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사 서문 = 3
젤카 T. 모레노의 서문 = 7
도입 = 11
제1부 행위로 트라우마 치료하기
제1장 트라우마 생존자들에 대한 심리극의 치료 단계 = 29
이론적 근거 = 31
PTSD를 다루는 심리극의 치료 단계 = 33
논의 = 44
참고문헌 = 46
제2부 상실: 트라우마의 핵심 정서
제2장 사별 슬픔 극복을 촉진하기 위한 심리극적 방법론 = 51
잉여현실 = 53
구체적인 경험에의 집중 = 54
능동적 중립성 = 55
마지막 만남 = 56
사례 연구 = 57
보다 기술적인 정교함 = 59
나누기 = 60
적용 = 61
참고문헌 = 62
제3장 단기 심리극과 사별 = 65
사별에 초점을 둔 단기 심리극 = 67
사례 연구 = 71
결론 = 72
참고문헌 = 73
제3부 트라우마화된 사람들: 희생자에서 생존자로
제4장 강간과 고문에 대한 심리극: 16년간의 추적 사례 연구 = 77
무슨 일이 있었나 = 78
어떻게 심리극을 시작했는가 = 81
현 문제 = 81
심리극 웜업 = 82
치료자의 관점 = 83
심리극의 실연: '만일 ~라면 어땠을까?' = 85
실제 사건의 실연 = 86
잉여현실에서의 작별과 마무리의 실연 = 87
치료 과정에 대한 치료자의 관찰과 검토 = 88
왜 심리극이 도움이 되었는가 = 90
외상후 스트레스의 재발 = 96
요약: 이론적 고려와 적용기법 = 100
권한 부여 = 103
주인공의 정리 = 104
참고문헌 = 104
제5장 트라우마 희생자에 대한 심리극 = 107
마리아의 심리극: 주인공의 말 = 107
장면 = 112
재트라우마화 = 114
미국에서의 심리극과 트라우마에의 두 가지 접근법 = 115
정신과 병동에서의 심리극 = 116
트라우마 해결 이론들 = 120
치료 매개체로서의 희망 = 121
기법 = 123
가해자와의 역할바꾸기 = 124
참고문헌 = 125
제6장 가족의 포로: 학대받은 아동들과의 심리극 = 127
성학대로 인한 상처 = 128
개인 및 집단 치료 = 130
적합한 치료를 위한 평가 = 132
치료 방법 = 134
치료자 집단 = 138
집단의 과정 = 139
회기의 내용 = 141
결과 = 144
논의 = 147
참고문헌 = 148
제7장 트라우마와 중독 치료에서의 심리극 = 151
중독 = 153
트라우마 = 155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극 = 158
손상된 영역을 회복하고 재건하는 데 심리극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 158
트라우마와 중독을 위한 심리극 방법 = 160
트라우마와 중독의 사회원자 = 171
결론 = 178
참고문헌 = 179
제8장 청소년 성범죄자들과의 심리극 = 181
이론과 연구 = 182
왜 성범죄자들에게 심리극을 이용하는가 = 186
엄업 = 188
집단 과정 = 191
사회원자 회복 = 193
보유적 이중자 = 194
피해자 공감 = 195
사례 연구 = 198
결론 = 199
참고문헌 = 200
제9장 시간의 왜곡된 거울: 성인 남성 성범죄자들과의 트라우마 작업 = 205
도입 = 207
성범죄자들의 트라우마 경험 = 208
왜곡된 거울을 통해 보기: 희생자에서 희생시키는 자가 되다 = 210
성범죄자 치료 프로그램 상황에서의 트라우마 작업 = 214
정서를 통해 작업하기: 성범죄자의 트라우마 내력을 다루는데 심리극 사용의 이점 = 215
임상적 응용: 기법과 개입 = 218
역할바꾸기를 위한 웜업 = 218
피해자에서 가해자로 가는 심리극 과정 보이기 = 219
가해자 역할에 직면하기 = 220
사후 검사: 'Mr. 자기인식'을 사용한 역할훈련 = 221
사례 연구 = 222
결론 = 226
참고문헌 = 228
제10장 해리성 자아정체장애의 심리극 치료 = 233
심리극 역사의 개관 = 234
심리극 구조 = 234
표현과 억압 = 235
행위 갈망과 열린 긴장 체계 = 236
