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73camcc2200349 c 4500 | |
001 | 000045464214 | |
005 | 20120615153932 | |
007 | ta | |
008 | 080204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151721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0839455 | |
040 | ▼a 247006 ▼c 247006 ▼d 247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2/00973 ▼2 22 |
085 | ▼a 371.200973 ▼2 DDCK | |
090 | ▼a 371.200973 ▼b 2007 | |
100 | 1 | ▼a Hoy, Wayne K. ▼0 AUTH(211009)44935 |
245 | 1 0 | ▼a 교육행정 : ▼b 이론, 연구, 실제 / ▼d Wayne K. Hoy, ▼e Cecil G. Miskel 저 ; ▼e 오영재 [외]역 |
246 | 1 9 | ▼a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g (7th ed.) |
260 |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07 | |
300 | ▼a xvii, 556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역자: 신현석, 양성관, 박종필 | |
500 | ▼a 부록: 교육 리더십을 위한 사례모음집 | |
504 | ▼a 참고문헌(p. [499]-55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chool management and organization ▼z United States |
700 | 1 | ▼a Miskel, Cecil G., ▼e 저 ▼0 AUTH(211009)107289 |
700 | 1 | ▼a 오영재, ▼e 역 ▼0 AUTH(211009)81289 |
700 | 1 | ▼a 신현석, ▼e 역 ▼0 AUTH(211009)88842 |
700 | 1 | ▼a 양성관, ▼e 역 |
700 | 1 | ▼a 박종필, ▼e 역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114890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114890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512775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114890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1148905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200973 2007 | Accession No. 1512775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Wayne K. Hoy(지은이)
<최신 교육행정의 이론탐색과 실제>
Cecil G.Miskel(지은이)
<최신 교육행정의 이론탐색과 실제>
오영재(옮긴이)
고려대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교육학박사(교육행정) 고려대학교 인문대학장 겸 인문정보대학원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회장 한국교육행정학회 편집위원 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인문대학 교직 교수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장 안암교육학회 회장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발전자문단장
신현석(옮긴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Wisconsin 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졸업(Ph.D) 한국교육정치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역임 교육부 대학발전기획단장, 정책숙려제위원장, 정책자문위원 역임 고려대학교 기획예산처장, 사범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 주요저서 한국의 교육개혁정책(학지사, 2000)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공저, 집문당, 2003)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학지사, 2005) 한국의 교원정책(학지사, 2010)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공저, 학지사, 2014) 한국의 대학평가(공저, 학지사, 2020)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사회적 체제로 보는 학교 이론 = 2 이론과 과학 = 3 이론과 실재 = 4 이론과 연구 = 5 이론과 연제 = 7 체제 시각 = 9 합리체제 : 기계모형 = 10 자연체제 : 유기적 모형 = 15 개방체제 : 통합 = 20 개방체제의 주요 특징 = 22 사회체제 모형 : 기본 가정 = 25 학교사회체제의 주요 요소 = 26 구조 = 27 개인 = 28 문화 = 30 정치 = 31 핵심기술 : 교수와 학습 = 32 환경 = 32 결과 = 33 내부 피드백 고리 = 35 외부 피드백 고리 = 35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 36 요약 및 추천 도서 = 39 핵심 가정 및 원리 = 41 후주 = 43 제2장 핵심기술 : 학습과 교수 학습 : 개념 정의 = 47 학습을 보는 행동적 시각 = 48 결과 = 48 선행조건 = 51 행동주의적 접근의 교수활동 응용 = 52 학습목표 = 53 완전학습 = 54 지시적 교수 = 55 학습을 보는 인지적 시각 = 58 지식과 학습 = 59 감각기억 = 62 작동기억 = 63 장기기억 = 65 인지적 접근의 응용 = 70 밑줄 긋기와 돋보이게 하기 = 72 노트필기 = 72 시각적 도구 = 73 기억술 = 73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 