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요무형문화재 . 제117호 : 한지장

중요무형문화재 . 제117호 : 한지장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삼기 정선화 최호식 , 사진
Corporate Author
한국 . 국립문화재연구소 , 기획
Title Statement
중요무형문화재 . 제117호 , 한지장 / 글: 김삼기, 정선화; 사진: 최호식; 국립문화재연구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민속원 ,   2007.  
Physical Medium
207 p. : 색채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중요무형문화재 시리즈
ISBN
978895638400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06
000 00803camccc200277 k 4500
001 000045467534
005 20100807040141
007 ta
008 070510s2007 ulka 001c kor
020 ▼a 9788956384009 ▼g 93380
035 ▼a (KERIS)BIB000010885548
040 ▼a 248003 ▼d 211009
082 0 4 ▼a 700.9519 ▼2 22
085 ▼a 700.953 ▼2 DDCK
090 ▼a 700.953 ▼b 2000 ▼c 117
245 0 0 ▼a 중요무형문화재 . ▼n 제117호 , ▼p 한지장 / ▼d 글: 김삼기, ▼e 정선화; ▼e 사진: 최호식; ▼e 국립문화재연구소.
260 ▼a 서울 : ▼b 민속원 , ▼c 2007.
300 ▼a 207 p. : ▼b 색채삽도 ; ▼c 23 cm.
490 0 0 ▼a 중요무형문화재 시리즈
504 ▼a 참고문헌: p. 206
700 1 ▼a 김삼기 ▼0 AUTH(211009)119382
700 1 ▼a 정선화 ▼0 AUTH(211009)12635
700 1 ▼a 최호식 , ▼e 사진
710 ▼a 한국 . ▼b 국립문화재연구소 , ▼e 기획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953 2000 117 Accession No. 11149012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삼기(지은이)

1959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저자는 대학교 3학년 때 부터 바이마르 문학 동인으로 활동했고, 1992년에 시집 《멀리서 다가오는 당신에게》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집필활동을 시작했다. 모 그룹 기획실에서 연설문 작성 책임자로 일했고, 전문매체에서 칼럼을 쓰기도 했던 저자는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문학 장르를 섭렵하며 2012년에는 ‘서정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매일 아침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멀리서 다가오는 단상’이라는 칼럼을 SNS로 소개하며 모바일문학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는 인터넷 매체 ‘물류on뉴스(www.logisonnews.co.kr)’ 대표 겸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조선시대 제지수공업과 지장 = 10
 1. 조선 전기 관영지소와 지장 = 10
  조지서와 지장 = 10
  지방지소와 지장 = 15
 2. 조선 후기 관영지소와 지장 = 18
  조지서의 쇠퇴 = 18
  지방지소의 변화 = 20
  민간제지업의 성장 = 25
Ⅱ 한지의 재료와 제작도구 = 30
 1. 한지의 재료 = 30
  닥나무 = 30
  자숙제 = 33
  닥풀 = 34
 2. 한지의 제작도구 = 36
 3. 한지의 종류 = 51
  재료에 의한 분류 = 51
  용도에 의한 분류 = 52
  색채에 의한 분류 = 55
  산지에 의한 분류 = 56
  크기와 두께에 의한 분류 = 57
Ⅲ 한지의 제작과정 = 60
 1. 전통한지 제조법 = 60
  닥나무 채취 = 63
  닥무지 = 67
  닥나무 껍질 벗기기 = 74
  백피 만들기 = 77
  수세하기 = 82
  잿물 만들기 = 85
  닥섬유 삶기 = 93
  수세와 일광표백 = 101
  닥섬유 두드리기 = 106
  닥섬유 해리 = 110
  닥풀 만들기 = 114
  지료와 닥풀 섞기 = 119
  물질하기 = 121
  뜬 종이 판에 붙이기 = 127
  둥글통으로 기포 제거하기 = 129
  습지와 발 분리하기 = 130
  압착탈수 = 132
  이릿대로 떼어내기 = 136
  일광건조 = 140
  도침하기 = 148
  한지 완성 = 155
 2. 석회지 제조법 = 156
 3. 전통색지 제조법 = 167
  치자 = 169
  황벽 = 176
  흥화 = 178
  소목 = 181
  쪽 = 184
 4. 전통한지와 개량한지의 차이 = 188
 5. 한지의 특성 = 189
Ⅳ 한지장의 전승현황 = 194
미주 = 202
참고문헌 = 206
영문요약 = 2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