사례 연구 = 237
요약 및 제언 = 242
참고문헌 = 243
제11장 심리극에서 나타나는 해리 상태와 치료 = 247
사례 연구: 루스 = 248
사례 연구: 버짓과 셀마 = 254
심리극에서의 해리 상태에 대한 일반적 논의 = 258
참고문헌 = 259
제12장 교통사고 생존자들과의 심리극 = 261
PTSD의 증상과 신경생리적 기제 = 262
교통사고 생존자들 = 265
평가와 진단적 이슈 = 267
치료: 연구와 치료 장면 = 268
치료: 심리극 이론과 효과성 = 269
개인치료 첫 단계: 치료 관계 형성 = 269
개인치료 두 번째 단계: 권한 부여 = 272
개인치료 세 번째 단계: 안전한 공간기법 = 275
개인치료 세 번째 단계: 트라우마 장면 고쳐쓰기와 치료적인 대체 장면으로 재배치하기 = 276
개인치료 네 번째 단계: 삶과의 재결합 = 280
PTSD와 공존병리적 애도 반응 = 281
여러 장애 생존자들과의 집단 작업 = 284
가족의 통합 = 286
마무리 = 288
참고문헌 = 288
제4부 치료의 경험적 모델
제13장 치료적 나선형 모델: 행위로 PTSD 치료하기 = 297
치료적 나선형 모델의 개요 = 298
경험적 심리치료와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 299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내담자 = 300
경험적 자기 조직화: '내담자 맞춤형' 구조적 틀 = 301
치료적 나선형 이미지 = 301
나선형 이미지에서의 세 가닥 = 302
트라우마 거품 = 305
트라우마 생존자의 내면 심리적 역할원자 = 306
지시적 역할 = 307
트라우마 기반 역할 = 311
변형된 역할 = 314
안전을 위한 임상적 구조화: 행위 지침들 = 315
행위 트라우마 팀 = 315
천으로 원 만들기 = 318
재경험 심리극 유형 = 320
의식적 재경험 원칙 = 322
발달된 개입 전략: 행위 단계들 = 324
결론 = 326
참고문헌 = 326
제14장 치유 주기: 발달적 트라우마의 치료 = 331
치유 주기 = 333
인간 발달의 사계절 = 334
발달적 트라우마의 종류 = 337
개인 신화 = 339
치유 주기에 따른 차별화된 디렉팅 = 344
유기의 치유 주기: 메리 = 347
배신의 치유 주기: 줄리엣 = 349
무기력의 치유 주기: 스콧 = 352
혼돈의 치유 주기: 해리슨 = 355
결론 = 358
참고문헌 = 359
제5부 연결 고리 끊기: 전이
제15장 건강과 죽음: 가계도를 통한 숨겨진 고리들 = 363
사례 연구: 바바라 = 365
가계-도해 만들기 = 368
치료 효과 = 369
차가운 단두대: 프랑스혁명 = 370
천식을 가진 어린아이 = 371
가족사: 두 거리에서의 죽음, 동일한 날짜 및 50년의 거리 = 374
케네디가의 기념일 = 375
수술과 '기념일 증후군' = 375
사회 계층 신경증 = 376
트라우마와 심리극의 짧은 장면 = 377
트라우마와 전쟁 후 트라우마를 가지고 한 심리극 = 378
자이가르니크 효과: 미해결 과제 = 380
결론 = 381
참고문헌 = 382
제16장 베트남전 재향군인과 그 가족과의 심리극: 트라우마 스트레스의 두 희생자 = 385
문헌 = 385
PTSD의 희생자들 = 388
사례 연구 = 394
결론 = 405
참고문헌 = 406
제17장 트라우마의 2차 희생자: 제2의 생존자 낳기 = 409
도입 = 410
관점: 유용한 도해 = 411
첫 번째 생존자 = 413
2차 생존자 = 414
상호 의존/사호 연결에 대한 관점 = 416
첫 번째 희생자 치료의 우선권 = 417
트라우마와 카오스 이론 = 420
사회의학 = 423
트라우마, 카오스 및 사회의학: 이론과 적용 = 427
사례 연구: 도(Doe)씨 가족과 지지 연계망 = 428
관찰 및 결론 = 437
참고문헌 = 439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