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유아 문학과 교육적 기능 = 11
제1절 유아 문학의 본질 = 12
1. 유아 문학의 정의 = 12
2. 유아 문학과 성인 문학 = 13
3. 유아문학의 즐거움을 구성하는 요소 = 13
4. 유아 문학의 조건 = 15
제2절 유아 문학의 교육적 기능 = 20
1. 유아 문학의 교육성과 문학성 = 22
2.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 = 22
3. 유아 문학과 독서치료 = 24
4. 유아 문학과 다문화 교육 = 49
Chapter 2 유아 문학과 유아교육과정 = 53
제1절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문학 지도 = 54
1. 유아기의 문학적 경험 = 54
2. 교사의 역할 = 55
3. 문해 교류 이론 = 61
4. 유아 문학 프로그램의 내용 = 62
5.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아 문학 프로그램의 내용 = 63
제2절 유아 발달과 유아 문학 = 67
1. 언어 발달과 유아 문학 = 67
2. 지적 발달과 유아 문학 = 68
3. 인성 발달과 유아 문학 = 70
4. 사회 도덕성 발달과 유아 문학 = 71
5. 미적ㆍ창의성 발달과 유아 문학 = 73
제3절 유아교육과정과 유아 문학 = 76
1. 언어 영역과 유아 문학 = 76
2. 사회 영역과 유아 문학 = 76
3. 과학 영역과 유아 문학 = 78
4. 수학 영역과 유아 문학 = 80
5. 음악 영역과 유아 문학 = 81
6. 신체 영역과 유아 문학 = 82
7. 미술 영역과 유아 문학 = 82
제4절 문학 작품을 통한 유아 교육 과정의 통합적 접근 = 83
1. 문학 작품을 통한 통합적 접근 방법 = 83
2. 유아 문학과 총체적 언어 교육 = 83
Chapter 3 유아 문학의 장르와 종류 = 87
제1절 유아 문학의 장르 = 88
1. 동요와 동시 = 88
2. 동화와 아동 소설 = 90
3. 아동극 = 95
제2절 유아 문학의 종류 = 108
1. 그림책 = 109
2. 전래 동요 = 112
3. 동물 이야기 = 116
4. 유머 이야기 = 118
5. 시 = 119
6. 민담 = 123
7. 모험 이야기 = 140
8. 신비한 이야기 = 140
9. 사랑 이야기 = 141
10. 판타지 = 141
11. 사실적인 허구 = 144
12. 사실에 관한 책 = 146
Chapter 4 전래 동화의 연구 = 151
제1절 전래 동화의 특성과 형식 = 153
1. 서두와 결말에 공통적인 형식이 나타난다 = 153
2. 작중 인물의 활동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전개시킨다 = 153
3. 연쇄적인 형식 혹은 중복적인 형식이 나타난다 = 153
4. 표현 형식에는 대립법, 반복법, 의인법, 소거법이 많이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 154
5. 권선징악적인 요소가 있다 = 162
제2절 한국의 전래 동화와 외국의 전래 동화의 비교 = 163
제3절 민담의 심리적 분석 = 174
Chapter 5 그림책과 그림이야기책 = 179
제1절 그림책 = 180
제2절 그림책의 문학적인 요소 = 182
제3절 좋은 그림책의 기준 = 190
Chapter 6 그림책과 작가 연구 = 193
제1절 유아 문학 연구 방법 = 194
제2절 그림책 작가의 의도와 독자의 반응 = 198
제3절 독자와 문학 교육 = 211
제4절 그림책의 서평 = 215
Chapter 7 아동 문학의 발아와 계보 = 223
제1절 한국의 아동 문학 = 224
1. 개화 이전기 = 224
2. 개화기 = 224
3. 형성기 = 225
4. 성장기 = 226
5. 수난기 = 227
6. 소생기 = 227
7. 팽창기 = 228
제2절 세계의 아동 문학 = 228
1. 영국 = 228
2. 프랑스 = 232
3. 독일 = 234
4. 미국 = 236
5. 북유럽 = 237
6. 남유럽 = 238
Chapter 8 아동 문학가와 아동 문학상 = 241
제1절 한국의 아동 문학가와 작품 분석 = 242
1. 방정환 = 242
2. 이원수 = 243
3. 마해송 = 243
4. 강소천 = 244
5. 권정생 = 245
제2절 외국의 아동 문학가와 작품 분석 = 245
1. 안델센 = 245
2. 그림 형제 = 248
3. 현대의 외국 그림책 작가 = 251
제3절 아동 문학상의 종류 = 251
1. 한국의 아동 문학상 = 251
2. 외국의 아동 문학상 = 252
Chapter 9 다양한 매체와 아동 문학 = 257
제1절 텔레비전 = 259
제2절 시각적 매체와 청각적 매체 = 260
제3절 컴퓨터 = 261
1. 컴퓨터 교육에 대한 상반된 관점 = 261
2. 컴퓨터와 교수 원리 = 264
3. 컴퓨터 영역의 설치 = 264
4. 교육적인 소프트웨어의 기준 및 선택 방법 = 265
5. 컴퓨터의 활용 = 266
Chapter 10 유아 문학을 위한 교수 매체 및 지도 방법 = 269
제1절 그림책 = 270
1. 그림책의 의의 = 271
2. 그림책의 유형 = 271
3. 그림책의 장르 = 272
4. 그림책의 조건 = 273
5. 삽화의 조건 = 273
6. 그림책의 제작 및 선정시 주의점 = 273
7. 지도 방법 = 274
제2절 이야기해 주기 = 275
1. 구연으로 이야기해 주기 = 275
2. 읽어 주는 이야기 = 280
3. 융판 동화 = 281
4. 자석 동화 = 283
5. 그림 동화(낱장 그림) = 284
6. 테이블 동화 = 285
7. 텔레비전 동화 = 286
제3절 인형극 = 289
1. 인형극의 의의 = 290
2. 인형극의 가치 = 290
3. 인형의 종류 및 제작 방법 = 291
제4절 극화 = 313
1. 극화의 목적 = 313
2. 극화의 단계 = 314
3. 극화의 종류 = 314
4. 효과 음악의 소개 = 335
제5절 동시와 전래 동요 = 336
1. 다함께 낭송하기 = 336
2. 큰 책 활용하기 = 344
3. 시를 크게 읽어 주기 = 345
4. 동시를 새로 지어 보기 = 346
5. 손유희 = 347
Chapter 11 문학 작품을 통한 통합적 접근 방법의 실제 = 349
제1절 문학에 의한 수학 교육과 과학 교육 = 350
1. 유아 수학 교육 = 350
2. 유아 과학 교육 = 354
제2절 문학에 의한 통합적 접근 방법의 실제 = 356
1. 유아 문학 작품의 소개 = 356
2. 거미줄 모형 짜기의 실제 = 357
Chapter 12 총체적 언어 교육의 실제 = 403
제1절 총체적 언어란? = 404
제2절 문학적 접근에 의한 총체적 언어 교육의 실제 = 406
1.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교수 전략 = 406
2. 문학을 통한 통합적 접근의 실제 = 417
Chapter 13 문해 활동을 통한 독서지도의 실제 = 433
제1절 부모와 유아의 문해 발달 = 434
제2절 어린이집의 영아와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문해 경험 = 435
제3절 교사의 역할 = 440
제4절 유아를 위한 도서 선정 = 442
참고 문헌 = 447