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아교육연구방법

유아교육연구방법 (Loan 4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옥분
Title Statement
유아교육연구방법 / 정옥분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8.  
Physical Medium
437 p : 삽도 ; 25 cm.
ISBN
978895891668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15-428) 및 색인수록
000 00656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61929
005 20100807025836
007 ta
008 080611s2008 ulka b 001c kor
020 ▼a 9788958916680 ▼g 93370
035 ▼a (KERIS)BIB000011323911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72.21072 ▼2 22
090 ▼a 372.21072 ▼b 2008
100 1 ▼a 정옥분 ▼0 AUTH(211009)41303
245 1 0 ▼a 유아교육연구방법 / ▼d 정옥분 지음.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8.
300 ▼a 437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15-428) 및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고려대학교 특별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집필되었음.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072 2008 Accession No. 1114860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072 2008 Accession No. 1114860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옥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아동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박사과정 졸업(인간발달 전공 Ph.D.) 한국아동학회 회장,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교환교수, ISSBD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어린이집 고문 저서 아동연구와 통계방법(학지사, 2010) 성인·노인심리학(학지사,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학지사, 2008) 유아교육 연구방법(학지사, 2008) 청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8)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개정판, 학지사, 2007) 사회정서발달(학지사, 2006) 청년심리학(학지사, 2005) 발달심리학(학지사, 2004) 영유아발달의 이해(학지사, 2004) 아동발달의 이론(학지사, 2003) 아동발달의 이해(학지사, 2002) 성인발달과 노화(교육과학사, 2001) 공저 아동복지론(학지사, 2012) 보육과정(학지사, 2009) 애착과 발달(학지사, 2009) 노인복지론(학지사, 2008) 보육학개론(학지사, 2008) 부모교육(학지사, 2008) 예비부모교육(학지사,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학지사, 2007) Parenting beliefs,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공편, Psychology Press, 2006) 결혼과 가족의 이해(시그마프레스, 2005) 고등학교 인간발달(교육인적자원부, 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23집(집문당, 2003)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양서원, 2000) 개정판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97) 사랑으로 크는 아이(계몽사, 1996) 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사, 1994)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89) 가족과 환경(교문사, 1986) 역서 학위논문작성법: 시작에서 끝내기까지(공역, 시그마프레스, 2004) 청년발달의 이론(공역, 양서원, 1999) 인간발달의 이론(교육과학사, 1995) 인간발달 Ⅱ: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교육과학사, 1992) 부모교육 이론과 적용(공역, 국민서관, 1989) 논문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University of