75 구성주의 유형 = 76 지식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 79 지식은 상황적인가 보편적인가? = 79 구성주의적 접근의 응용 = 81 탐구와 문제중심학습 = 83 인지적 도제제 = 85 협동학습 = 86 요약 = 91 핵심 가정 및 원칙 = 93 후주 = 94 제3장 학교의 구조 Weber의 관료제 모형 = 96 분업과 전문화 = 96 비정성 = 97 권위의 위계 = 97 규칙과 규정 = 97 경력 지향성 = 98 효율성 = 98 이상적 형태 = 98 Weber의 관료제 모형에 대한 비판 = 99 관료제 모형의 순기능과 역기능 = 99 규칙의 순기능과 역기능 = 101 비공식 조직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음 = 104 관료제 모형의 이중적 구조 = 109 관료제에 대한 여권 주창자들의 비판 = 110 학교 내의 공식 구조 = 112 관료 구조에 대한 Hall의 연구 = 112 조직 구조에 관한 Hoy와 Sweetland의 연구 = 117 Mintzberg의 구조 이론 = 121 이완 결합 관점 = 130 전문가와 관료제 간의 갈등 = 133 학교 내의 전문적 및 관료적 성향 = 135 요약 및 추천 도서 = 140 핵심 가정 및 원리 = 141 후주 = 142 제4장 학교 구성원 욕구 = 146 욕구의 위계 =147 욕구와 종업원들의 만족 = 151 성취욕구 = 154 자율욕구 = 156 목표 = 157 목표설정이론 = 158 신념 = 162 인과관계에 대한 신념 : 귀인이론 = 162 능력에 대한 신념 = 165 공정성에 대한 신념 : 공평성이론 = 167 결과에 대한 신념 : 기대이론 = 169 능력에 대한 신념 : 자아효능감이론 = 173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180 요약 및 추천 도서 = 184 핵심 가정 및 원리 = 185 후주 = 185 제5장 학교문화와 풍토 조직문화 = 188 조직문화의 정의 = 189 조직문화의 수준 = 190 문화의 기능 = 195 문화의 공통 요소 = 196 학교문화 = 196 조직풍토 = 211 조직풍토의 정의 = 211 조직개방성의 풍토 = 212 OCDQ : 연구 결과 = 214 조직건강의 풍토 = 216 OHI : 연구 결과 = 219 학교문화와 풍토의 변화 = 221 임상적 전략 = 221 성장 중심 전략 = 223 규범 변화 전략 = 224 요약 및 추천 도서 = 227 핵심 가정 및 원리 = 228 후주 = 229 제6장 학교의 권력과 정치 권위의 근원 : 합법적 권력 = 233 학교의 권위와 행정적 행동 = 235 권력의 근원 = 238 권력의 행정적 사용 = 240 권력에 대한 Mintzberg의 시각 = 243 권력시각의 비교와 종합 = 246 권력, 합리성 그리고 합리화 = 248 조직권력과 정치 = 250 외부 연합 = 251 내부 연합 = 252 권력게임 = 253 정치적 전술 = 255 정치게임 = 257 갈등 관리 = 263 요약 및 추천 도서 = 269 핵심 가정과 원리 = 270 후주 = 270 제7장 학교의 외부환경 과업 및 제도적 환경 = 274 정보 관점 = 275 환경의 불확실성 = 275 자원 의존 관점 = 276 정보와 자원 환경 관리하기 = 279 제도 관점 = 286 개념적 토대 = 287 제도 관점의 평가 = 293 제도적 환경의 관리 = 293 정책 결정과 교육 환경 변화 = 296 요약 및 추천 도서 = 302 핵심 가정 및 원리 = 303 제8장 학교의 효과성과 질 학교 효과성 - 도전적인 행정 실제 = 307 사회체제와 학교 효과성 = 311 투입 기준 = 311 성취 결과 = 311 변환의 기준 = 315 책무성과 교육 개혁 = 321 요약 및 추천 도서 = 333 핵심 가정 및 원리 = 334 제9장 학교에서의 의사결정 고전적 모형 : 최적화 전략 = 338 행정적 모형 : 만족화 전략 = 339 기본적인 가정들 = 339 의사결정 과정 : 행동주기 = 342 점진 모형 : 계속적 제한 비교의 전략 = 351 혼합 모형 : 적응적 전략 = 353 상황적합적 접근 : 상황에 알맞은 전략 = 356 쓰레기통 모형 : 비합리적인 의사결정 = 358 Janis-Mann의 갈등 이론 : 의사결정 내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성 = 361 의사결정의 참여 = 364 Hoy-Tarter의 참여적 의사결정 모형 = 365 집단적 의사결정의 주의점 : 집단적 사고 = 373 요약 및 추천 도서 = 378 핵심 가정 및 원리 = 380 후주 = 381 제10장 학교에서의 의사소통 의사소통에 대한 개인적 접근 = 385 의사소통 과정의 일반적 모형의 구성요소 = 387 개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 390 의사소통에 대한 조직적 관점 = 402 조직의 의사소통 = 402 학교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목적 = 402 의사소통 네트워크 = 403 학교 내에서의 공식적 의사소통 네트워크 = 405 학교 내에서의 비공식적 의사소통 네트워크 = 409 보완적인 네트워크 : 공식적 및 비공식적 의사소통 = 411 요약 및 추천 도서 = 419 핵심 가정 및 원리 = 419 제11장 학교 리더십 리더십의 정의 = 423 행정 업무의 본질 = 425 특성, 기술, 리더십 = 426 상황과 리더십 = 432 행동과 리더십 = 434 리더십 효과 = 437 상황 적응적 리더십 모형 = 437 리더십 시각의 변화 = 444 변혁적 리더십 모형 = 445 세 유형의 리더십 = 446 변혁적 리더십 이론과 연구 = 448 분산 리더십(Distributed Leadership) = 452 요약 및 추천도서 = 457 주요 가정 및 원리 = 458 후주 = 459 제12장 종합 검토 종합모형 = 461 학교 구조 = 462 학교 구성원 = 463 학교 문화와 풍토 = 464 학교 권력과 정치 = 465 교수와 학습 = 466 학교의 외부 환경 = 467 학교의 효과성, 책무성 그리고 개선 = 468 학교 의사결정 = 469 학교 의사소통 = 470 학교 리더십 = 470 행정적 행동 = 471 조직 딜레마 = 472 조정과 의사소통 = 472 관료적 규율과 전문적 지식 = 473 행정적 계획과 개인의 창의 = 474 행동과 인식으로서의 학습 = 475 결론 = 476 부록 : 교육 리더십을 위한 사례모음집 = 477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