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정판 머리말 = 3
초판 머리말 = 6
제1편 행정이란 무엇인가?
제1장 행정이란 무엇인가? = 23
제1절 행정과 행정학 = 24
1. 행정의 개념 = 24
2. 행정과 경영 = 26
3. 행정학을 왜 공부하는가? = 30
제2절 정부와 행정 = 32
1. 정부의 개념과 형태 = 32
2. 정부관:정부의 범위에 대한 견해 = 33
3. 정부의 구조 = 37
4. 정부의 역할과 기능 = 43
제3절 행정의 담당자 = 49
1. 공무원의 분류 = 49
2. 공무원 정원의 증가 추이 = 52
제2장 행정과 환경의 관계 = 59
제1절 복합적인 행정의 환경 = 60
1. 복잡하고 복합적인 사회 = 60
2. 행정의 공간ㆍ조직적 그리고 사회권력 환경 = 61
3. 행정의 사회문화적 환경 = 65
제2절 행정과 정치 = 73
1. 행정과 정치의 관계 = 74
2. 행정부와 입법부 및 정당의 관계 = 77
3. 우리나라 행정의 현실 정치적 맥락 = 81
제3절 행정과 법 = 85
1. 행정의 헌법적 기초 = 85
2. 행정과 법의 관계 = 87
3. 행정부와 사법부의 관계 = 88
4. 행정부와 헌법재판소의 관계 = 89
제4절 행정과 경제 = 91
1. 행정과 경제의 관계 = 91
2. 정부와 시장 및 네트워크의 관계 = 95
제5절 행정과 시민사회 = 97
1. 시민사회의 등장 배경과 특징 = 98
2. 시민사회조직으로서 비정부조직 = 101
3. 행정과 시민사회조직의 관계 : 비정부조직을 중심으로 = 102
제3장 행정학의 발달 과정과 학문적 성격 = 104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 105
1. 독일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 과정 = 105
2. 프랑스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 108
3. 영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 = 109
4. 미국 행정학의 형성과 발달 과정 = 110
5. 한국 행정학의 전개 과정 = 126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129
1. 사회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129
2. 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 = 134
3. 행정학의 기술성과 과학성 = 135
4.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139
5. 행정학의 가치판단과 가치중립성 = 141
제4장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들 = 143
제1절 전통적 행정학 접근 = 144
1. 역사적 접근방법 = 144
3.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144
4. 생태론적 접근방법 = 146
5. 행태론적 접근방법 = 147
6. 후기행태주의 = 148
7. 체제적 접근방법 = 149
제2절 정부혁신을 위한 주요 접근 = 151
1. 공공선택론 = 151
2.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153
3. 신공공관리론 = 155
4. 뉴 거버넌스론 = 158
제3절 비판행정학의 접근 = 161
1. 현상학적 접근방법 = 161
2. 포스트모더니티 이론 = 162
3. 신공공서비스이론 = 163
제4절 행정환경의 복합성에 따른 다양한 접근 = 165
1. 딜레마이론 = 165
2. 시차이론 = 166
3. 사회적 자본 = 167
4. 다문화주의 = 168
제2편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
제5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173
제1절 행정가치의 유형 = 174
1. 행정가치의 분류 = 174
2. 본질적 행정가치 = 175
3. 수단적 행정가치 = 183
제2절 행정가치의 구현 = 189
1. 관료제를 통한 행정가치의 구현 = 189
2. 행정가치의 갈등과 극복 = 191
제6장 행정윤리와 행정통제 = 195
제1절 윤리적 정부와 행정통제 그리고 행정책임 = 196
1. 윤리적 정부와 신뢰 적자 = 196
2. 행정통제와 책임 = 197
제2절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그리고 윤리 확보 = 200