Maryland 박사학위논문, 1983) 전통 ‘효’ 개념에서 본 부모역할인식과 자녀양육행동(1997) 영아기 기질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2~4세 아동의 행동억제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8개국 비교문화연구를 위한 기초연구(2003)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Initial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2004) A Cross-Cultural Study of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East-West-North-South(2006)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Conformative Peer Bullying(2012) 외 논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13
 1. 아동연구의 목적 = 14
  1) 기술 = 14
  2) 설명 = 14
  3) 적용 = 15
 2. 아동연구의 역사 = 16
  1) 고대 그리스 = 17
  2) 중세기 = 19
  3) 17세기 = 20
  4) 17세기 말 = 20
  5) 18세기 후반기 = 21
  6) 18세기 말~19세기 초 = 22
  7) 19세기 전반기 = 24
  8) 19세기 후반기 = 26
  9) 20세기 이후 = 28
 3. 아동연구의 과정 = 30
  1) 문제의 제기 = 30
  2) 중요한 요인의 발견 = 31
  3) 문제의 검증 = 31
  4) 가설의 수락 또는 기각 = 31
 4. 아동연구의 요소 = 32
  1) 이론 = 32
  2) 개념 = 36
  3) 변인 = 38
  4) 가설 = 40
 5. 한국 아동연구의 역사와 연구경향 = 41
제2장 아동연구의 이론적 기초 = 45
 1. 성숙이론 = 46
  1) 성숙의 개념 = 46
  2) 발달의 원리 = 47
  3) 발달의 규준 = 50
 2. 학습이론 = 50
  1)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51
  2)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53
 3. 정신분석이론 = 55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 56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 60
 4. 인지발달이론 = 63
  1) Piaget 이론의 주요 개념 = 63
  2)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 64
 5. 동물행동학적 이론 = 66
  1) Lorenz의 각인이론 = 66
  2) Bowlby의 애착이론 = 68
  3) Wilson의 사회생물학이론 = 70
 6. 생태학적 이론 = 71
  1) 미시체계 = 72
  2) 중간체계 = 74
  3) 외체계 = 74
  4) 거시체계 = 75
  5) 시간체계 = 75
 7. 우리나라의 아동발달이론 = 76
  1) 유교적 아동발달관 = 76
  2) 불교적 아동발달관 = 80
제3장 아동연구의 일반적 절차 = 83
 1. 연구주제의 선정 = 84
  1) 연구문제 = 85
  2) 가설 = 87
 2. 관련문헌의 고찰 = 88
  1) 관련문헌의 출처 = 88
  2) 관련문헌의 구성 = 91
 3. 연구대상의 선정 = 94
  1) 표집의 종류 = 96
  2) 표본의 크기 = 99
 4. 측정도구의 선정 = 100
  1) 신뢰도 = 101
  2) 타당도 = 102
 5. 자료의 수집과 분석 = 106
  1) 자료수집 = 106
  2) 자료분석 = 108
 6. 연구결과의 보고 = 110
  1) 학술논문의 체재 = 110
  2) 학술논문의 내용 = 111
제4장 관찰연구 = 117
 1. 관찰연구의 특성 = 118
 2. 관찰연구의 유형 = 120
  1) 자연관찰 = 120
  2) 통제관찰 = 121
  3) 참여관찰 = 124
  4) 비참여관찰 = 127
  5) 문서연구 = 127
  6) 민족지학적 연구 = 131
 3. 관찰연구의 절차 = 133
  1) 연구목적의 설정 = 134
  2) 관찰자의 선정과 훈련 = 134
  3) 관찰행동의 선정 = 135
  4) 관찰행동의 표집 = 137
  5) 관찰행동의 기록 = 138
 4. 관찰기록의 방법 = 140
  1) 일화기록법 = 141
  2) 시간표집법 = 142
  3) 사건표집법 = 143
  4) 평정척도법 = 145
  5) 행동목록표 = 145
 5. 관찰자 효과 = 147
  1) 관찰대상에 미치는 관찰자의 효과 = 147
  2) 관찰자의 개인적 편견 = 148
  3) 평정의 오류 = 148
  4) 기록의 생략 = 149
  5) 관찰자의 표류 = 149
  6) 신뢰도 감소 = 150
 6. 관찰자 신뢰도 = 150
  1) 상관계수법 = 151
  2) 관찰자 간 일치도 = 151
  3) 카파계수 = 154
 7. 관찰연구의 평가 = 156
  1) 관찰연구의 장점 = 156
  2) 관찰연구의 단점 = 158
제5장 조사연구 = 161
 1. 조사연구의 특성 = 162
