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4
머리말 = 6
차례 = 8
01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개관
1 자기주도적 학습의 개념 = 24
2 자기주도적 학습의 필요성 = 29
(1) 교육 목적의 변화 = 30
(2)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 = 30
(3) 교육시기의 변화 = 33
3 제7차 교육과정에 반영된 자기주도적 학습 = 34
4 자기주도적 학습의 전략 = 36
메타인지(meta-cognition) = 36
교사의 중재(teacher mediation) = 38
(1) 응답기회 최대영역(zone of maximum response opportunity) = 38
(2) 응답기희 최대영역 맞히기 = 38
기능적 실패(functional failure, 학생오류) = 39
상호교수법(reciprocal teaching) = 40
(1) 상호교수법의 활동 = 40
(2) 교사의 역할 = 41
교실토론 = 42
내적 담화(inner speech) = 42
자기주도적 학습에서의 대화사례 = 43
기타 인지적 전략들 = 45
(1) 기억법(memonics, 기억보조술) = 45
(2) 정교화/조직화(elaboration/organization, 필기하기) = 45
(3) 이해를 감독하는 전략(comprehension-monitoring strategies) = 46
(4) 문제해결 전략(problem-solving strategies) = 46
(5) 과제기반 학습 전략(project-based learning strategies) = 47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습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목표 증진 = 48
5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 49
교사의 역할 = 49
학습자의 역할 = 52
자기주도적 학습의 실행 방안 = 53
02 평생학습사회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1 자기주도적 학습의 특징 = 62
(1) 교수자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상의 차이 = 62
(2) 개별수업과 자기주도적 학습 = 63
2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방법 = 64
(1) 자기주도적 학습과정 = 64
(2) 자기주도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학습활동 = 65
3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자기주도적 학습 = 69
(1) 학교교육관에서 평생교육관으로 바뀌어야 한다 = 70
(2) 정보화 사회에서 살아갈 자녀들에 대한 교육관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 71
고도산업화 사회와 교육에 대한 의식개혁 = 72
다양화 사회와 교육에 대한 의식개혁 = 72
4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 = 73
03 자기주도적 학습의 이론 및 적용
공부하는 방법을 배워라 = 78
학습 패러다임은 변해야 한다 = 79
자기주도 학습능력이란 = 80
1 공부의 왕도, 자기주도적 학습 = 81
2 자기주도적 학습의 이론적 기초 = 84
(1) 이론의 기원 = 84
(2) 중심학자 소개 = 85
(3) 이론적 타당성 = 86
(3) 현실적 타당성 = 87
3 자기주도적 학습의 전제조건 = 88
(1)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어야 한다 = 88
(2) 기본적인 학습법을 알아야 한다 = 89
(3) 효과적인 시간관리법을 알아야 한다 = 90
(4) 폭넓은 독서를 해야 한다 = 92
4 자기주도적 학습의 교수-학습 원리와 실행전략 = 94
(1)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따른 수업전략 = 95
(2) 자기주도적 학습과정 = 97
(3)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교사의 역할 = 97
5 자기주도적 학습의 유형 = 98
(1) 주제탐구활동 = 98
(2) 자유연구 = 99
(3) 소집단 공동연구 = 100
(4) 프로젝트 학습 = 100
(5) 체험학습 = 101
(6) 기타 자기주도적 학습 종류 = 102
포트폴리오법 = 103
6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 104
(1) 학습환경 요인 = 104
(2) 학습전략 요인 = 106
04 교육실험 프로젝트 :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만들기
효과적인 공부의 기술, 자기주도 학습법은 무엇인가 = 111
꼴찌를 3주 만에 우등생으로 만든 '자기주도 학습법' = 112
EBS 특집 다큐멘터리 : 교육실험 프로젝트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만들기〉
과연 공부를 잘하는 데 왕도는 무엇일까? = 115
소제1. 시관관리비법 = 117
상건이와 상담하는 연구원 = 118
성은이의 일상 = 119
스스로 공부하도록 돕는 '시간관리법' = 120
소제2. 자존감을 찾아라, 공부의 반은 자신감 = 122
