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놀이의 힘 (2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Elkind, David, 1931- 이주혜, 역
서명 / 저자사항
놀이의 힘 / 데이빗 엘킨드 지음; 이주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스미디어,   2008  
형태사항
303 p. ; 23 cm
원표제
(The) power of play : how spontaneous, imaginative activities lead to happier, healthier children
ISBN
9788959751372
일반주제명
Play -- Psychological aspects
000 00856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463938
005 20130213144436
007 ta
008 080604s2008 ulk 000c kor
020 ▼a 9788959751372 ▼g 13000
035 ▼a (KERIS)BIB000011310561
040 ▼a 211057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155.4/18 ▼2 22
085 ▼a 155.418 ▼2 DDCK
090 ▼a 155.418 ▼b 2008z2
100 1 ▼a Elkind, David, ▼d 1931- ▼0 AUTH(211009)58815
245 1 0 ▼a 놀이의 힘 / ▼d 데이빗 엘킨드 지음; ▼e 이주혜 옮김
246 1 9 ▼a (The) power of play : ▼b how spontaneous, imaginative activities lead to happier, healthier children
260 ▼a 서울 : ▼b 한스미디어, ▼c 2008
300 ▼a 303 p. ; ▼c 23 cm
650 0 ▼a Play ▼x Psychological aspects
700 1 ▼a 이주혜, ▼e▼0 AUTH(211009)28702
900 1 0 ▼a 엘킨드, 데이빗,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11489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114893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310325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11489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114893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 2008z2 등록번호 1310325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인 데이빗 엘킨드 박사는 아동의 놀이가 무엇보다 학습을 위한 준비과정이라는 사실을 설득력 있는 예시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비쳬계적인 '휴식시간'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가정, 학교, 지역 사회 어느 곳이든 아이들의 삶 속에서 놀이가 차지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예컨대 아기들의 옹알이는 언어습득을 위한 필수적인 예비행동이고, 블록을 가지고 노는 아이들은 수학의 기본토대가 되는 동질성과 이질성, 크기의 차이 등의 개념을 새로이 알아간다. 이 책은 그 무엇에도 견줄 수 없는 확고한 권위와 신뢰할 수 있는 분별력을 갖추고 젋은 세대의 소중한 어린 시절을 독점하려는 과대 포장된 교육 상품들과 과외 활동에 현혹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전세계 100만 독자를 사로잡은
<기다리는 부모가 큰 아이를 만든다>의 저자
데이빗 엘킨드의 최신작
지친 우리 아이들, 차라리 놀게 하라!


요즘 아이들은 바쁘다. 영어도 배워야 하고 어린이 축구 교실도 가야 한다. 또한 자극적인 텔레비전 영상물, 수동적인 전자 게임 등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 미디어에서는 어른처럼 성숙하고 세련된 아이들이 등장하고, 어린이 교육용 교재를 만드는 사람들은 빨리 교육을 시작하라고 부추긴다. 이렇게 정신없이 외쳐대는 미디어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모들은 자녀에게 조금 더 좋은 미래를 만들어주고자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상업화가 이미 생활이 되어버린 현실 속에서 무엇이 진정 우리 아이들을 위한 것인지 잊히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우리 아이들은 더 똑똑하고 건강해졌는가?
데이빗 엘킨드 박사는 오히려 그 반대가 되었다고 말한다. 2000년 제1회 아동정신건강에 관한 미공중위생국 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뚜렷한 이유 없이 고통을 호소하는 어린이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다. 전체 아동 인구의 약 20% 이상이 현재 이와 같은 문제로 고통 받고 있다. 영국 하원에 제출된 유럽 지역 아동들의 조기교육 실태 보고서를 살펴보면 만 6세 이전의 형식적인 학습 지도는 효과가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이른 나이에 교육을 시작하는 영국보다 다른 나라들의 읽기, 쓰기, 기본적인 계산 능력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영양가 높은 음식, 규칙적인 운동 경기, 어린 나이에 시작하는 학습 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 아이들은 20년 전보다 더 약해지고 학습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 왜 우리 아이들은 반대로 가고 있는 걸까?

진정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놀이
이는 아동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설립한 기관들이 아이들의 감정상, 행동상, 발달상의 욕구를 전혀 충족시켜주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과도한 교육으로 아이들은 자기만의 상상과 기질을 활용할 놀이 시간을 박탈당하고 있다. 놀이는 단순히 즐거움만을 위한 수단이 아니다. 아이들은 자기주도적인 게임이나 역할놀이를 통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상호존중과 협동심을 배운다. 또래친구들과 자발적인 규칙을 통해 놀이를 즐기며 자신의 욕망을 집단의 규칙 아래 두는 사회화 과정도 자연스럽게 익힌다. 바로 놀이는 이런 과정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을 가능케 한다.