  1) 조사연구의 유형 = 163
  2) 조사연구의 일반적 절차 = 165
 2. 질문지법 = 166
  1) 질문지법의 유형 = 168
  2) 질문지의 구성 = 169
  3) 질문지 문항의 작성 = 174
  4) 질문지법과 응답률 = 178
  5) 질문지법의 평가 = 181
 3. 면접법 = 185
  1) 면접법의 유형 = 186
  2) 면접법의 절차 = 191
  3) 면접법의 유의사항 = 197
  4) 면접법의 평가 = 198
제6장 실험연구 = 201
 1. 실험연구의 기초 = 202
  1) 실험대상 = 203
  2)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 204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207
  4) 무선할당 = 208
  5) 실험도구 = 209
 2. 실험과 통제 = 210
  1) 실험통제의 논리 = 210
  2) 가외변인과 저해변인 = 212
  3) 제3의 변인 통제방법 = 213
  4) 실험처치 순서효과와 통제 = 215
 3. 실험연구의 종류 = 216
  1) 실험실 실험 = 216
  2) 현장 실험 = 218
  3) 자연 실험 = 220
 4. 실험연구의 평가기준 = 221
  1)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인 = 222
  2) 외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인 = 227
 5. 실험설계의 종류 = 235
  1) 사전실험설계 = 236
  2) 유사실험설계 = 242
  3) 진형실험설계 = 246
제7장 아동연구와 심리검사 = 251
 1. 심리검사의 특성 = 252
  1) 검사의 표준화 = 253
  2) 신뢰도 = 255
  3) 타당도 = 255
 2. 심리검사의 역사 = 256
  1) 초기의 관심 = 256
  2) Galton의 공헌 = 257
  3) Cattell과 초기의 정신검사 = 258
  4) Binet와 지능검사의 기원 = 259
  5) 집단검사 = 261
  6) 성격검사 = 262
  7) 우리나라 심리검사의 발전 = 265
 3. 발달선별검사 = 268
  1) Apgar 검사 = 268
  2) Brazelton의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 270
  3) Bayley의 영아발달검사 = 270
  4) Gesell의 발달검사 = 272
  5) Denver 발달선별검사 = 273
 4. 지능검사 = 275
  1) Binet 지능검사 = 275
  2) Stanford-Binet 지능검사 = 277
  3) Wechsler 지능검사 = 279
  4) Kaufman 지능검사 = 284
 5. 성격검사 = 285
  1) 기질점사 = 286
  2) 아동용 성격검사 = 288
  3) 유아성격검사 = 290
 6. 투사검사 = 291
  1) Rorschach 검사 = 291
  2) 주제통각검사 = 293
  3) 아동용 통각검사 = 295
  4) 단어연상검사 = 296
  5) 문장완성검사 = 297
제8장 측정: 신뢰도와 타당도 = 299
 1. 측정의 개념 = 300
 2. 측정의 수준 = 302
  1) 명목척도 = 302
  2) 서열척도 = 303
  3) 등간척도 = 304
  4) 비율척도 = 305
 3. 척도(측정도구)의 종류 = 307
  1) 자기보고식 척도 = 307
  2) 행동척도 = 312
 4. 신뢰도 = 315
  1) 신뢰도의 정의 = 317
  2) 신뢰도의 종류 = 318
  3) 신뢰도계수와 영향요인 = 325
  4) 신뢰도계수의 증진방안 = 327
 5. 타당도 = 328
  1) 타당도의 정의 = 329
  2) 타당도의 종류 = 331
  3) 교차 타당화 = 338
  4) 타당도의 일반화 = 338
제9장 기술통계 = 341
 1. 빈도분포 = 342
 2. 집중경향치 = 346
 3. 분산도 = 348
 4. 상관 = 350
  1)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 351
  2) 상관과 인과관계 = 352
  3) 상관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54
  4) 기타 상관계수 = 359
제10장 추리통계 = 365
 1. 가설검증과 추리통계 = 366
  1) 가설검증의 과정 = 366
  2) 일방검증과 양방검증 = 369
  3) 가설검증의 오류 = 371
 2. t검증(t tests) = 373
  1) 독립표본과 상관표본의 t검증 = 374
  2) 기본 가정 = 375
 3. 변량분석 = 376
  1) 일원변량분석 = 376
  2) 이원변량분석 = 381
  3) 삼원변량분석 = 388
 4. 공변량분석 = 393
  1) 일원공변량분석 = 396
  2) 다원공변량분석 = 397
  3) 기본 가정 = 398
 5. 회귀분석 = 400
  1) 단순회귀분석 = 400
  2) 다중회귀분석 = 402
  3) 교차 타당화 = 407
 6. 카이제곱검증 = 408
  1) 단일표본 카이제곱검증 = 408
  2) 독립표본 카이제곱검증 = 411
 7. 스피어만의 순위상관계수 = 413
참고문헌 = 415
찾아보기 = 4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