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97n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468120 | |
005 | 20140403160000 | |
007 | ta | |
008 | 080904s2008 ulk 000c kor | |
020 | ▼a 9788986939378 ▼g 0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5.4 ▼2 23 |
085 | ▼a 335.4 ▼2 DDCK | |
090 | ▼a 335.4 ▼b 2008z3 | |
100 | 1 | ▼a 윤소영, ▼d 1954- ▼0 AUTH(211009)86909 |
245 | 1 0 | ▼a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 개론 / ▼d 윤소영 지음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공감, ▼c 2008 | |
300 | ▼a 399 p. ; ▼c 23 cm | |
440 | 0 0 | ▼a 공감개론신서 ; ▼v 1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4914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4914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7153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51264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4914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4914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117153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8z3 | Accession No. 151264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5년 서울대 총학생회가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여름학교 강의와 대구 신자유주의반대평등을향한민중행동이 주최한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 대한 강의를 풀어 엮었다. 1강은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로’, 2강은 ‘역사과학으로서 경제학 비판’, 4강은 ‘인권의 정치로서 이데올로기 비판’이다.
3강 '역사동역학과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은 대구 민중행동이 주최한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 대한 강의 녹취이다. 부록으로 실린 뒤메닐과 레비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현재성'(사회진보연대 <사회운동>, 2005년 10월)은 폴리의 '노동가치 이론의 최근 동향'(<자본주의의 위기와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공감, 2001)과 함께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을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데 필수 자료이다.
이 책은 2005년 7월 18일, 20일, 25일, 27일 나흘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가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여름학교에서의 강의와 11월 6일 대구의 신자유주의반대평등을향한민중행동이 주최한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 대한 강의를 녹취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가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여름학교에서 한 세 번의 강의를 녹취한 것이 이 책의 1강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로’, 2강 ‘역사과학으로서 경제학 비판’, 4강 ‘인권의 정치로서 이데올로기 비판’이다. ‘대안세계화운동과 사회운동적 마르크스주의’라는 주제의 마지막 강의는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이념과 운동>(공감, 2004)을 요약하는 것이므로 생략했는데, 다만 새로 추가된 몇몇 부분은 5강 ‘종합토론’에 포함했다.
부록으로 실린 뒤메닐과 레비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현재성'(사회진보연대 <사회운동>, 2005년 10월)은 폴리의 '노동가치 이론의 최근 동향'(<자본주의의 위기와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공감, 2001)과 함께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을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뒤메닐과 레비의 또 다른 논문으로 '자본주의의 시기구분: 기술, 제도, 생산관계'(<사회진보연대>, 2002년 6월, 7-8월)가 있고, 그 밖의 논문들도 대부분 영역되어 있다(http://www.jourdan.ens.fr/levy/).
2005년 8월 17일은 박현채 선생이 돌아가신 지 10년째 되는 날이다. 아직도 박 선생을 기억하고 있는 분은 인터넷 신문 <코리아포커스>(http://www.coreafocus.com)에서 선생께서 유고로 남기신 자서전 초고와 친지들의 회고록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 9월 24일에는 정운영 선생이 갑자기 돌아가셨다.