데이빗 엘킨드 박사가 말하는 진정한 놀이의 힘
데이빗 엘킨드 박사는 《<놀이의 힘>을 통해 아동의 놀이가 무엇보다 학습을 위한 준비과정이라는 사실을 설득력 있는 예시와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비체계적인 '휴식시간'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가정, 학교, 지역 사회 어느 곳이든 아이들의 삶 속에서 놀이가 차지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회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예컨대 아기들의 옹알이는 언어습득을 위한 필수적인 예비행동이고, 블록을 가지고 노는 아이들은 수학의 기본토대가 되는 동질성과 이질성, 크기의 차이 등의 개념을 새로이 알아간다. 이 책은 그 무엇에도 견줄 수 없는 확고한 권위와 신뢰할 수 있는 분별력을 갖추고 젊은 세대의 소중한 어린 시절을 독점하려는 과대 포장된 교육 상품들과 과외 활동에 현혹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비드 엘킨드(지은이)

미국 터프츠대학교의 아동학 명예교수이며, 세계적인 아동심리학 권위자이자 저명한 교육자이다. 미국 UCLA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로체스터대학교와 터프츠대학교에서 심리학 및 아동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미국 유아교육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엘킨드 교수는 10개 학술기관의 회원이며, 여러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주 정부 및 연방 정부의 교육 관련 부처와 사립재단들에서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엘킨드 교수는 『기다리는 부모가 큰 아이를 만든다』, 『다 컸지만 갈 곳 없는 청소년』, 『놀이의 힘』 등 18권의 책을 썼으며, 연구논문, 학술지 게재 기사, 공저 등 500건에 달하는 저작 목록을 갖고 있다. 그는 조기교육 유행에 비판적인 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광범하게 강의하고 있다.

이주혜(옮긴이)

마흔을 앞두고 번역을 시작했고, 그다음엔 소설을 썼다. 2016년 단편 〈오늘의 할 일〉로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 《자두》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를 썼고,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 《모든 빗방울의 이름을 알았다》 《나의 진짜 아이들》 등을 옮겼다. 다만 읽고 쓰고 옮기는 삶이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 6
제1부 변화하는 놀이의 세계
 1장 놀이, 사랑, 그리고 일 : 세 가지 필수요소 = 15
  1. 유아기와 초기 아동기 = 18
  2. 초등학교 시기(만 6세~12세) = 20
  3. 청소년기 = 24
  4. 성인기 = 25
 2장 '장난감은 우리 것'이 아니다 = 29
  1. 장난감 놀이가 주는 개인적 이득의 변화 = 30
  2. 장난감 놀이가 주는 사회적 이득의 변화 = 42
 3장 화면놀이와 아이콘 방식의 문자 교육 = 59
  1. 전자매체 = 60
  2. 꼬마들을 위한 텔레비전 = 68
  3. 유아와 취학 전 아동용 컴퓨터 = 75
  4. 학령기 아동을 위한 컴퓨터 게임 = 80
 4장 아이들의 놀이와 부모들의 걱정 = 93
  1. 부모의 부담감 = 94
  2. 부모의 걱정이 초래한 몇 가지 결과 = 111
제2부 놀이, 학습, 그리고 발달
 1장 아동의 학습 방식에 대한 오해들 = 127
  1. 아동의 학습 방식에 대한 세 가지 오해 = 130
  2. 놀이를 통한 학습 = 145
 2장 이유 있는 놀이 : 수학, 읽기, 과학의 단위 구축하기 = 164
  1. 이성의 시기 = 167
  2. 이성의 시기에 도달하다 = 176
  3. 수학, 읽기, 과학의 단위 구축하기 = 186
 3장 단순한 놀이, 그 이상 : 사회화 과정에서 놀이의 역할 = 197
  1. 게임과 사회화 = 198
  2. 게임 시작하기 = 207
  3. 습득놀이 = 209
  4. 친화놀이 = 217
  5. 연극놀이 = 220
  6. 치유놀이 = 224
제3부 놀이의 힘
 1장 낙천적인 부모 노릇 = 231
  1. 유머와 놀이, 사랑, 일의 통합 = 232
  2. 연령과 유머의 단계 = 234
  3. 유머를 이용한 훈육 = 240
  4. 부모의 열정을 공유하기 = 246
  5. 가족 지간 = 253
 2장 감정, 이성, 신체가 조화를 이루는 학교생활 = 262
  1. 새로운 교육 현실 = 264
  2. 초기 아동기 교육 유형 = 268
  3. 초기 아동기 교육 모델의 실천상들 = 273
  4. 연구를 통한 규명 = 281
  5. 체제의 쇄신 = 284
에필로그 : 일생의 선물 = 290
감사의 말 = 293
주 = 295

관련분야 신착자료

Marmion, Jean-François (2022)
여태철 (2023)
최경숙 (2023)
박창호 (2023)
Lipsky, Laura van Dernoo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