셀프 다이어리-'자신감' 검사 = 122
실험 3주차 = 125
소제3. 특명, 공부비법 찾기 = 127
학부모 긴급면담 실시 = 128
처방 들어가기 = 128
김판수 교수의 '자기주도 학습법' = 129
학습동기 키워주기 = 130
1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그려보게 하라 = 130
2 아이의 수준을 잘 파악하라 = 130
3 아이가 성취감을 맛보게 하라 = 130
소제4. 목표를 정하라 = 132
성건이 장래 희망 = 133
상은이 장래 희망 = 134
소제5. 이제는 공부방법이다 = 135
김판수 교수와 쉬어가기 - 서당문화를 통하여 본 자기주도학습과 교수방법론 = 140
05 자기조절 학습기능과 과목별 학습전략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146
차세대 교육의 패러다임 = 146
전자교과서 시대가 열린다 = 147
스스로 하는 공부가 진짜 실력이다 = 149
1 자기조절학습 = 150
자기조절 학습전략 = 153
(1) 초인지전략(metacognitive strategies) = 153
(2) 자기관리전략(self-managment strategies) = 153
동기적 요소(motivational elements) = 154
(1) 통제인식(perception of control) = 154
(2)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154
2 과목별 자기주도력 높이기 = 155
국어공부를 잘하는 방법 = 155
국어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 155
효과적으로 국어를 공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 157
국어시험에 대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60
초등국어 = 160
생활국어 = 161
중등국어 = 162
영어공부를 잘하는 방법 = 165
영어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 165
효과적으로 영어를 공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66
영어시험에 대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68
수학공부를 잘하는 방법 = 169
수학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 169
효과적으로 수학을 공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70
수학시험에 대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75
초등수학 = 177
중등수학 = 177
과학공부를 잘하는 방법 = 178
과학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 178
효과적으로 과학을 공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79
과학시험에 대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82
초등과학 = 184
중등과학 = 185
사회공부를 잘하는 방법 = 186
사회공부는 왜 해야 하는가 = 186
효과적으로 사회를 공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87
사회시험에 대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187
초등사회 = 188
중등사회 = 188
06 홈스쿨링
"틀에 박힌 교육은 싫어요" 홈스쿨링 증가 추세 = 192
'홈스쿨링'을 받은 학생, 수능 없이 대학간다 = 192
홈스쿨링이란 무엇인가 = 193
홈스쿨링이 나오게 된 배경 = 194
홈스쿨링은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 195
홈스쿨링을 왜 선택하는가 = 197
홈스쿨링의 장ㆍ단점 = 199
(1) 장점 = 199
(2) 단점 = 199
홈스쿨링에 대한 대략적인 흐름과 특징 = 201
홈스쿨링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 201
(1)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재 = 201
(2) 교수-학습활동 = 202
홈스쿨링에 관한 우리의 생각 = 204
결론 및 제언 = 206
QA : 이것이 궁금해요 = 208
07 자기주도 학습법 성공 체험담
혜린이의 하루 = 216
정의일, 정의석 형제 자기주도학습 체험기 = 218
1 인터뷰 : 수원 영통 학습관, 박동주 원장 = 222
수원 동학초등학교 3학년, 신상섭 학부모 인터뷰 = 223
2 인터뷰 : 안산 본오 학습관, 전미복 원장 = 226
안산 성안중학교 3학년, 허진영 학부모 인터뷰 = 226
3 인터뷰 : 군포 산본 학습관, 김화영 원장 = 230
군포 산본 수리초등학교 6학년 김소정 학생 인터뷰 = 231
군포 산본 태을초등학교 유은진 학부모 인터뷰 = 232
4 그 밖의 체험 사례 = 235
의정부 민락중학교 3학년, 김솔 학부모 인터뷰 = 235
남수원중학교 3학년, 이에덴 학생 인터뷰 = 236
08 학업 진단 및 학부모를 위한 가이드
공부는 스스로 하는 것이다 = 240
엄마의 잔소리 = 241
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진단 능력검사 = 250