브레히트의 <갈릴레이의 생애>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 헌사로 적절하리라: “진리는 우리가 관철해내는 그만큼만 관철된다. 이성의 승리는 이성적 인간의 승리일 따름이기 때문이다.”(8장) “단 한 사람이라도 떨쳐 일어나 아니오라고 외친다면, 그만큼 이긴 것이다!”(13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윤소영(지은이)
1954년 서울에서 출생 1973-77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수학 1986년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학위 취득 1984-2019년 한신대학교 국제경제학과에 재직 1980년대 운동권 민중 민주(PD)계열의 이론적 기초가 된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독점강화 종속심화 테제)”을 주창하며 그 기초를 세웠다. 1990년대에는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재구성 작업을 소개하는 데 주력했고, 2000년대에는 자신의 작업을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라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1994년 6월부터 과천연구실이라는 연구소를 설립, 다양한 연구 결과를 책으로 펼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초판 서문 = 5 1강 마르크스주의의 위기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로 = 13 마르크스주의의 위기 = 14 전후 남한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소멸 = 19 박정희 정부와 부마항쟁 = 24 신군부와 광주항쟁 = 30 1980년대 남한 마르크스주의의 부활 = 33 1990년대 남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 = 37 1992년대 대선과 김영삼 정부 = 40 민주노총 건설과 트로츠키주의의 부상 = 43 1997년 대선과 김대중 정부 = 47 민주노동당 창당과 네그리주의의 대두 = 52 2002년 대선과 노무현 정부 = 54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의 한계 = 57 남한 페미니즘의 주류화 = 58 요약과 정리 = 60 『현실과 과학』, 서울사회과학연구소, 『이론』, 과천연구실 = 62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 = 66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 72 2강 역사과학으로서 경제학 비판 = 77 루카치와 알튀세르 = 77 경제학과 경제학 비판 = 80 알튀세르적인 경제학 비판 = 84 발리바르의 경제학 비판 = 89 브뤼노프의 경제학 비판 = 93 뒤메닐의 미국경제 분석 = 97 아리기의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 = 101 경제학 비판의 그로스만적 전통 = 104 경제학 비판의 대상과 방법 = 106 뉴튼의 역학 = 110 과학적 일반화 = 112 과학적 모형 = 114 동역학과 미분방정식 = 117 동역학적 법칙으로서 행성운동법칙 = 121 로크의 현대철학 = 126 베토벤의 세계음악 = 129 마르크스의 역사과학 = 131 화폐와 가치법칙 = 135 노동력과 잉여가치법칙 = 139 자본의 추상화, 노동의 구체성 = 141 자본생산성 하락의 법칙과 이윤율 하락의 법칙 = 144 금융화와 궁핍화 = 148 자본주의적 축적의 엔트로피법칙과 네겐트로피 = 149 자본주의적 이행과 공산주의적 이행 = 152 이자율과 환율의 운동 = 154 3강 역사동역학과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 = 159 자본주의의 시기구분 = 159 20세기 미국경제 개관 = 161 자본생산성 궤도와 이윤율 궤도 = 165 자본성장률과 경제성장률 = 169 고정자본의 로지스틱 성장모형 = 172 일반화된 성장모형 = 178 이윤율과 고정자본의 관계 = 180 고정자본 궤도 = 182 신자유주의와 금융화 = 186 경기순환의 매커니즘 = 189 구조적 위기와 순환적 위기 = 191 법인자본주의의 형성 = 194 철도 건설과 교통ㆍ통신 혁명 = 196 철강ㆍ석유산업에서 독점자본의 출현 = 199 지주회사와 법인혁명 = 202 자동차산업에서 관리자혁명과 산업혁명 = 206 뉴딜과 케인즈혁명 = 214 독일경제의 경우 = 221 일본경제의 경우 = 228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 = 231 정책개혁ㆍ지배구조개혁ㆍ구조조정 = 235 화폐동맹으로서 유럽연합 = 238 신경제와 정보ㆍ통신기술 = 241 중국경제의 개혁ㆍ개방의 한계 = 244 미국경제의 이중적자와 달러 발권이익 = 248 4강 인권의 정치로서 이데올로기 비판 = 253 소외론과 이데올로기론 = 253 알튀세르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255 구조주의의 계보 = 258 이론적 반인간주의와 인간학 비판 = 260 사회과학적 인간학 비판 = 262 마르크스적 인간학 비판 = 265 포스트구조주의란 무엇인가? = 268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의 논쟁 = 271 프랑스 스피노자학 = 273 발리바르의 스피노자론 = 276 스피노자의 인간학 = 278 스피노자의 아포리아 = 281 상징의 가상화로서 이데올로기 일반 = 283 착취의 모순과 이데올로기적 반역의 해후 = 287 혁명적 비극성 = 289 시민이라는 주체 = 294 봉기와 구성 = 296 자유=평등 명제 = 298 이데올로기 비판으로서 공산주의 = 301 시민적 공산주의와 마르크스주의 = 305 아나키즘과 노조주의 = 307 지적 차이 = 309 비판적 지식인과 시민교육 = 311 성적 차이의 페미니즘 = 313 차이의 철학에 대하여 = 315 5강 종합토론 = 319 NL과 PD = 319 신식민지국가독점자본주의론과 PD론 = 326 독점강화ㆍ종속심화 명제 = 330 노동자운동과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 분석 = 335 잉그라오 좌파와 공산주의재건당 = 338 네그리주의 비판 = 346 유럽연합헌법조약 논쟁 = 350 기독교적 공산주의와 페미니즘 = 356 가족과 성매매 = 361 개정판후기 = 365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 개론』 비판에 대한 반비판 = 389 '과천연구실 세미나' 개관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