브이》 - 초월적 기의로서의 브이와 차연에 의한 의미치환 = 279

  1. 스텐슬의 편집중적 브이 추적 = 279

  2. 브이의 다양한 변모 = 291

  3. 브이의 해체성과 새로운 가능성의 제시 = 300

제6장 심리주의비평

 1. 심리주의비평 서설 = 311

  1. 작가 = 313

  2. 작품 = 314

  3. 독자 = 316

 2. 이상(李箱)의 정신세계 = 327

  1. 처음에 = 327

  2. 유아기의 정신외상 = 327

  3. 이상 시에 나타난 심리적 방어기제 = 332

  4. 이상의 만성자살 경향 = 335

  5. 끝맺음 = 338

제7장 신화형성비평

 1. 신화형성비평 서설 = 343

 2. 〈(광야(曠野)〉의 씨앗 - 신화와 육사(陸士) - = 359

  1. 포기의 절정 = 359

  2. 시공(時空)의 재생 = 362

  3. 시인의 과업 = 363

  4. 봄의 신명 = 365

  5. (광야)의 원류 = 367

제8장 독자중심비평

 1. 독자중심비평 서설 = 373

  1. 주관적 퍼스펙티브 = 373

  2. 제랄드 프린스의 '청자(聽者)' = 377

  3. 현상학 = 378

  4. 볼프강 이저의 '가상적 독자' = 380

  5.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의 '기대의 지평' = 382

  6. 스탠리 피쉬의 '독자의 경험' = 385

  7. 미셀 리파떼르의 '문학적 능력' = 387

  8. 조나산 컬러의 독서관습 = 389

  9. 노먼 흘랜드와 데이비드 블레이치의 '독자심리' = 391

  10. 맺음말 = 394

 2. 1920년대의 작가와 독자 = 395

제9장 페미니즘비평

 1. 페미니즘비평 서설 = 411

  1. 페미니즘이론의 문제점 = 412

  2. 정치적 페미니즘 / 케이트 밀레트 ; 미셀 배러트 = 415

  3. 여성의 저술과 여성비평 = 419

  4. 프랑스 페미니즘비평이론 = 424

 2. 근대체험과 여성 - 박완서, 김인숙, 공선옥의 소설 = 433

  1. 여성, 근대, 탈근대 = 433

  2. 박완서와 근대체험 - 그 가능성과 질곡 = 436

  3. 김인숙과 공선옥 - 여성됨을 위한 싸움과 고통 = 443

  4. 맺음말 = 451

제10장 문화연구

 1. 문화연구 = 455

 2. 문화연구의 지형과 문학비평 = 469

  1. 문화연구의 부상과 지형 = 469

  2. 레이먼드 윌리엄즈와 문화주의 = 471

  3. 알뛰세와 구조주의적 문화연구 = 474

  4. 그람시의 부활 및 포스트모더니즘 문화연구 = 482

  5. 문화연구의 가능성 = 48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