소심함 = 251
행동 발달 문제 = 252
자신감 부족 = 253
조부모 동거 = 254
외모 컴플렉스 = 255
부모의 이혼 = 256
낮은 지적능력 = 257
성적 우수 = 258
게임중독 = 259
2 학업에 문제 있는 학생 = 260
1. 게임중독 증상 = 260
2. 주의력 결핍ㆍ과잉행동 장애(ADHD) = 263
주요 증상 = 263
ADHD로 인한 어려움 = 265
발달과정에 따른 ADHD의 증상 = 266
3. 학습부진 = 268
효율적인 학습방법 = 269
3 학부모를 위한 가이드 = 273
부모가 생각을 바꾸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아이를 훌륭하게 키울 수 있다 = 276
잔소리를 안하고 스스로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는 법은 없을까 = 277
내 아이는 왜 잔소리를 해야만 공부할까 = 278
무엇보다 부모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 279
어떻게 하면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갖게 될까 = 279
'스스로' 공부할 때 2배 이상의 효과가 있다 = 280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만들기, 7가지 부모전략 = 281
최상위권 아이들, 알고 보니 '부모와의 대화' = 282
자립심이 강한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 286
공부하는 방법에도 왕도가 있다-효과적인 읽기 방법 = 286
효과적인 공부환경 만들기 = 287
09 학습과 기억원리의 교육적 적용
주의집중을 위한 학습전략을 구성하자 = 290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학습전략을 실천하자 = 290
아동에게 적합한 학습량을 제공하자 = 291
우뇌를 활성화하자 = 292
좌뇌와 우뇌의 교류를 촉진하자 = 293
1 두뇌기반학습과 뇌의 가소성 = 294
두뇌기반학습의 원리와 적용 = 295
뇌의 가소성 = 296
2 학습과 기억 = 298
학습과 기억 = 298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 = 300
3 기억의 과정과 구조의 이해 = 302
기억의 과정 = 303
기억의 구조 = 305
4 기억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 310
(1) 단기기억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 310
(2) 장기기억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 312
10 공부하는 방법, 학습전략
1 학습전략 = 316
5단계 학습전략(SQ3R법) = 316
아이들이 공부를 싫어하는 데는 그 아이 자신의 문제도 있지만 외부의 원인도 있다 = 318
공부하는 습관 만들기 = 320
공부방법 바꾸기 = 322
2 성적 향상법 = 328
공부방법 배우기 = 328
1) 수첩 학습법 = 336
2) 과목별 수첩 작성법 = 337
시험 잘 보는 요령 = 338
예습ㆍ복습의 중요성 = 339
공부의 양보다 중요한 자기화 = 340
가정 자율학습 100% 성공비결 = 340
학교수업 요령 = 341
'공부할 기분이 내키지 않는다'는 생각을 극복하는 방법 = 341
공부계획 세우기 = 342
집중력 키우기 = 343
기억법 = 349
11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육공학의 실제
1 교육공학의 필요성 = 356
(1) 사회ㆍ교육ㆍ인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두 가지 측면 = 356
(2) 공학의 개념 = 358
(3) 수업(교수)공학 = 358
(4) 교육공학 = 359
2 구성주의 이론에 의한 교수설계 = 361
(1) 구성주의 이론의 개념 = 361
(2)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학습관 = 362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원리 = 367
주요 수업의 원리 = 368
3 켈러의 학습동기 유발 교수이론 = 371
학습동기와 학습동기유발의 의미 = 372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의 구성요소 = 373
(1) 주의력(attention) = 374
(2) 관련성(relevance) = 374
(3) 자신감(confidence) = 376
(4) 만족감(satisfaction) = 377
4 교육공학에서 바라본 초ㆍ중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분석 및 통계 = 381
연구의 대상 = 381
가설검증과 논의 = 382
독립변인 수준별 종속변인 차이분석 = 384
1) 정서조절능력 상ㆍ하 수준별 자기주도학습과 그 하위요인들의 차이분석 = 384
2) 학습동기 상ㆍ하 수준별 자기주도학습과 그 하위요인들의 차이분석 = 386
3) 학교생활적응 상ㆍ하 수준별 자기주도학습과 그 하위요인들의 차이분석 = 388
4) 학습효능감 상ㆍ하 수준별 자기주도학습과 그 하위요인들의 차이분석 = 389
5) 과제난이도선호 상ㆍ하 수준별 자기주도학습과 그 하위요인들의 차이분석 = 391
결론 = 392
맺음말 =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