1. 행정윤리의 의의 = 200
2. 공무원 부패의 접근방법과 유형 = 203
3. 부패 방지와 국가경쟁력 = 207
4.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208
제3절 행정통제의 유형과 통제력 향상 방안 = 212
1. 행정통제의 유형 구분 = 212
2. 외부통제 = 213
3. 내부통제 = 217
4. 행정통제의 한계 = 219
5. 행정통제력 향상 방안 = 220
제3편 행정의 이론과 실제
제7장 정책 = 227
제1절 정책의 의의와 유형 = 228
1. 정책의 의의 = 228
2. 정책의 유형 = 231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 234
1. 정치 체제와 정책환경의 의의 = 234
2. 정책결정요인론 = 235
3. 정책과정의 참여자 = 236
제3절 정책형성 = 242
1. 정책형성의 의의 = 242
2. 정책의제의 설정 = 243
3. 합리적 정책결정 = 246
4. 다양한 정책결정 방식 : 정책결정모형 = 253
제4절 정책집행 = 258
1. 정책집행의 의의 = 258
2. 정책집행 연구의 전개 = 259
3. 정책설계와 집행 수단 = 263
4.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66
5. 정책집행 실패와 정책학습 = 268
제5절 정책분석평가 = 270
1. 정책분석의 의의와 절차 = 270
2. 정책평가의 의의와 유형 = 273
3. 정책평가의 절차 = 275
4. 정책평가의 논리와 방법 = 278
5. 정책평가의 쟁점 = 281
6. 정책평가의 한계와 과제 = 284
제6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 287
1. 현행 정부업무 성과관리 및 평가제도 = 287
2. 정부업무평가 = 288
3. 평가 결과의 환류 및 활용 = 293
제8장 조직 = 298
제1절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 299
1. 조직학의 의의 = 299
2. 고전적 조직이론 = 300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304
4. 현대적 조직이론 = 307
5.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 310
제2절 조직구조론 = 319
1. 조직구조의 기본 개념과 요소 = 319
2. 조직구조의 기본 구성 = 321
3. 조직구조의 모형들 = 327
4. 조직구조의 상황 요인 = 335
5. 정보화와 새로운 조직구조의 탐색 = 340
제3절 조직행태론 = 344
1. 개인차 = 345
2. 동기부여 = 349
3. 리더십 = 361
4. 권력과 갈등관리 = 364
5. 의사전달과 의사결정 = 371
제4절 이명박 행정부의 정부조직 개편 = 381
1. 기존 조직에 대한 비판 = 381
2. 이명박 행정부의 조직개편 방향 = 383
제9장 인사 = 388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 = 389
1. 인사행정의 개념과 과정 = 389
2. 인사행정의 발달 = 390
3. 인사행정을 담당하는 기관 = 399
제2절 공직구조의 형성 = 404
1. 공직구조 형성의 원칙 = 404
2. 공직 분류의 체계 = 406
3. 직위 분류의 방법 = 408
제3절 임용 = 414
1. 외부임용(신규채용) = 414
2. 내부임용 = 419
제4절 능력 발전 = 424
1. 경력개발 = 424
2. 교육훈련 = 426
3. 공무원 평정제도 = 429
제5절 동기부여 = 435
1. 사기 = 435
2. 보수 = 439
3. 인적자원의 활용과 생산성 향상의 수단 = 444
제6절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징계 = 450
1. 공무원의 충성 = 450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451
3. 공무원단체 = 453
4. 신분 보장과 징계 = 457
제10장 예산 = 462
제1절 예산 이해의 기초 = 463
1. 국가재정과 재무행정의 의의 = 463
2. 예산의 개념과 성격 = 465
3. 예산의 원칙 = 467
4. 예산과 관련된 법 = 470
제2절 예산의 종류와 분류 방법 = 473
1. 정부 총지출을 구성하는 세 가지의 공공재원 = 473
2. 다양한 형태의 예산 = 476
3. 재정정책을 위한 예산제도 = 478
4. 예산 내용의 분류 = 481
제3절 예산결정이론 = 484
