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민으로서 청소년 인권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학교
Ⅰ. 서론 = 17
Ⅱ. 청소년의 의미 = 20
1. 청소년의 역사 = 20
2. 청소년을 연령대로 분류할 수 있는가? = 22
3. 심리적·사회적 발달단계로서 청소년 = 25
4. 문화적 개념으로서 청소년 = 31
Ⅲ. 청소년과 인권 = 35
1. 시민이자 보호의 대상으로서 청소년 = 35
2. 인권의 두 측면과 청소년 인권 = 38
Ⅳ. 청소년 인권과 학교 = 44
1. 학교제도와 청소년 인권 = 44
2. 한국 교육의 특수성과 청소년 인권 = 47
3. 학교의 쟁점 청소년 인권의 보호 또는 보장: 교육권과 자유권 = 49
Ⅴ. 결론 = 51
참고문헌 = 52
사교육 문제와 학교 내 청소년 인권의 관계
Ⅰ. 서론 = 55
1. 문제제기 = 55
2. 연구의 목적 = 57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 57
Ⅱ. 이론적 배경 = 58
1. 사회문제로서 학원 = 58
2. 입시학원의 유인 동기로서 학교에 대한 불만 = 63
3. 청소년의 학교에 대한 불만: 수업과 인권 = 65
4. 이론의 종합과 가설의 설정 = 68
Ⅲ. 연구 설계 = 69
1.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 69
2. 변인 설정 = 70
3. 자료 수집 및 분석 = 74
Ⅳ. 연구 결과 분석 = 75
1. 기술통계 = 75
2. 가설의 검정 = 80
Ⅴ. 논의 및 결론 = 84
참고문헌 = 89
청소년의 학교·학원에서의 불만에 대한 질적 조사: 수업과 처우
Ⅰ. 서론 = 93
1. 문제제기 = 93
2. 연구의 목적 = 95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95
Ⅱ. 이론적 배경 = 96
1. 사회문제로서 학원 = 96
2. 입시학원의 유인동기로서 학교에 대한 불만 = 98
3. 학교수업과 청소년의 불만 = 99
4. 인권·복지에 대한 청소년의 불만 = 100
5. 연구 질문의 설정 = 101
Ⅲ. 연구 설계 = 102
1. 자료 제보자 = 102
2. 자료 수집 = 103
3. 분석 절차 = 103
Ⅳ. 분석 결과 = 104
1. 청소년의 학교에 대한 불만 = 105
2. 청소년들의 학원에 대한 불만 = 113
3. 학교와 학원의 관계 = 120
Ⅴ. 논의 및 결론 = 122
참고문헌 = 125
부록 = 128
학교 복장규정이 청소년의 정치문화와 비행 예방에 미치는 효과 연구
Ⅰ. 서론 = 133
1. 문제제기 = 133
2. 연구의 의의와 한계 = 135
Ⅱ. 이론적 배경 = 137
1. 학교 복장규정 찬·반론의 근거 = 137
2. 민주 시민성과 정치문화의 두 차원: 참여적 정향과 묵종적 정향 = 139
3. 청소년 비행과 사회통제이론 = 141
4. 연구문제 설정 = 145
Ⅲ. 연구 설계 = 146
1. 연구 대상 =146
2. 연구 변인 및 측정도구 = 147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 149
Ⅳ. 연구 결과 분석 = 150
1. 기술적 통계 = 150
2. 추리 통계 = 151
Ⅴ. 논의 및 결론 = 154
참고문헌 = 158
부록 = 161
청소년의 학교수업 몰입에 영향을 주는 교사 특성에 대한 연구 - 교사는 어떻게 학생들의 수업시간을 즐겁게 혹은 지루하게 만드나?
Ⅰ. 서론 = 167
1. 문제제기 = 167
2. 연구의 목적, 의의 및 한계 = 169
Ⅱ. 이론적 배경 = 170
1. 공교육 문제와 교실 수업 현상 = 170
2. 능동적으로 추구하는 재미: 몰입과 그 효과 = 172
3. 한국 청소년의 교실수업과 몰입경험 = 173
4. 수업 몰입과 교사의 의사소통 = 175
5. 연구문제의 설정 = 177
Ⅲ. 연구 설계 = 178
1. 연구 대상 = 178
2. 연구 변인 및 측정도구 = 181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183
Ⅳ. 결과 분석 = 184
1. 기술적 통계 = 184
2. 추리 통계 = 187
Ⅴ. 논의 및 결론 = 191
참고문헌 = 194
부록 = 197
중·고등학교 청소년 인권의 실태에 대한 조사
Ⅰ. 서론 = 207
1. 문제제기 = 207
2. 연구의 의의와 한계 = 210
Ⅱ. 조사 설계 = 211
1. 조사대상 = 212
2. 조사 방법 = 213
3. 분석방법 = 214
Ⅲ. 조사 결과 = 215
1.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 = 215
2. 학교생활규칙과 관련한 인권문제 = 219
3. 학교생활규칙의 시행 정도와 처벌 = 227
4. 학교에서의 인권침해 경험 = 237
5. 인권의식 = 241
Ⅳ. 요약 및 결론 = 256
1. 요약 = 256
2. 결론 = 261
부록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