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34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467418 | |
005 | 20120206140338 | |
007 | ta | |
008 | 080709s2008 ulk 000c kor | |
020 | ▼a 8978912494 ▼g 03850 | |
020 | ▼a 9788978912495 ▼g 03850 | |
035 | ▼a (KERIS)BIB000011363691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152.41 ▼2 22 |
085 | ▼a 152.41 ▼2 DDCK | |
090 | ▼a 152.41 ▼b 2008z8 | |
100 | 1 | ▼a Prekop, Jirina, ▼d 1929- ▼0 AUTH(211009)70251 |
245 | 1 0 | ▼a 감정이입 / ▼d 이리나 프레콥 지음 ; ▼e 신홍민 옮김 |
246 | 1 9 | ▼a Einfulung oder die Intelligenz des Herzens |
260 | ▼a 서울 : ▼b 큰나무, ▼c 2008 | |
300 | ▼a 215 p. ; ▼c 22 cm | |
650 | 0 | ▼a Empathy |
650 | 0 | ▼a Self-actualization(Psychology) |
650 | 0 | ▼a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700 | 1 | ▼a 신홍민, ▼d 1956-, ▼e 역 ▼0 AUTH(211009)72456 |
900 | 1 0 | ▼a 프레콥, 이리나, ▼e 저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2.41 2008z8 | 등록번호 1114899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2.41 2008z8 | 등록번호 1114899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의 면면을 보면 문제는 감정이입을 하지 못하는 데 있다. 저자는 사랑의 핵심인 '감정이입'이라는 명제를 통해 이 시대가 당면한 문제를 풀어나간다.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생존능력을 유지하려면, 원래 우리가 가지고 있던 감정이입 능력을 다시 습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수많은 사례를 통해서 우리에게,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정이입 능력의 결핍현상을 제시하고, 상대방을 배려하기가 어려워지는 이유를 밝히는 한편, 따뜻한 상호관계를 다시 복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진지한 모색을 시도한다.
우리 시대가 직면한 문제
화두는 바로 감정이입 능력의 결핍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의 면면을 보면 문제는 아무래도 감정이입을 하지 못하는 데 있다.
이 책의 저자, 이리나 프레콥은 사랑의 핵심인 감정이입이라는 명제를 통해 이 시대가 당면한 문제를 풀어나간다.
그녀는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생존능력을 유지하려면, 원래 우리가 가지고 있던 감정이입 능력을 다시 습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수많은 사례를 통해서 우리에게,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정이입 능력의 결핍현상을 제시하고, 상대방을 배려하기가 어려워지는 이유를 밝히는 한편, 따뜻한 상호관계를 다시 복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진지한 모색을 시도한다.
소통부재의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바로 감정이입의 능력이다!
오늘날 우리는 저마다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한 나머지 상대방에 대해 생각할 겨를이 없다.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모습이 우리 일상에서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다. 지하철에서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모습이 사라지고, 줄이 늘어선 계산대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새치기를 한다. 이렇듯 저마다 자기 자신만을 챙기고, 상대를 배려하지 않는 모습이 우리 주위에 비일비재하다.
감정이입의 부재는 비단 어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늘날 상대를 배려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가정교육을 통해서 터득하는 어린이들은 거의 없다.
저자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벌어지는 상황들, 다시 말하면 눈을 씻고 봐도 감정이입을 하려는 마음가짐을 찾아볼 수 없는 듯이 보이는 상황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사랑과 인간의 정체성이 위험에 처해 있는 깊은 내면세계 속으로 점차 파고드는 동시에 감정이입을 무분별하게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악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부정적인 측면이 상대방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서도 정의를 내린다.
저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예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인식들을 일반화하고, 감정이입을 정의하고, 어린 시절에 반드시 치러야 할 학습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그것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지적하고, 마지막으로는 다른 모든 삶의 단계에 필요한 제안들을 도출한다.
이제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사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공적인 영역에서도 갈수록 걱정스러운 모습을 드러내는 병든 시대정신을 분석하고, 우리 마음의 양심을 향해 이를 호소하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리나 프레코프(지은이)
1929년 생으로 심리학을 전공하였으며, 슈트트가르트 소재 어린이 병원에서 다년간 근무한 바 있다. 2008년 현재 보덴제 인근 린다우에 거주하면서 ‘강제포옹’에 대한 홍보, ‘강제포옹’ 치료법에 대한 강연과 세미나를 위해 왕성하게 활동 중이며, 그녀의 저서들은 16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신홍민(옮긴이)
대진대학교 교수. 전문번역가. 옮긴 책으로는 《자폐 어린이가 꼭 알려주고 싶은 열 가지》, 《부모와 아이 사이》, 《폭력의 기억, 사랑을 잃어버린 사람들》, 《평화는 어디서 오는가》,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 《2인조 가족》, 《형제》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5 제1장 감정이입의 결핍 1. 지하철과 기차에서 = 19 2. 보행자 전용구역과 장보기 = 32 3. 도로교통 = 55 4. 한 심리학자의 일상 = 72 제2장 감정이입의 그늘 1. 자신의 목적을 위해 어린이를 악용하는 부모 = 143 2. 사랑을 볼모로 벌을 주는 부모 = 157 3. 성추행 = 162 제3장 감정이입의 과정 1. 감정이입 능력의 발달 = 187 2. 감정이입을 저해하는 여러 가지 요인 = 199 3. 감정이입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안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