1. 예산배분에 관한 전통적 접근 = 484
2. 예산결정과 공공선택론 = 486
3. 전략적인 계획과 예산의 연계 접근 = 488
제4절 예산과정 = 489
1. 예산의 편성 = 490
2. 예산의 심의 = 492
3. 예산의 집행 = 494
4. 결산 = 497
5. 예산과정과 회계의 연계 = 499
제5절 예산 및 회계제도의 개혁 = 501
1. 예산개혁의 정향 = 501
2. 프로그램 예산과 정부회계 개혁 = 504
3. 전통적인 예산제도 개혁 = 508
4. 결과 지향적 예산개혁 : 성과주의예산의 부활 = 515
제6절 재정혁신과 시민참여 = 518
1. 국가 예산관리를 위한 4대 혁신 = 518
2. 중앙예산부서의 사업예산관리 혁신 = 522
3. 시민들의 예산 참여 = 526
제11장 전자정부와 지식관리 = 530
제1절 지식관리 행정 = 531
1. 지식 패러다임의 등장 = 531
2. 지식행정의 개념과 성격 = 532
3. 지식관리와 지식정책 = 533
제2절 전자정부 = 535
1. 전자정부의 개념과 유형 = 535
2. 전자정부의 목표 = 537
3. 전자정부의 발전 단계 = 539
제3절 정보행정과 정보행정 시스템 = 540
1. 정보행정의 담당조직과 인력 = 540
2. 정보화정책의 범위와 추진 과정 = 541
3. 전자정부의 정보자원 관리 = 544
4. 행정 업무의 전자적 처리 = 549
5. 전자 거버넌스와 전자 민주주의 = 551
6. 고객관계관리와 정보행정 서비스 = 552
제12장 지방자치 = 556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557
1. 지방자치의 개념 = 557
2. 지방행정과 지방정부 = 557
3. 지방자치의 대상과 주요 쟁점 = 559
제2절 중앙-지방정부 간 관계 = 559
1. 중앙-지방관계론 = 559
2.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560
3. 특별지방행정기관 = 564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 = 565
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566
2. 주민의 참여와 통제 = 569
3. 자치계층과 행정계층 = 571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575
1. 지방자치단체의 세입구조 = 575
2. 지방재정 확충의 기본 쟁점 = 576
3. 포괄보조를 통한 새로운 정부간 재정 관계 = 578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 역량 강화 = 581
1. 자치 역량의 의의 = 581
2. 자치단체의 업무 수행 능력 강화 = 582
3. 자치단체 간의 협력 강화 = 586
제13장 공공서비스 = 590
제1절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 591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591
2. 공공서비스 공급의 가치 지향 변화 = 592
3. 공공서비스의 유형 = 595
제2절 공공서비스의 공급 방식 = 598
1. 공공서비스 공급 방식의 유형 = 598
2. 공공서비스 공급과 민간위탁 = 600
3. 사회서비스 전달에서의 공급자 방식과 수요자 중심 방식 = 603
제3절 공공서비스 공급의 혁신 = 606
1. 일반행정 체제의 혁신 = 606
2. 책임경영 체제의 강화 = 609
3. 공동생산 = 611
4. 사회서비스 전달 혁신으로서 전자 바우처 = 612
제4절 공공서비스의 성과평가 = 614
1. 공공서비스 성과의 성격과 체계 = 614
2. 결과 지향적 구체적 성과평가로 전환 = 615
제14장 정부혁신과 한국 행정의 과제 = 619
제1절 정부혁신의 의의와 접근 = 620
1. 정부혁신의 의의 = 620
2. 정부혁신을 접근하는 세 가지 이론 = 623
제2절 행정이론 흐름과 정부 역할의 변화 = 627
1. 행정이론의 흐름과 지배적 가치의 변화 = 627
2. 정부 역할의 변화 = 631
제3절 정부혁신의 비교분석 = 635
1. 선진 각국의 정부혁신 = 635
2. 우리나라의 정권별 정부혁신 = 639
제4절 한국 행정의 과제로서의 정부혁신 = 647
1. 정부의 범위와 역량: 시장과 정부 = 647
2. 국가권력의 재배분: 집권과 분권 = 649
3. 행정의 주체와 객체: 시민과 고객 = 649
4. 책임 있는 정부 운영: 자율과 책임 = 651
참고 문헌 = 653
찾아보기 = 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