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문식성과 문식성 교육의 이해
인간, 언어, 교육 그리고 문식성 / 노명완 = 13
21世紀 文識性의 特性과 文識性 敎育의 課題 / 朴泳穆 = 42
문화와 문식성(文識性)의 관계 맺기 / 박인기 = 78
국어 능력, 문식 능력, 통합적 국어 교육 / 이관규 = 99
문학 독서의 사회ㆍ문화적 모델과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 / 최인자 = 118
현대 사회와 직업 문식성 / 이형래 = 136
잠재적 문식성 계발을 위한 문식 환경의 창출 / 박수자 = 156
문식성 개념 변화와 교육과정적 함의 / 정혜승 = 169
문식성 평가의 동향 / 최미숙 = 192
문식성 교육과 국어 교사의 역할 / 심영택 = 208
다중모드 문식성 / 옥현진 = 224
인터넷 문식성에 대한 심미적 접근으로서의 디지털 서사의 교육 / 정현선 = 254
문식성 교육과 양적 연구 방법론 / 윤준채 = 276
02 읽기 및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읽기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양상 / 이성영 = 295
읽기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 이도영 = 315
텍스트 이해 과정과 맥락의 소통 / 이경화 = 332
읽기 영역 지도 내용 / 손영애 = 355
독서와 정서 / 이순영 = 380
어휘력과 읽기 / 이충우 = 406
한글 글깨치기 지도 방법 / 이천희 = 416
텍스트 구조와 읽기 학습 / 김재봉 = 442
텍스트 이해 과정에서의 질문의 기능과 유형 / 박정진 = 470
수업대화 분석과 읽기 수업 장학 / 박태호 = 493
모둠 독서 활동(Book Club activity)의 연구 동향과 전망 / 김라연 = 508
읽기 교육과 문법 / 신명선 = 527
매체의 변화와 읽기 교육의 방향 / 서유경 = 547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독서 전략의 탐색과 기술 / 조병영 = 567
03 쓰기 및 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작문 교육학의 정체성 / 이재승 = 595
쓰기 동기와 쓰기 교육 / 박영민 = 610
필자의식에 따른 쓰기문제 점검 / 이정숙 = 630
내용영역의 쓰기 / 김선민 = 657
쓰기 수업의 질적 탐구 / 이수진 = 685
논술의 성격과 지도 방향/ 서수현 = 703
쓰기 평가의 주요 문제와 그 해결 방법 / 조재윤 = 724
쓰기 교육과 문법 / 주세형 = 755
협동 작문과 쓰기 워크숍 지도 방법 / 오택환 = 769
토론을 통한 쓰기 교육 / 김지연 = 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